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무요구와 직무자원이 보건교사의 소진과 열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on Burnout and Engagement among School Health Teachers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30 no.2, 2017년, pp.103 - 112  

권은정 (대전지족초등학교) ,  김숙영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chool health teachers' burnout, engagement,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burnout and engagement.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22 school health teachers working in elementary, middle or high schools. D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직무요구와 직무자원이 보건교사의 소진과 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탐색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학교보건사업의 핵심 인력인 보건교사의 소진과 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건교사의 소진과 열의, 직무요구와 직무자원,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소진과 열의의 영향요인 순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교사의 직무요구와 직무자원을 파악하고 이들 요인이 보건교사의 소진과 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데 있다. 구체적인 목적은 아래와 같다.
  • 본 연구는 학교보건사업의 핵심 인력인 보건교사의 소진과 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건교사의 소진과 열의, 직무요구와 직무자원,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소진과 열의의 영향요인 순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또한 과도한 직무요구는 긴장을 증가시켜 소진을 유발하고, 직무자원은 동기를 유발하여 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직무요구로 인한 소진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5,12,13]. 이에 본 연구는 보건교사의 업무량이 증가하고 있고 직무자원이 부족한 것이 보건교사의 소진과 열의에 영향을 미치리라 보고 영향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교사가 학교 현장에서 동료교사나 상사로부터 지지나 이해를 얻기 힘들며, 업무에 대한 평가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배경은 무엇인가? 최근 보건의료 패러다임이 치료중심에서 예방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학교보건사업에서 건강증진 업무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 내용도 영양 및 비만, 운동, 스트레스, 흡연, 음주, 약물남용, 성 건강,사고예방 및 응급처치, 시력, 구강건강, 수면/휴식, 질병예방 및 관리, 건강검진, 교직원 대상의 건강증진 등[3] 다양하여 사업추진에 있어서 많은 노력과 시간을 요한다. 하지만 입시 중심의 학교 현장에서는 보건업무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밖에 없어서 동료교사나 상사로부터 지지나 이해를 얻기 힘들며, 업무에 대한 평가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4].
학교보건사업의 특징은? 학교보건사업은 대상 인구 규모가 크고 아동 및 청소년기에 형성된 건강습관은 평생 건강에 영향을 미쳐 그 효과가 가정과 지역사회까지 확대될 수 있으므로 비용 대비 효과가 매우 크다[1]. 이러한 가치를 생각할 때 학교보건사업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핵심인력인 보건교사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학교보건사업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학교보건사업은 대상 인구 규모가 크고 아동 및 청소년기에 형성된 건강습관은 평생 건강에 영향을 미쳐 그 효과가 가정과 지역사회까지 확대될 수 있으므로 비용 대비 효과가 매우 크다[1]. 이러한 가치를 생각할 때 학교보건사업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핵심인력인 보건교사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Im MY, Lee SY. Job analysis of school health teachers in -Based on DACUM Job Analysi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4;28(3):619-632. https://doi.org/10.5932/jkphn.2014.28.3.619 

  2.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School Health Act No. 12131, 2013. 12. 30. amendment [Internet]. Seoul: Author; 2017 [cited 2017 January 23].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Sc.do?menuId0&subMenu1&query%ED%95%99%EA%B5%90%EB%B3%B4%EA%B1%B4%EB%B2%95#undefined 

  3. Yang S, Kwon M, Jeong G, Lee S. A study on the awareness of importance, performance level, and perceived competence level of school health promotion program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9;20(1):96-104. 

  4. Lim H. How much is reflected main job of health teachers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master's thesis]. Nonsan: Konyang University; 2012. p. 1-71. 

  5. Bakker AB, Demerouti E.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State of the art.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007;22(3):309-328. https://doi.org/10.1108/02683940710733115 

  6. Maslach C, Leiter MP. Early predictors of job burnout and engage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2008;93(3):498-512. https://doi.org/10.1037/0021-9010.93.3.498 

  7. Schaufeli WB, Leiter MP. Maslach burnout inventory-general survey.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test manual.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1996. p. 22-26. 

  8. Maslach C, Schaufeli WB, Leiter MP. Job burnout. Annu Rev Psychol. 2001;52:397-422. 

  9. Schaufeli WB, Salanova M, Gonzalez-Roma V, Bakker AB. The measurement of engagement and burnout: A two sample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approach.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2002;3(1):71-92. 

  10. Choi S. The influence of working environment of schools on burnout and engagement among teachers - The mediating effect of autonomous motivation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2. p. 1-96. 

  11. Yoo SW. A study on the job engagement and burnout of pr practitioners: Application of job demands-resources model.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2013;57(1):335-363. 

  12. Schaufeli WB, Bakker AB.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 A multi-sample stud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004;25(3):293-315. https://doi.org/10.1002/job.248 

  13. Demerouti E, Bakker AB, Nachreiner F, Schaufeliet WB.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of burnou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2001;86(3):499-512. https://doi.org/10.1037//0021-9010.86.3.499 

  14. Park E. Factors associated with burnout of health teachers. -Focused on work environment, work-related str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university student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2011. p. 1-66. 

  15. Oh KO, Kang M, Lee S. Perceived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of school nurs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2;26(1):60-71. https://doi.org/10.5932/jkphn.2012.26.1.060 

  16. Chang S, Koh S, Kang D, Kim S, Kang M, Lee C, et al.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05;17(4):297-317. 

  17. Maslach C, Jackson SE.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r. 1981;2:99-113. https://doi.org/10.1002/job.4030020205 

  18. Shin K.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general survey (MBIGS): An application in South Korea.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003;16(3):1-17. 

  19. Schaufeli WB, Bakker AB, Salanova M. The measurement of work engagement with a short questionnaire a cross-national study.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2006;66(4):701-716. https://doi.org/10.1177/0013164405282471 

  20. Yi R. The role of emotional labor strategies in the job demandresource model with burnout and engagement -Call centre employees case- [master's thesis]. Suwon: Ajou University; 2006. p. 1-91. 

  21. Hackman JR, Oldham GR. Development of the job diagnostic surve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75;60(2):159-170. https://doi.org/10.1037/h0076546 

  22. Kim BY, Shin HJ.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dissonance and teacher efficacy.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2016;22(1):211-232. 

  23. Shin SH. A study on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job burnout and engagement in psychiatric nurses [master's thesis]. Gwangju: Chonnam University; 2012. p. 1-76. 

  24. Kim HJ. The need of burn-out prevention programs among middle school teachers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2014. p. 1-78. 

  25. Yom Y. Analysis of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based on the job demand-resource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1):114-122. https://doi.org/10.4040/jkan.2013.43.1.114 

  26. Kim YJ, Kim YS. Low back pain and job stress in hospital nurses. Th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07;14(1):5-12. 

  27. Kim YS, Park J, Park S.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hospital nurses. Th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09;16(1):13-25. 

  28. Woo N, Kim SY. Job stres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of general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09;18(2):270-280. 

  29. Lee JH, Lee BS. Role adaptation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Establishing their own posi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44(3):305-316. https://doi.org/10.4040/jkan.2014.44.3.305 

  30. Kim YS, Kim MS. Gender differences on job burnout among South Korean employees.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2013;18(2):317-337. https://doi.org/10.18205/kpa.2013.18.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