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관리자의 갈등관리유형이 간호사의 리더신뢰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rse Managers' Conflict Management Styles on Nurses' Leader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5 no.3, 2018년, pp.215 - 223  

최영애 (인하대병원, 간호단위) ,  임지영 (인하대학교) ,  이은혜 (인하대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nurse managers' conflict management styles on nurses' levels of leader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ethods: For this study, a descriptive survey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165 nurses who had worked more than 1 year...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분석 결과, 간호관리자의 갈등관리유형 중 문제해결형이 리더신뢰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간호업무 환경에서 발생하는 갈등 상황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간호관리자의 적극적인 갈등관리 태도가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문제해결형이 리더신뢰와 조직몰입을 높여준다는 면에서 바람직한 갈등관리유형임을 제안한다.
  • 본 연구는 간호관리자의 갈등관리유형이 간호사의 리더신뢰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관리자의 갈등관리유형이 간호사의 리더신뢰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간호관리자의 갈등관리유형이 간호사의 리더신뢰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간호관리자의 바람직한 갈등관리유형 개발에 필요한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간호관리자의 갈등관리유형 중 문제해결형이 리더신뢰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그러나 아직까지 갈등과 관련하여서는 간호사가 겪는 갈등 현상에 초점을 둔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간호사와 간호관리자의 양자 관계에 관심을 두고 간호관리자의 갈등관리유형과 이에 따른 간호사의 행동변수 간의 관련성을 검토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가 지각한 간호관리자의 갈등관리유형이 간호사의 리더신뢰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관리자의 바람직한 갈등관리유형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갈등관리유형이란 무엇인가? 갈등관리유형은 개인이 갈등 상황에 대응 또는 갈등을 처리하는 개인 특유의 방식을 의미한다[10]. Yang과 Kang [11]은 갈등의 문제를 공동으로 해결하려는 관리자의 협력적 갈등관리 방식이 간호사의 자발적 헌신을 이끌어 낸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역할갈등이 심해지면 간호사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역할갈등이 심해지면 조직 내 역할을 유보하거나 거부하는 경우가 빈번해 지고 나아가서는 아예 조직을 이탈하고자 하는 동기가 강화되어 결국 조직몰입을 위협하고[4,7], 직무만족을 저하시키며[5,6], 간호직에 대한 불만과 회의로 이어지게 된다[7]. 이에 대하여 Robbins [8]는 갈등 자체의 발생을 통제하려 하기보다는 갈등 수준을 적정 수준 내에서 관리함으로써 이를 합리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활동, 즉 갈등의 순기능을 확대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한 관리자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언론매체에서 이슈화된 병원 간호사의 자살, 동료 간의 태움, 따돌림, 언어폭력 등과 같은 각종 사건, 사고의 보도는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최근 TV, 언론매체에서 이슈화된 병원 간호사의 자살, 동료 간의 태움, 따돌림, 언어폭력 등과 같은 각종 사건, 사고의 보도는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으며 간호계에도 큰 경종을 울렸다. 이는 간호사가 병원의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면서 겪게 되는 여러 갈등 상황이 병원 내부의 조직관리 차원에서 해결되지 못하고 병원 조직 밖에까지 문제를 드러냄으로써 사태의 심각성을 보여주고 있다[2]. 간호사의 갈등관리 해결은 병원 간호조직에서 해결해야 할 최우선 과제 중 하나가 되었다. 병원 조직 내에서 간호전문직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다른 의료 전문직과 환자 사이에 간호사의 새로운 역할 수행이 요구되며, 조직 내 계층의 수와 전문 분야가 세분화되고 다양해짐에 따라 더 많은 갈등에 노출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e IJ. In addition, cases of social interest, such as insect sap, are issued as a "caution warning" for patient safety, Seoul: NEWSIS; 2017[cited 2017 Nov 14]. Available from: http://www.newsis.com/ 

  2. Lim JS, Heo S. "It's so hard"...55% to 77% "want to leave hospital" [internet]. Seoul: Hankyoreh; 2016 [cited 2016 June 24]. Available from: http://www.hani.co.kr/ 

  3. Booth R. Conflict resolution. Nursing Outlook, 1982;30(8):447-453. 

  4. Lee HR, Yoon KW. Influences on the duty performance of industrial counselor's role conflicts and duty stresse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04;16(2):309-325. 

  5. Ha 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d nurse's decision making style perceived by nurses and job satisfaction, role conflict and the organizational health in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13;21(1):61-71. 

  6. Cox KB. The effects of intrapersonal, intragroup, and intergroup conflict on team performance effectiveness and work satisfaction. Nursing Administration Quarterly. 2003;27(2):153-163. 

  7. Lee Y. Kang J. Related factors of turnover intention among Korean hospital nurs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018;30(1):1-17. https://doi.org/10.7475/kjan.2018.30.1.1 

  8. Robbins SP. Organization theory: The structure and design of organizations. New Jersey:Prentice-Hall;1983. p.291. 

  9. Owens LD, James VH. Peer victimisation and conflict resolution among adolescent girls in a single-sex South Australian school. International Education Journal 2004;5(1):37-49. 

  10. Thomas KW. Conflict and conflict management: In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Rand McNally;1976. P.889-933. 

  11. Yang CH, Kang YS. The Impact of a supervisor's conflict resolution style on a nurs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 The moderating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Korean Association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17;20(4):137-157. https://doi.org/10.24991/KJHRD.2017.12.20.4.137 

  12. Shin WM. The influence of leader's conflict management style on leader trust,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of professional dance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2015;54(5):475-489. 

  13. Cook J, Wall T. New work attitude measures of trus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sonal need non-fulfillment.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980;53(1):39-52. https://doi.org/10.1111/j.2044-8325.1980.tb00005.x 

  14. Kim Y, Oh J. An empirical study of conflict and conflict management on the dual commitment in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organizations. The E-Business Studies. 2011;12(2):3-26. 

  15. Chang HJ, Eun JH. The Influence of conflict management mod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individual peculiarities.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2012;50(4):23-51. 

  16. Choi SB. The relations between art high school dance teacher to conflict management, leader trust and leader satisfaction. The Korean Journal of Dance. 2013;71(6):261-275. 

  17. Chung YJ. The impact of conflict management by the hotel manager on trust of leader. Tourism Research. 2006;23:177-196. 

  18. Ohbuchi K, Suzuki M, Hayashi Y. Conflict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attitudes among Japanese: individual and group goals and justice. Asi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2001;4(2):93-101. https://doi.org/10.1111/j.1467-839X.2001.00078.x 

  19. Lee JH. A study on the effects of conflict management style of team leader about perception in organizational justices of team members and their team commitment in service firms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 Service Management Society. 2005;6(3):107-140. 

  20. Bae Y. A study on the effect of leadership and conflict management styles of middle level personnel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its employees: Hospitals in Busan-Gyeongnam province. [dissertation]. Busan: Inje University;2014. p. 31-32. 

  21. Yi HH, Yi YJ. Influence of leader-member exchange quality of head nurses and clinical nurs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14;20(2):195-205. https://doi.org/10.11111/jkana.2014.20.2.195 

  22. Lee HS. Effects of leader's conflict management style and task interdependence on employee's conflict management styles.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1999;1(1):39-53. 

  23. Kolb DA, Rubin RM, Osland JS. Organizational behavior: An experimental approach 6th. New Jersey:Prentice-Hall; 1995. 

  24. Podsakoff PM, MacKenzie SB, Moorman RH, Fetter R. Transformational leader behaviors and their effects on followers' trust in leader,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Leadership Quarterly. 1990;1(2):107-142. https://doi.org/10.1016/1048-9843(90)90009-7 

  25. Mowday RT, Steers RM, Porter LW. The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Vacational Behavior. 1979;14:224-247. 

  26. Kim M. Influence of career ladder system on nursing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2013. p. 26. 

  27. Joo HJ, Kwon LJ. A empirical analysis of conflict management method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hief executive: Focusing on the social welfare institutions of Cheongju area. The Korean Society for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2015;14(4):149-175. 

  28. Park SW, Kim KB. A study of role-conflict,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according to their current work pos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05;11(1):65-74. 

  29. Kim Y, Kang YS. Effects of self-efficacy, career plateau, job embedded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15;21(5):530-541.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5.530 

  30. Min S, Kim HS. Effects of nurse's organizational confli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labor union commitment in University hospital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12;18(4):374-382. https://doi.org/10.11111/jkana.2012.18.4.3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