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 간호단위관리자의 핵심직무 ­- 핵심역량 매트릭스 개발
Development of the Core Task and Competency Matrix for Unit Managers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3 no.2, 2017년, pp.189 - 201  

이태화 (연세대학교 간호대학.김모임간호학연구소) ,  강경화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  이선희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  고유경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박정숙 (KC대학교 간호학부) ,  이새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유소영 (차의과학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nursing management core task and competency matrix for hospital unit managers. The perceived level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identified core competencies by unit managers were also investigated. Methods: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survey i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단위관리자에게 필요로 되는 핵심직무를 확인하고 체계적 문헌검색 및 전문가 타당도를 통해 핵심역량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단위관리자의 핵심직무는 5개 영역의 38개 직무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병원 간호단위관리자의 핵심직무와 역량을 확인하고 핵심직무-핵심역량 매트릭스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병원간호조직의 일선관리자인 간호단위관리자들이 급변하는 의료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효율적인 직무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핵심직무와 핵심역량을 확인하고 핵심직무와 역량을 연결하는 매트릭스를 개발하며 핵심역량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병원 간호단위관리자의 38개 핵심직무와 5개 역량군 및 37개의 핵심역량은 효과적인 조직운영관리를 통해 환자 및 가족과 직원의 만족도를 증진시키고 효율적인 경영성과를 창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본다.
  • 직무(task)는 직책이나 직업상 책임을 지고 담당하여 맡은 일을 말하며 직무(task)는 직책이나 직업상에서 책임을 지고 담당하여 맡은 사무로 핵심직무(core task)는 이중 중요하며 핵심이 되는 직무를 말한다[20]. 본 연구에서는 간호단위관리자의 직무 중 여러 병원의 직무기술서에 공통적으로 기술되어 있으며 전문가 타당도를 통해 도출된 직무를 말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의 간호단위관리자(unit manager)의 간호관리 핵심직무와 핵심역량을 도출하여 핵심직무-핵심역량 매트릭스를 개발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간호사, 파트장, unit manager 등 병원에 따라 다양한 일선 간호단위관리자(unit manager)의 핵심직무와 핵심역량을 개발하고, 이를 근거로 핵심직무-핵심역량 매트릭스를 작성하며 핵심역량별 중요도와 수행정도를 파악하여 병원 간호관리자의 간호관리능력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 Pillay [12]가 제시한 자기관리, 통제, 건강관리/임상기술, 조직, 인사관리, 기획, 윤리적/법적 역량과 비판적 사고, 의사소통, 사정, 간호기술과 자원 관리 역량, 그리고 Drenkard와 Cohen [13]의 비판적 사고, 의사소통, 사정, 간호기술과 자원 관리 역량은 다양한 연구들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역량들이다. 이와 같이 선행연구에서 간호관리자에게 필요로 되는 역량을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문헌검색을 통해 도출된 핵심역량을 전문가 타당도를 통해 검증하는 단계를 거쳐 우리 간호현장에 적합한 역량명으로 제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해당 역량이 갖는 의미 해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어 역량별 정의를 기술하고 각각의 정의에 대해서도 전문가 자문 회의를 거쳐 수정 · 보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역량이란 무엇인가? 역량(competency)이란 준거에 따른 효과적이고 우수한 업무 수행의 원인이 되는 개인의 내적 특성이며[7], 간호관리 역량(nursing managerial competency)은 간호관리 상황에서 간호관리 업무를 적절히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감각, 행위 등을 의미하며[8] 간호사의 직무만족, 동기부여, 이직, 환자간호의 질 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9] 최근에 진행된 연구에서는 기획, 조직, 인적자원관리, 지휘 및 통제 과정별로 범주화할 수 있다고 하였다[10]. 현재까지 간호관리자에게 필요로 되는 역량에 대한 연구들을 보면 공통적으로는 환자간호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를 위해 임상지식 및 기술과 관련된 역량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으며[11-13], 이외에도 의사소통역량, 인적 자원을 포함한 자원관리 역량[11,12]이 필요함을 보고하고 있다.
간호관리 역량이란 무엇인가? 역량(competency)이란 준거에 따른 효과적이고 우수한 업무 수행의 원인이 되는 개인의 내적 특성이며[7], 간호관리 역량(nursing managerial competency)은 간호관리 상황에서 간호관리 업무를 적절히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감각, 행위 등을 의미하며[8] 간호사의 직무만족, 동기부여, 이직, 환자간호의 질 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9] 최근에 진행된 연구에서는 기획, 조직, 인적자원관리, 지휘 및 통제 과정별로 범주화할 수 있다고 하였다[10]. 현재까지 간호관리자에게 필요로 되는 역량에 대한 연구들을 보면 공통적으로는 환자간호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를 위해 임상지식 및 기술과 관련된 역량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으며[11-13], 이외에도 의사소통역량, 인적 자원을 포함한 자원관리 역량[11,12]이 필요함을 보고하고 있다.
간호단위관리자의 핵심역량은 5개 역량군은 무엇인가? 또한 간호단위관리자의 핵심역량은 5개 역량군, 37개 역량으로 도출되었다. 5개 역량군은 임상수행역량, 인간관계 역량, 전문직 역량, 리더십 역량, 비즈니스 역량군이며 이는 비슷한 시기에 진행된 연구의 기획, 조직, 인적자원, 지휘, 통제의 5개 과정으로 간호관리자의 역량군을 분류한 결과[10]와는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체계적 문헌검색을 진행하면서 여러 간호전문직 단체에서 간호관리자의 역량군을 다양하게 제시하여 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간호전문직 단체에서 제시하고 있는 간호관리자 역량군을 살펴보면 ANA (American Nurses Association)의 Leading yourself, Leading others, Leading the organization [8], AONE (American Organization of Nurse Executives)에서 제시한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building, Professionalism, Knowledge of healthcare environment, Business skills and principles, Leadership [24], NIPEC (Northern Ireland Practice and Education Council for Nursing and Midwifery)에서 제시한 Safe & Effective Practice, Delivery of organizational objectives, Enhancing the patient/client experience, Leadership and Management [25] 등 간호관리자에게 필요한 역량군의 명칭이 다양함을 알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o MS, Lee HZ, Koh MS. Effects of nurses' social capital and job engagement on nursing performance: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7;23(1): 42-51. http://dx.doi.org/10.11111/jkana.2017.23.1.42 

  2. Lee JY, Park SY. The impacts of nurses' psycho-social health and social support from colleagues on patient caring abil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6; 22(5):461-470. http://dx.doi.org/10.11111/jkana.2016.22.5.461 

  3. Moon JH, Joo GE, Lee J. Grounded theoretical analysis on the hospital accreditation experience of head nurses in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6;22(5):437-447. http://dx.doi.org/10.11111/jkana.2016.22.5.437 

  4. Jang MJ, Lee EN, Lee YH. Effect of nurses'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 of head nurses' emo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5;21(1):133-141. http://dx.doi.org/10.11111/jkana.2015.21.1.133 

  5. Kim YS, Eo YS, Lee NY. Effects of head nurses' managerial competencies and professional nurse autonomy in nursing performa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4):437-445.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4.437 

  6. Kang S. The experiences of job stress on head nurses in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7; 37(4):501-509. 

  7. Spencer LM, Spencer SM.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NY: Wiley; 1993. 

  8. American Nurses Association [Internet]. ANA Leadership Institute-Competency model; 2015[cited 2017 July 26]. Available from: https://learn.ana-nursingknowledge.org/template/ana/pu blications_pdf/leadershipInstitute_competency_model_broc hure.pdf. 

  9. Sullivan J, Bretschneider J, McCausland MP. Designing a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 development program for nurse manager.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3;33 (10):544-549. 

  10. Kim SY, Kim JK.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nursing management competencies and development of related behavioral indicators in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6;46(3):375-389. http://dx.doi.org/10.4040/jkan.2016.46.3.375 

  11. Scoble KB, Russell G. Vision 2020, part I: Profile of the future nurse leader.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3;33(6): 324-330. 

  12. Pillay R. Towards a competency-based framework for nursing management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2010;16(6):545-554. 

  13. Drenkard K, Cohen E. Clinical nurse leader: Moving toward the futur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4;34(6): 257-260. 

  14. Gould D, Kelly D, Goldstone L, Maidwell A. The changing training needs of clinical nurse managers: Exploring issues for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1;34(1):7-17. 

  15. Min M, Yu S. Developing of a tool for ambulatory care nurse competenc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7;23(1):90-100. http://dx.doi.org/10.11111/jkana.2017.23.1.90 

  16. Park MR, Kim NC. Development of a nursing competence measurement scale according to nurse's clinical ladder in general war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3):257-271.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3.257 

  17. Park JE, Kim SS. Development of a nursing competency scale according to a clinical ladder system for intensive car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 19(4):501-512.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4.501 

  18. Kang YS, Lee SJ, Kim IJ, Ahn KH. A measurement scale development of nursing competence for nurses working in general war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8;14(3):219-228. 

  19. Kim YS, EO YS. The effect of core competencies and cognition of job competency of their senior nurse on work performance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e Education. 2013;19(4):617-626.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4.617 

  20.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Internet].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cited 2017 June 27]. Available from: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 

  21. Lee DH. Study on the competency modeling and general competencies of a cabin attendant. Korea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006;20:335-350. 

  22. Martilla JA, James JC.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1977;41(1):77-79. http://dx.doi.org/10.2307/1250495 

  23. Lynn MR.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1986;35(6):382-286. 

  24. The American Organization of Nurse Executives. Communication knowledge leadership professionalism business skills [Internet]. The AONE Nurse Executive Competencies. Chicago, IL: AONE: 2015[cited 2017 July 26]. Available from: http://www.aone.org/resources/nec.pdf. 

  25. Northern Ireland Practice and Education Council for Nursing and Midwifery[Internet]. Competence assessment tool for ward manager. NIPECNM: 2010[cited 2017 July 26]. Available from: http://www.nipec.hscni.net/download/professional_infor mation/resource_section/team_leader/Guidance-Ward-and- Community-Leaders.pdf. 

  26. Stowell S. Coaching: A commitment to leadership. Training & Development Journal. 1988;42(6):34-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