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교사가 인식하는 보건교육환경과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
Awareness of Health Education Environment,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School Nurses in Korea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0 no.1, 2016년, pp.42 - 55  

유문숙 (아주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서은지 (아주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health education environment,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nd to identify their relationship. Methods: A total of 193 school nurses from elementary/middle/high schools in Korea were enrolled in this descriptive study. The a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보건교사가 인식하는 보건교육환경과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를 파악하고, 제 변수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보건교육환경에 대한 보건교사의 인식과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를 파악하고 제 변수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보건교육환경 개선을 통한 보건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 증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전반적인 보건교육환경에 대한 보건교사의 인식을 확인하고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교육환경이란 무엇인가? 보건교육환경은 학교보건에 대한 관리자의 인식, 보건교육에 대한 일반교사 및 학생과 학부모의 이해와 요구도 정도, 보건실과 보건교육실 등의 물리적 환경과 보건교사의 배치 여부 등이 포함되는 개념이다. 학교보건법 개정은 보건교육환경을 개선시키는 법적 근거로 작용하여 보건실과 연결된 보건교육실 설치, 보건교사 출신 장학사의 시도교육청 배치 증가 등으로 연결되었다(Kim, Y.
학교보건의 일차책임은 각 학교의 장에게 있으나 학교보건사업을 수립하고 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것이 보건교사에게 달린 이유는 무엇인가? 학교는 학생들의 교육 뿐 아니라 학생의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하기 위해 노력을 해야 하며, 이는 국가 법령(학교보건법)으로서 의무화되어 있다. 즉, 학교는 학생의 발달상황 및 능력, 정신건강 상태, 생활습관, 질병의 유무 등에 대해 조사하고 관리하며 필요한 사항을 준수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필수적으로 보건교사를 두고 보건관리의 제반업무를 담당하도록 하고 있다 (Ministry of Education, 2008). 따라서 학교보건의 일차 책임은 각 학교의 장에게 있으나 다양한 학교보건사업을 수립하고 보건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것은 보건교사에 의해 이루어진다.
보건교육을 받은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의 차이는 무엇인가? , 2014)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학교에서 시행되는 보건교육은 학생들의 신체적, 정서적 발달에 필수적이다. 실제로, 보건교육을 받은 학생들은 보건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들보다 건강 생활을 더 잘 실천하고 건강위험행동을 적게 한다고 보고되었다(Lee, 2015). 때문에 체계적인 보건교육을 시행하기 위한 제도가 점차적으로 정비되어 왔으나, 학교보건사업의 주체로서 보건교육을 수행하는 보건교사의 역할과 업무범위는 명료하지 못하여 보건실 관리에만 치중되거나 보건교육 자체가 타교과 교사에 의해 이루어지는 등의 실정이다(Im & Lee, 2014; Kim,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merican Nurses Association (ANA) & 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 Nurses (NASN). (2011). Nursing: School nursing: Scope and standards of practice 2nd edition. Silver Spring. MD: ANA. 

  2. Choi, J. U. (2008).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health teacher. Unpublished doctoral dissemination, Konyang University, Nonsan. 

  3. Choi, M. & Jin, S. (2014). Needs assessment of in-service education on teaching for school health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11), 6509-6517. http://dx.doi.org/10.5762/KAIS.2014.15.11.6509 

  4. Cohen, J. (199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5. Denehy, J. (2001). Health education: An important role for school nurses. Journal of School Nursing, 17(5). 233-238. http://dx.doi.org/10.1177/10598405010170050101 

  6. Im, M. Y. & Lee, S. Y. (2014). Job analysis of school health teachers in Korea - based on DACUM job analysi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8(3). 619-632. http://dx.doi.org/10.5932/JKPHN.2014.28.3.619 

  7. Jung, S. J. (2011).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for school health affairs and health teacher's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unsan National University, Kunsan. 

  8. Jung, Y. H., Choi, Y. H., & Kim, N. Y. (2012).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health education of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1). 16-27. http://dx.doi.org/10.5932/JKPHN.2012.26.1.016 

  9.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2015). Statistical yearbook of education. Seoul: KEDI. 

  10. Kim, E. H. (2011). A study on the health education environment, work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of nursing teachers at middle and high school in Gyunggi provi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1. Kim, H. J. (2001).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health education and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 competence by schoo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12. Kim, J. S., An, H. G., & Kang, M. O. (2007). An analysis of the factors related to job stress of the school nurs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9(4). 1707-1723. 

  13. Kim, K. K., Yun, B., & Jeon, M. S. (2011). The effects of school health teachers' self-efficacy on job satisfactio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2). 22-42. 

  14. Kim, P. S. (2015).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school health education - On the emphasis of elementary school. Gimhae, Changw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 

  15. Kim, S. N. (2008).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improvements regarding voluntary training of school health instruct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ngwon University, Chuncheon. 

  16. Kim, Y., Ha, Y., Park, H., Jung, H. S., & Kwon, E. (2011). Survey on current state and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school health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17(3), 353-374. 

  17. Kim, Y., Ha, Y., Park, H., Jung, H. S., & Kwon, E. (2012). Factors related to teachers' self-efficacy in Korean health teacher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5(1), 59-67. 

  18. Lee, C. Y., Kim, E. G., Oh, E. G., Ji, H. Y., Jo, S. N., & Jeong, M. H. (2010). Health education statu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by national health education guideline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3(2), 172-180. 

  19. Lee, G. Y.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and health risk behaviors in adolescents: Results of the 2013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9(2). 257-271. http://dx.doi.org/10.5932/JKPHN.2015.29.2.257 

  20. Ministry of Education (2008). Elementry & Middle School Education-Public Notification 2008-148. Retrieved July 31, 2015, from http://ncic.kice.re.kr/mobile.dwn.ogf.inventoryList.do 

  21. Oh, H. M. (2012). Correlations between school administrator's support and school health teacher's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onnam. 

  22. Ryu, H. S, Im, Y. J., & Cho, J. (2013). Health education needs and confidence of school nurses in Korean secondary school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2). 280-292. http://dx.doi.org/10.5932/JKPHN.2013.27.2.280 

  23. Seoul School Health Promotion Center in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2015). Training courses. Retrieved July 31, 2015, from http://www.bogun.seoul.kr/sub05/index.asp?spc5&spA01 

  24. Shin, M. K. (2008). The perception and actual condition of health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25. Suh, H. (2013). Relationships between degree of decision making participation and health teacher efficacy.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0(3), 153-174. 

  26. Sung, K. M., Hyun, M. S., Gu, J. A., Shin, H., Hwang, W. J., Jin, J., & Park, H. R. (2014). Human growth and development - Theory and practice. Seoul: Gomoonsa. 

  27. Quelly, S. B. (2014). Childhood obesity prevention: a review of school nurse perceptions and practices. Journal for Specialists in Pediatric Nursing, 19, 198-209. http://dx.doi.org/10.1111/jspn.12071 

  28. Yi, C. & Kwon, N. W. (2008). Development of a teacher-efficacy scale for health education teac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2), 247-2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