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500병상 이상 의료기관에서의 전문지원인력 운영실태
The Current Status of Professional Medical Support Staffs in Medical Institutions with over 500 Beds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3 no.2, 2017년, pp.131 - 141  

김민영 (제주대학교 간호학과) ,  최수정 (삼성서울병원.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  설미이 (서울아산병원) ,  김정혜 (울산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  김희영 (서울아산병원) ,  변숙진 (동아대학교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ationwide operational status of the professional medical support staffs (PMSS) who practice the expanded roles in the hospital setting. Methods: The data were obtained through survey from 36 hospitals with over 500 beds from 25th May to 12th July 2016. D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전문지원인력으로서 실제 임상 현장에서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명칭의 인력을 최대한 모두 포함하여 전국적인 운영 실태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전문지원인력이 당면하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전문지원인력에 대한 올바른 방향의 정책적 제안의 토대를 마련하고, 전문간호사가 전문지원인력으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문지원인력은 어떤 인력인가? 본 연구에서 전문지원인력은 위임 받은 특정업무, 교육, 연구, 상담 등을 의사와 함께 수행하는 인력으로 정의하였다. 즉 전문지원인력은 소속된 기관에서 부여한 명칭이나 자격증 소지 여부와 상관없이 의사 업무 중 일부를 위임 받아 특정업무를 수행하거나, 상급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전통적인 환자간호 이외에 교육, 상담 등의 업무를 전담하여 환자 케어에 직접 참여하는 인력 모두를 말한다. 문헌고찰과 대형병원을 대상으로 기관에서 불리는 명칭에 대한 예비조사 및 연구자들의 합의를 거쳐 도출한 전문지원인력은 기관에서 불리는 명칭에 따라 전문간호사(Advanced Practice Nurse, APN), 전담간호사(Clinical Nurse Expert, CNE), PA, 코디네이터(Coordinator), 기타 직군(교육/설명간호사, 진료협력간호사, 두 가지 이상 명칭으로 동시에 불리는 군 등 모두 포함) 등으로 분류하였다.
전문지원인력이 업무 수행 시 애로 사항은 어떻게 나타났는가? 전문지원인력은 업무 수행 시 애로 사항으로 불명확한 업무경계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과다한 업무량, 과다한 잡무, 성취감 미흡, 열악한 근무환경 업무지침서 부재, 교육기회 부족 등의 순서로 애로 사항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직군별로는 불명확한 업무 경계는 PA군에서 높았고.
의협, 대한간호협회의 연구에서 전문지원인력은 무엇으로 정의하는가? 의협 의료정책연구소[1]는 진료지원인력을 의사의 지도, 감독 하에 의사의 의료행위의 일부를 보조 또는 대체하는 새로운 형태의 인력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고, 대한간호협회의 연구[7]에서는 전담간호사를 PA로 칭하고, ‘명칭에 관계없이 의료진의 책임하에 의사 업무 중 일부 위임받은 특정업무(의료행위)를 수행하는 간호사’로 정의하는 등 연구에 따라 명칭과 대상 범위를 매우 다양하다. 본 연구에서 전문지원인력은 위임 받은 특정업무, 교육, 연구, 상담 등을 의사와 함께 수행하는 인력으로 정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Lee BH, Kim HN, Lee E. A study on legal issues and countermeasur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medical support staffs. Research Institute for Healthcare Policy. Seoul: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1 November. Report No.: 2011-16. 

  2. Kwon YD, Sung YH, Kwon IG, Hwang MS.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clinical nurses with expanded rol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8;14(3):99-115. 

  3. Wang KC, Kim DH, Kim SH, Park WB, Ahn D, Ryu KH, et al. A study on reformation of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system in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ealthcare Policy. Seoul: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1 May. Report No.: 2011-8. 

  4. Kwak CY, Park AJ. Current roles and administrative facts of the Korean physician assistant.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4;14(10):583-595. http://dx.doi.org/10.5392/JKCA.2014.14.10.583 

  5. Sung YH, Lim NY, Park KO, Jung JH, Kwon IG, Kim US, et al. Job analysis for role identification of clinical nurses with expanded role - clinical nurse with education and clinical nurse with coordination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9;15(2):139-155. 

  6. Seo SR, Kwon SH, Kim SH, Jang BH, Kwag WH, Kim YH, et al. A study on the satus and survey of Korean advanced practice nurses. Policy research report.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2014 August. 

  7. Kwak CY, Kim YS, Kwag WH, Kim HY, Nam KH, Bae SH, et al. A study on the current roles and administrative facts of the Korean physician assistant. Policy Research Report.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2011 October. 

  8. Korean Nurse Association. National Medical Institution List_ 01512 [Internet].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2016[cited 2016 March 01]. Available from: http://www.koreanurse.or.kr/board/board_search.php?boar dresearch&execsearch&category_no3. 

  9.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Regulations for qualification of advanced practice nurses [Internet]. Seoul: 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4[cited 2017 March 25].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W/lsInfoP.do?lsiSeq149133#0000. 

  10. Kim HJ, Park KK, Huh JS. The status of physician assistants physician assistant) and medical and legal problems. Korean Journal of Medicine and Law. 2014;22(1):7-24. https://doi.org/10.17215/kaml.2014.06.22.1.7 

  11. Lee YK, Min BW, Yu HC, Jung HK, Jung SS. Current status and countermeasures for imbalance of surgical residents. The Surgeon. 2012 Autumn; 13:14-31. 

  12. Oh SH, Kim JS, Lee PS. A survey on training and working conditions of residents in 2015.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5;58(12):1179-1189. https://doi.org/10.5124/jkma.2015.58.12.1179 

  13. Eom JS. Operating the hospitalist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6;59(5):342-344. https://doi.org/10.5124/jkma.2016.59.5.342 

  14. Hospital Nurse Association. 2016 Survey on the status of hospital nursing staff placement. Seoul: Hospital Nurse Association; 2017 [cited 2017 June 24]. Available from: http://www.khna.or.kr/web/information/resource.php. 

  15. Kwak SY, Kim YS, Lee KJ, Kim M. Influence of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ies and problem-solving ability on nursing performance ability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7;23(2):146-155. 

  16. Kim W.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Korean medical support staffs (similar physician assistant system). Research Institute for Healthcare Policy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1; 9(3):146-149. 

  17. Kim HN, Kim KH. Legal review on physician assistants. Chonman Law Review. 2016;36(3):331-352. 

  18. Lee TW, Ko IS, Kim IS, Kim HO, Park YW, Kim IJ, et al. Development of roles and organizational policy of advanced practice nurses in an acute hospital sett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7;13(3):352-361. 

  19. Lowe G, Plummer V, O'Brien AP, Boyd L. Time to clarify -the value of advanced practice nursing roles in health car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2;68(3):677-685.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11.05790.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