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500병상 미만 종합병원에서의 전문지원인력 운영실태 -간호인력을 중심으로-
The Current Status of Professional Medical Support Staffs in General Hospitals less than 500 Beds -Focusing on Nursing Staffs-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4 no.2, 2018년, pp.197 - 208  

전미경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  김민영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  최수정 (삼성서울병원.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  설미이 (서울아산병원) ,  김희영 (서울아산병원) ,  김정혜 (울산대학교 임상전문간호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istics of professional medical support staffs(PMSS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with less than 500 bed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5 general hospitals with less than 500 beds from September 11th to October 27th, 2017. Results: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최근 전문간호사의 업무 범위에 대한 법제화가 거론되고 있는 시점에서, 아직까지 연구가 미비한 500병상 미만 의료기관에서의 전문지원인력의 실태조사 및 업무 내용에 대한 조사가 시급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국의 500병상 미만의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전문지원인력의 운영현황을 파악하여 선행연구[5]와 함께 전국적인 전문지원인력 실태조사의 유용한 자료로 활용하고, 추후 전문지원인력의 효율적인 운영, 배치기준 마련과 정책수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500병상 미만의 종합병원 전문지원인력의 실태를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500병상 이상의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한 Kim 등[5]의 전문지원인력 역할 정립을 위한 실태조사의 후속 연구로, 전국의 500병상 미만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전문지원인력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고자 시도 되었다. 전문지원인력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전문간호사를 포함한 전문지원인력이 주로 급성기 환자간호를 하는 700병상 이상[10], 800병상 이상[1]의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Kwak과 Park [7] 의 연구에서는 500병상 미만에 근무하는 전담간호사가 16.

가설 설정

  • 012). 비전문적 업무수행, 교육기회부족, 행정부서와의 갈등은 직군별 차이 없었다.
  • 서울시 A상급종합병원에서는 전문간호사, 전담간호사, 코디네이터를 포함한 전문지원인력을 대상으로 각 직군별 세부 직무조사를 통하여 직무기준을 수립한 후 새로운 직무기준을 적용하여 전문지원인력 중 코디네이터와 전담간호사를 통합하여 전담간호사로 운영 중이다[22]. 증가하고 있는 전문지원인력의 다양한 명칭에 대한 재정비는 필수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공의 수급불균형으로 인한 의료공백을 해결하기 위해 의료현장에서 근무하는 인력을 어떤 용어로 부르는가? 의료기관은 보다 질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진료의사의 부족을 해소하기 위하여 전문간호사(Advanced practice nurse, APN), 전담간호사(Clinical nurse expert, CNE), Physician assistant (PA), Surgical assistant (SA) 등의 다양한 명칭의 진료지원인력을 별도로 훈련하여 일반간호사와는 차별화된 역할을 부여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요구는 급증하고 있다[1,2]. 특히, 대형병원이나 종합병원의 전공의 수급불균형으로 인한 의료공백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수의 PA가 의료현장에서 업무를 하고 있고, 의사보조인력, 진료보조, 의사 보조전문인력 등과 같은 다양한 용어로 불리고 있다[3]. 2011년과 2017년의 병원간호사회 병원간호인력 배치현황 실태조사 결과[4]를 보면 전문간호사는 532명에서 634명, 전담간호사는 1,335명에서 2,082명, PA는 1,532명에서 3,353명으로 6년 사이 많은 수가 증가하였다.
전문간호사 등의 지원인력을 별도로 훈련하여 일반간호사와는 차별화된 역할을 부여하고 운영하는 이유는? 의료기관은 보다 질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진료의사의 부족을 해소하기 위하여 전문간호사(Advanced practice nurse, APN), 전담간호사(Clinical nurse expert, CNE), Physician assistant (PA), Surgical assistant (SA) 등의 다양한 명칭의 진료지원인력을 별도로 훈련하여 일반간호사와는 차별화된 역할을 부여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요구는 급증하고 있다[1,2]. 특히, 대형병원이나 종합병원의 전공의 수급불균형으로 인한 의료공백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수의 PA가 의료현장에서 업무를 하고 있고, 의사보조인력, 진료보조, 의사 보조전문인력 등과 같은 다양한 용어로 불리고 있다[3].
전문지원인력에 대한 배치기준 및 관리에 대한 지침이 필요한 이유는? 4%가 간호부 소속으로 선행연구와 유사하였고[5], 간호부서에서 행정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업무지시 부서는 전담간호사군과 PA군에서는 진료과가 72.1%,71.8%로 나타난 반면, 전문간호사군은 52.5%가 간호부를 통하여 업무지시를 받는 것으로 나타나서 차이가 있었지만 전문지원인력의 65.0%가 진료과를 통하여 업무지시를 받아 수행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간호부와 진료과의 협조를 통하여 전문지원인력에 대한 배치기준 및 관리에 대한 지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Kim SS, Kwak WH, Moon SM, Sung YH. Development of a role model for physician assistant in Korea.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6;12(1):67-80. 

  2. Seol M, Shin YA, Lim KC, Leem C, Choi JH, Jeong JS. Current status and vitalizing strategies of advanced practice nurses in Korea.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17;14(1):37-44. 

  3. Kim HJ, Park KK, Huh JS. The status of physician assistants (Physician Assistant) and medical and legal problems. Korean Journal of Medicine and Law. 2014;22(1):7-240. https://doi.org/10.17215/kaml.2014.06.22.1.7 

  4. Hospital Nurse Association. 2017 Survey on the status of hospital nursing staff placement. Research Paper. Seoul: Hospital Nurse Association; 2018 February. 

  5. Kim MY, Choi SJ, Seol M, Kim JH, Kim HY, Byun SJ. The Current status of professional medical support staffs in medical institutions with over 500 bed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7;23(2):131-141. https://doi.org/10.22650/JKCNR.2017.23.2.131 

  6. Seong JS, Yeom EY. Experience of performance of the Korean physician assistant’s duties.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2015;16(2):122-134. 

  7. Kwak CY, Park JA. Current roles and administrative facts of the Korean physician assistan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4;14(10):583-595.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583 

  8. Suh SR, Gwon SH, Gwak WH, Kwon IG, Kim SH, Jang BH, et al. A study on the status and survey of Korean advanced practice nurses. Policy research report.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2014 August. 

  9. Korean Nurse Association. National Medical Institution list_201705[Internet].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2017 [cited 2017 May 30]. Available from: http://www.koreanurse.or.kr/board/board_read.php?board_idresearch&member_idadmin&exec&no41&category_no&step0&tag&sgroup39&sfloat&position0&mod e&find&search. 

  10. Kwon YD, Sung YH, Kwon IG, Hwang MS.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clinical nurses with expanded rol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8;14(3):99-115. 

  11. Wang KC, Kim DH, Kim SH, Park WB, Ahn DS, Ryu KH, et al. A study on reformation of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system in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ealthcare Policy. Seoul: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1 March. Report No.:2011-8. 

  12. Hooker RS, Brock DM, Cook ML. Characteristics of nurse practitioners and physician assistants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Nurse Practitioners. 2016;28(1):39-46. https://doi.org/10.1002/2327-6924.12293 

  13. Choi EJ, Jang IS, Hwang JH Kang YA, Kim SR, Nho JH, et al. Patient satisfaction with advanced practice nurse in a tertiary hospital.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5; 21(3):335-346. 

  14.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7 Korean advanced practice nurse annual report.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8. Report No.: 2018-01-03. 

  15. Kim SD.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of advanced practice nurse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12):6146-6154. https://doi.org/10.5762/KAIS.2013.14.12.6146 

  16. Eom YH, Kim GY, Jung SS, Lee KY, Kang SB, Bae JS, et al. Present condition analysis of physician assistant in Korea.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12;27(9):981-986. https://doi.org/10.3346/jkms.2012.27.9.981 

  17. Cho MS, Lee HY, Lee BN. A study on physician assistant image and role enhancement in a tertiary hospital. Research report. Seoul: Hospital Nurse Association; 2017. 

  18. Hylton HM, Smith GL. Collaborating with advanced practice providers: Impact and opportunity.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Educational Book.2017;37:e1-e7. https://doi.org/10.14694/EDBK_175654 

  19. American Association of Nurse Practitioners. State Practice Environment [Internet]. Austin, TX: American Association of Nurse Practitioners; 2018[cited 2018 May 22]. Available from: https://www.aanp.org/legislation-regulation/state-legislati on/state-practice-environment/66-legislation-regulation/st ate-practice-environment/1380-state-practice-by-type. 

  20. Yang Y, Long Q, Jackson SL, Rhee MK, Tomolo A, Olson D, et al. Nurse practitioners, physician assistants, and physicians are comparable in managing the first five years of diabetes.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2018;131(3):276-283.e2. https://doi.org/10.1016/j.amjmed.2017.08.026 

  21. Cairo J, Muzi MA, Ficke D, Ford-Pierce S, Goetzke K, Stumvoll D., et al. Practice model for advanced practice providers in oncology.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Educational Book. 2017;37:40-43. https://doi.org/10.14694/EDBK_175577 

  22. Kim YH. Hospital nursing care and the role of advance practice nurse. Paper presented at;Legalization of the role of advance practice nurse: Reality and future challenges; 2018 March 24; Konkuk University Medical Center.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