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500병상 이상 의료기관에서의 전문지원인력의 직군별 업무 수행빈도 분석
The Frequency of Job Performance of the Korean Professional Medical Support Staff at Medical Institutions over 500 Beds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11 no.1, 2018년, pp.15 - 27  

김민영 (제주대학교 간호학과) ,  최수정 (삼성서울병원.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  설미이 (서울아산병원) ,  김정혜 (울산대학교 임상전문간호학) ,  김희영 (서울아산병원) ,  변숙진 (동아대학교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job performance of the Korean professional medical support staffs (PMSS). Method : The data of 1,666 PMSS from 36 hospitals and over 500 beds were analyzed.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5 groups: advanced practice nurses (AP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임의표출된 기관 중 연구참여에 동의하지 않은 기관도 있고, 참여한 기관의 경우에도 전수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일부 기관이 있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주의가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일부 전문지원인력에 국한되지 않은 전국적인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국내 전역의 병원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고자 하였고, 전문지원인력으로 종사하는 다양한 직군을 최대한 포함하고자 하였으므로, 향후 국내 현실을 반영한 전문지원인력의 업무를 정착하고 제도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 2014), 전문지원인력의 전반적인 현황이 고려되지 않은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문지원인력으로서 실제 임상 현장에서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명칭의 인력을 최대한 모두 포함하여 직군별로 업무실태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전문지원인력에 대한 올바른 방향의 정책적 제안의 토대를 마련하고, 나아가 전문지원인력의 업무 특성에 따른 명칭의 재조정 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전국적인 전문지원인력의 직군별 업무 수행빈도를 파악하여 전문지원인력 업무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2016년 병원간호사회 용역연구로 전문지원인력의 직군별 근무조건, 업무 실태, 만족도 등에 대한 1차 분석을 게재하고(Kim et al., 2017), 2차로 직군별 업무 수행빈도를 분석한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전문지원인력의 업무실태를 파악하여 변화하는 업무에 대한 법적 제도적 합의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전문지원인력은 상급실무영역 수행을 주로 하는 인력이 있는 반면 교육과 상담 업무를 주로 하는 인력도 있고 업무 수행도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전국적인 전문지원인력의 직군별 업무 수행빈도를 파악하여 전문지원인력 업무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2016년 병원간호사회 용역연구로 전문지원인력의 직군별 근무조건, 업무 실태, 만족도 등에 대한 1차 분석을 게재하고(Kim et al.
  • 본 연구는 전문지원인력의 업무를 파악하고, 직군별 업무수행빈도를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 2011). 본 연구에서는 의료진의 책임 하에 의사 업무 중 일부를 위임받아 특정업무를 수행하거나, 환자간호 이외에도 교육, 상담 등의 업무를 전담하여 환자 케어에 직접 참여하는 인력 모두를 말한다. 문헌고찰과 대형병원을 대상으로 기관에서 불리는 명칭에 대한 예비조사 및 연구자들의 합의를 거쳐 전문지원인력은 기관에서 불리는 명칭에 따라 전문간호사, 전담간호사, PA, 코디네이터, 기타직군(교육/설명간호사, 진료협력간호사, 두 가지 이상 명칭으로 동시에 불리는 군) 등으로 분류하였다(Kim et al.
  • 따라서 본 연구는 전문지원인력으로서 실제 임상 현장에서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명칭의 인력을 최대한 모두 포함하여 직군별로 업무실태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전문지원인력에 대한 올바른 방향의 정책적 제안의 토대를 마련하고, 나아가 전문지원인력의 업무 특성에 따른 명칭의 재조정 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협 의료정책연구소(Lee et al., 2011)에서 정의한 진료지원인력은? 의협 의료정책연구소(Lee et al., 2011)는 진료지원인력을 의사의 지도, 감독 하에 의사의 의료행위의 일부를 보조 또는 대체하는 인력을 포괄하는 개념의 용어로 정의하였고, 연구에 따라 명칭과 대상 범위를 매우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다(Kwak et al., 2011).
수요에 비해 의료인력이 부족한 이유는? 급속한 의료기술 발달과 소비자 중심으로 의료시장이 변화하면서 의료서비스에 대한 요구도는 증가하고 있지만, 의료비 상승, 지역간 의료인력 수급 불균형 등의 문제로 수요에 비해 의료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미국은 오래 전부터 전문간호사나 PA (Physician Assistant) 등과 같은 전문지원인력의 공급을 통해 효율적으로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책을 유지하며 업무범위, 교육 등 여러 문제점을 보완하고 있다(Sargen, Hooker, & Cooper, 2011).
현행 제도 안에서는 일부 침습적 업무들은 비록 의사의 위임을 받더라도 법적 보호를 받기 어렵기 때문에 필요한 것은?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합법적으로 상급실무수행능력을 인정받은 전문간호사의 경우에도 그 업무에 대한 명확한 규정은 없는 상태이고, 다른 전문지원인력들의 경우 간호사나 응급구조사 면허를 근거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지만, 현행 제도 안에서는 일부 침습적 업무들은 비록 의사의 위임을 받더라도 법적 보호를 받기 어렵다(Kim & Kim, 2016). 특히 외국과 달리 교육제도조차 없이 다른 직군보다 더 침습적인 업무를 하고있는 PA의 경우 보다 적합한 명칭, 업무 범위나 한계, 책임과 의무 등에 대해 규정하고, 이러한 업무를 질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적절한 인력 기준과 교육체계, 지속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PA와 전문간호사는 환자를 돌보는 패러다임의 중심이 의료와 간호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일부 연구(Grimstvedt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leshire, M. E., Wheeler, K., & Prevost, S. S. (2012). The future of nurse practitioner practice: a world of opportunity.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47 (2), 181-191 

  2. Cho, M. S., Cho, Y. A., Kwon, I. G., Seo, M. J., & Baek, H. J. (2011). Importance, satisfaction and contribution of advanced practice nurses' role recognized by health care profession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 (2), 168-179. 

  3. Elliott, N., Begley, C., Sheaf, G., & Higgins, A. (2016). Barriers and enablers to advanced practitioners' ability to enact their leadership role: A scoping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y, 60, 24-45. 

  4. Grimstvedt, M. E., Der Ananian, C., Keller, C., Woolf, K., Sebren, A., & Ainsworth, B. (2012). Nurse practitioner and physician assistant physical activity counseling knowledge, confidence and practices. Preventive Medicine, 54 (5), 306-308. 

  5. Lee, B, H., Kim, H. N., & Lee, E. (2011). A study on legal issues and countermeasur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medical support staffs. (Report No. 2011-16). Research Institute for Healthcare Policy. Seoul: Korean Medical Association. 

  6. Joh, H. J., Lee, J. H., Choi, S. H., Kim, H. K., & Kim, K. S. (2015). Job analysis based on working hours and activities of oncology advanced practice nurses. Asian Oncology Nursing, 15 (1), 43-50. 

  7. Kim, H. N., & Kim, K. H. (2016). Legal review on physician assistants. Chonman Law Review, 36 (3), 331-352. 

  8. Kim, J., Kim, M. A., Kim, M. W., Kim, K. S., Yoo, C. S., & Lee, E. H. (2009). Analysis on performance and new classification of advanced practices by critical care nurse practition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 (4), 527-538. 

  9. Kim, M. Y., Choi, S. J., Seol, M., Kim, J. H., Kim, H. Y., & Byun, S. J. (2017). The current status of professional medical support staffs in medical institutions with over 500 bed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3 (2), 131-141. 

  10. Kim, S. D. (2013).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of advanced practice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4 (12), 6146-6154. 

  11. Kim, S. S., Kwak, W. H., Moon, S. M., & Sung, Y. H. (2006). Development of a role model for physician assistant in Korea.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2 (1), 67-80. 

  12.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04). The role and core competencies of advanced practice nurses. Retrieved March 03, 2016, from: http://kabon.or.kr/kabon04/index03.php 

  13. Korean Nurse Association. (2016). Retrieved March 01, 2016, from: http://www.koreanurse.or.kr/board/board_search.php?boardresearch&execsearch&category_no3. 

  14. Kwak, C. Y., Kim, Y. S., Kwag, W. H., Kim, H. Y., Nam, K. H., Bae, S. H., et al. (2011 October). A study on the current roles and administrative facts of the Korean physician assistant. Policy Research Report.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15. Kwak, C. Y., & Park, A. J. (2014). Current roles and administrative facts of the Korean physician assistant.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 (10), 583-595. 

  16. Kwan, I. G., Kim, Y. H., Hwang, K. J., Kim, H. S., Lee, B. S., Lee, H. S., et al. (2003). A survey on the role and present state of advanced practice nurs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9 (1), 55-75. 

  17. Kwon, Y. D., Sung, Y.H., Kwon, I. G., & Hwang, M. S. (2008).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clinical nurses with expanded rol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4 (3), 99-115. 

  18. McConnell, D., Slevin, O. D., & McIlfatrick, S. J. (2013). Emergency nurse practitioners' perceptions of their role and scope of practice: is it advanced practice? International Emergency Nursing, 21 (2), 76-83. 

  19. Moote, M., Krsek, C., Kleinpell, R., & Todd, B. (2011). Physician assistant and nurse practitioner utilization in academic medical centers. American Journal of Medical Quality, 26 (6), 452-460. 

  20. Oh, J. W. (2010). Status of Physician Assistant in Korea. Paper presented at the 26th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Gyeongju. 

  21. Park, K. O., Kim, J. K., & Jeong, J. S. (2007). An analysis of the role of nurse specialists in the general hospital.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3 (2), 246-256. 

  22. Polit, D. F., & Beck, C. T. (2006). The content validity index: are you sure you know what's being reported? Critique and recommendation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9 (5), 489-497. 

  23. Sargen, M., Hooker, R. S., & Cooper, R. A. (2011). Gaps in the supply of physicians, advance practice nurses, and physician assistant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of Surgeons, 212 (6), 991-999. 

  24. Seo, S. R., Kwon, S. H., Kim, S. H., Jang, B. H., Kwag, W. H., Kim, Y. H., et al. (2014 Augest). A study on the status and survey of Korean advanced practice nurses. Policy research report.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25. Sung, Y. H., Lim, N. Y., Park, K. O., Jung, J. H., Kwon, I. G., Kim, U. S., et al. (2009). Job analysis for role identification of clinical nurses with expanded role - clinical nurse with education and clinical nurse with coordination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5 (2), 139-155. 

  26. Yang, J. M. (2008). Medical malpractice and civil liability of nurse. Hanyang Law Review, 23, 315-33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