$\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추간공 접근법과 추궁간판 접근법을 사용한 요부 경막외 신경차단술이 자기공명영상 소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umbar Epidural Nerve Block using the Transforamimnal Approach and the Interlaminar Approach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Finding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8, 2017년, pp.317 - 323  

황병문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과 마취통증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요통으로 추간공 접근법과 추궁간판 접근법을 사용하여 요부 경막외 신경차단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시술 후 자기공명영상 소견이 어떻게 다른지 조사하는 것이었다. 연구 방법은 신경차단술 후 자기공명영상의 이상 소견에 대해 분석한 관찰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2007년 1월에서 2016 12월 사이에 일개 대학병원 통증클리닉에서 요부 경막외 신경차단술 24시간 후에 요추부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한 7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신경차단술을 받은 대상자 중에서 추궁간판 접근법을 사용한 환자는 36명이었고, 추간공 접근법을 사용한 환자는 42명이었다. 경막외 신경차단술 후 자기공명영상에서 비정상적인 소견을 보인 환자들의 비율은 추간공 접근법을 사용한 군(7%)에 비해 추궁간판 접근법을 사용한 군(53%)에서 많았다. 비정상적인 자기공명영상 소견은 경막외 공기, 유체, 연부 조직의 변화, 바늘 자국 등이었다. 전체 비정상소견 중에서는 경막외 공기가 72%로 다수를 차지했다. 위의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요부 경막외 신경차단술을 시행 후 24시간 이내에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할 경우에는, 시술 시 추간공 접근법을 이용하는 것이 자기공명영상의 판독 오류 또는 해석의 어려움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추궁간판 접근법을 이용하여 시술하는 경우에는 자기공명영상에서 경막외 공기 등의 이상 소견이 발견될 가능성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findings after lumbar epidural nerve block using the transforaminal approach and the interlaminar approach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This study was an observational analysis study of abnormal findings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도 경막외 감염과 감별이 어려운 일부 비정상 소견(예를 들어, 연부조직 변화 및 유체)이 관찰되었다. 그러므로 경막외 신경차단술 시행 후 자기공명영상에서 어떠한 이상 소견이 나타나는지 알아본 본 연구는 경막외 농양이나 혈종의 감별 진단에 도움이 될것으로 생각된다. 경막외 신경차단술 이후 촬영된 자기공명영상에서 농양이나 혈종과 감별이 어려운 소견이 보이는 경우, 본 연구에서 관찰된 비정상 소견과 비교함으로써 정확한 진단에 도움이 되며 이를 통해 즉각적인 치료를 하거나 불필요한 수술을 막는데 기여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대학병원 통증클리닉 외래에서 경막외 신경차단술 후 24시간 후에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한 환자를 대상으로 자기공명영상의 이상 소견을 분석하였으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대학병원 통증클리닉에서 척추의 경막외 신경차단술 후 발생한 자기공명영상의 이상 소견에 대해 분석한 관찰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요통으로 요부 경막외 신경차단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시술 방법의 차이에 따라 시술 24시간 후 자기공명영상 소견이 어떻게 다른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비정상적인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보인 환자들의 비율은 추간공 접근법을 사용한 환자들에 비해 추궁간판 접근법을 사용한 환자들에서 많았다.
  • 본 연구는 요통으로 요부 경막외 신경차단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시술 방법의 차이에 따라 시술 후 자기공명영상 소견이 어떻게 다른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경막외 신경차단술 이후의 자기공명영상에서 비정상적인 소견을 보인 환자들의 비율은 추간공 접근법을 사용한 군(7%)에 비해 추궁간판 접근법을 사용한 군(53%)에서 많았다.
  • 따라서 추간공 접근법과 추궁간판 접근법을 이용한 경막외 신경차단술 후 자기공명영상에서 어떠한 이상 소견이 나타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추간공 접근법과 추궁간판 접근법을 이용한 요부 경막외 신경차단술 24시간 후에 요부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자기공명영상에서 시술 방법에 따른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요부 경막외 신경차단술을 시행할 때 자기공명영상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시술 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막외 신경 차단술을 시행하는 경우 최근에는 어떤 접근법을 자주 사용하는가? 경막외 신경 차단술(epidural nerve block)은 척추 질환 환자의 재활, 기능 제한 개선 및 허리 통증 관리에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노인 인구의 증가와 함께 신경외과, 재활의학과 등의 여러 과에서 점점 더 많은 환자들에서 사용되고 있다[1,2]. 경막외 신경 차단술을 시행하는 경우 예전에는 추궁 간판(interlaminar) 접근법이 흔히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추간 공(transforaminal) 접근법도 자주 사용되고 있다[3]. 추궁 간판 접근법을 사용하여 신경 차단술을 수행하는 경우에 매달린 물방울징후(hangingdrop)나 저항 소실법을 이용하여 경막외 공간을 확인하는 몇 가지 방법이 있으며[4,5], 일반적으로 공기 또는 수액이 경막외 공간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경막외 신경 차단술은 어떤 치료법인가? 경막외 신경 차단술(epidural nerve block)은 척추 질환 환자의 재활, 기능 제한 개선 및 허리 통증 관리에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노인 인구의 증가와 함께 신경외과, 재활의학과 등의 여러 과에서 점점 더 많은 환자들에서 사용되고 있다[1,2]. 경막외 신경 차단술을 시행하는 경우 예전에는 추궁 간판(interlaminar) 접근법이 흔히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추간 공(transforaminal) 접근법도 자주 사용되고 있다[3].
경막외 신경 차단술을 시행하는 경우 과거와 현재에 사용되는 접근법의 차이는 무엇인가? 경막외 신경 차단술을 시행하는 경우 예전에는 추궁 간판(interlaminar) 접근법이 흔히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추간 공(transforaminal) 접근법도 자주 사용되고 있다[3]. 추궁 간판 접근법을 사용하여 신경 차단술을 수행하는 경우에 매달린 물방울징후(hangingdrop)나 저항 소실법을 이용하여 경막외 공간을 확인하는 몇 가지 방법이 있으며[4,5], 일반적으로 공기 또는 수액이 경막외 공간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에 비해 추간 공 접근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경막외 공간을 확인하기 위하여 조영제를 사용하며 공기는 사용되지 않는다[6]. 경막외 신경 차단술을 시행할 때 주입된 공기, 국소 마취제, 수액 또는 스테로이드는 경막외 주입 후 일정 기간 경막외 공간에 머물게 되며 이는 경막외 신경 차단술 이후에 촬영된 방사선 이미지의 오독(misreading)에 기여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oi JH, Hong JY, Suh SW, Yang JH, Park SY, Park JH, Hong SJ, "What Is the Role of Epidural Steroid Injections in Lumbar Spinal Disease with Moderate Disability?", Pain Physician, vol. 19, pp. 293-298, 2016. 

  2. Manchikanti L, Staats P, Nampiaparampil D, Hirsch JA, "What is the role of epidural injections in the treatment of lumbar discogenic pain: a systematic review of comparative analysis with fusion", Korean J Pain, vol. 28, pp. 75-87, 2015. DOI: https://doi.org/10.3344/kjp.2015.28.2.75 

  3. Ritesh Arvind Pandey, "Efficacy of Epidural Steroid Injection in Management of Lumbar Prolapsed Intervertebral Disc: A Comparison of Caudal, Transforaminal and Interlaminar Routes", J Clin Diagn Res, vol. 7, pp. RC05-RC11, 2016. DOI: https://doi.org/10.7860/JCDR/2016/18208.8127 

  4. Lee JY, Lee SM, Sim WS, Ahn HJ, Park MH, Lim HY, Lee SH, Kim YR, Kim YI, Bang YJ, "False loss of resistance in cervical epidural injection: the loss of resistance technique compared with the epidrum guidance in locating epidural space", Pain Physician, vol. 19, pp. 131-138, 2016. 

  5. Garcia J, Gomar C, Riambau V, Cardenal C, "Radicular acute pain after epidural anaesthesia with the technique of loss of resistance with normal saline solution", Anaesthesia, vol. 53, pp. 166-171, 1998. 

  6. Kim ED, Roh MS, Park JJ, Jo D, "Comparison of the Ventral Epidural Spreading in Modified Interlaminar Approach and Transforaminal Approach: A Randomized, Double-Blind Study", Pain Med, vol. 9, pp. 1620-1627, 2016. DOI: https://doi.org/10.1093/pm/pnv094 

  7. Gil JW, Choi SO, "Analysis of the Trend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Usage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for the Magnetic Resonance Imaging",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pp. 477-484,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8.477 

  8. Choi JW, Lim HW, Lee JY, Lee WI, Lee EK, Chang CH, Yang JY, Sim WS, "Effect of cervical interlaminar epidural steroid inject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neck pain patterns and MRI findings", Korean J Pain vol. 29, pp. 96-102, 2016. DOI: https://doi.org/10.3344/kjp.2016.29.2.96 

  9. Kim TS, Shin SS, Kim JY, Kim DY, "Air bubbles mimic Disc herniation in MRI after cervical epidural block", Korean J Pain, vol. 3, pp. 202-206, 2009. 

  10. Ammirati M, Perino F, "Symptomatic air trapped in the spine after lumbar epidural corticosteroid injection", J Neurosurg Spine, vol. 5, pp. 359-361, 2006. DOI: https://doi.org/10.3171/spi.2006.5.4.359 

  11. Davidson EM, Sklar EM, Ginosar Y, Abdi S, Bhatia RG, Garcia L, Hulen R, Arheart K, Birnbach D, "Evaluation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llowing neuraxial steroid administration: does epidural injection produce pathologic findings?", Reg Anesth Pain Med, vol. 33, pp.326-331, 2008. DOI: https://doi.org/10.1016/j.rapm.2008.01.014 

  12. von Rothenburg T, Drescher R, Koester O, Schmid G,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lumbar spine after epidural and nerve root injection therapy: evaluation of soft tissue changes" Clin Imaging, vol. 30, pp. 331-334, 2006. DOI: https://doi.org/10.1016/j.clinimag.2006.03.033 

  13. Manchikanti1 L, Singh V, Pampati V, Falco F, Hirsch J, "Comparison of the efficacy of caudal, interlaminar, and transforaminal epidural injections in managing lumbar disc herniation: is one method superior to the other?", Korean J Pain, vol. 28, pp. 11-21, 2015. DOI: https://doi.org/10.3344/kjp.2015.28.1.11 

  14. Davidson EM, Sklar E, Bhatia R, Garcia L, Arheart KL, Ginosar Y, Birnbach D, "Magnetic resonance imaging findings after uneventful continuous infusion neuraxial analgesia: a prospective study to determine whether epidural infusion produces pathologic magnetic resonance imaging findings", Anesth Analg, vol. 110, pp. 233-273, 2010. DOI: https://doi.org/10.1213/ane.0b013e3181ad56c1 

  15. Stevens R, Mikat-Stevens M, Van Clief M, Schubert A, Weinstein Z, "Deliberate epidural air injection in dogs: a radiographic study", Reg Anesth, vol. 14, pp. 180-182, 1989. 

  16. Maes R, Morrison WB, Parker L, Schweitzer ME, Carrino JA, "Lumbar interspinous bursitis (Baastrup disease) in a symptomatic population: prevalence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Spine, vol. 33, pp. E211-215, 2008. DOI: https://doi.org/10.1097/BRS.0b013e318169614a 

  17. Dimitrios K. Filippiadis, Argyro Mazioti, S. Argentos, G. Anselmetti, O. Papakonstantinou, N. Kelekis, Alexis Kelekis, "Baastrup's disease (kissing spines syndrome): a pictorial review", Insights Imaging vol. 6, pp. 123-128, 2015. DOI: https://doi.org/10.1007/s13244-014-0376-7 

  18. DeFroda SF, DePasse JM, Eltorai AE, Daniels AH, Palumbo MA,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spinal epidural abscess", J Hosp Med, vol. 11, pp. 130-135, 2016. DOI: https://doi.org/10.1002/jhm.2506 

  19. Patel AR, Alton TB, Bransford RJ, Lee MJ, Bellabarba CB, Chapman JR, "Spinal epidural abscesses: risk factors, medical versus surgical management, a retrospective review of 128 cases", Spine J, vol. 14, pp. 326-330, 2014. DOI: https://doi.org/10.1016/j.spinee.2013.10.046 

  20. Ikushima I, Hirai T, Korogi Y, Norio M, Koganemaru M, Suga R, Morishita S, Yamashita Y, "Spinal MR findings in continuous epidural analgesia without infection", Am J Neuroradiol, vol. 26, pp. 991-995,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