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간호사의 프리젠티즘 연구에 관한 통합적 고찰
Presenteeism in Clinical Nurses: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6 no.3, 2017년, pp.160 - 171  

권민정 (경상북도지방공무원교육원) ,  최은숙 (경북대학교 간호대학.경북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review aimed to integrate the results of studies related to presenteeism in clinical nurse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Methods: The search for relevant studies was conducted using six data bases according to predetermined index terms, "$nurs^*$" and "pr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프리젠티즘 관련 국내외 연구논문을 통합적 고찰방법으로 분석한 문헌고찰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여러 연구들에서 나타난 임상간호사의 프리젠티즘 현상을 포괄적으로 고찰하여, 현재까지 이루어진 연구성과를 통합하였다. 그러나 간호관리적 측면에서 프리젠티즘과 관련한 연구들 가운데 임상간호사로 대상을 한정하여 소수의 연구를 분석하였다는 제한점이 있으며, 따라서 이들 연구에서 확인된 변수들을 일반화하기에 신중함이 필요하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진행된 임상간호사의 프리젠티즘 연구에서 사용된 프리젠티즘 개념을 알아보고, 개념의 측정과 이에 관련된 주요 변수들을 확인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와 국외 주요 학술지에 게재된 임상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프리젠티즘 관련 연구들을 분석함으로써 주요 결과를 정리하고 동향을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향후 연구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로자의 건강과 관련된 생산성 손실의 범위는 어떻습니까? 생산성은 조직의 성공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이다(Burton, 2010). 근로자의 건강과 관련된 생산성 손실은 결근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손실뿐만 아니라 건강하지 않은 상태에서 일을 함으로 발생하는 생산성의 손실 또한 포함된다(Schultz, Chen,& Edington, 2009). 많은 기업들이 조직구성원의 건강을 증진시켜 결근을 감소시키고 조직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직장 내 근로자의 신체적 ․ 정신적 건강증진에 관심을 기울여 왔고, 이러한 경향은 프리젠티즘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프리젠티즘에 대한 관심의 초점은 무엇입니까? ‘프리젠티즘(presenteeism)’ 용어는 1990년대 후반부터 건강과 생산성에 관한 문헌에서 나타나기 시작했으며(Lack, 2011), 대체로 생산성 저하의 문제를 설명하는 새로운 경제적 단어로 떠오르고 있다. 프리젠티즘에 대한 관심의 초점은 건강문제를 가지고 출근하여 일할 때 근로자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가이며, 평소보다 이러한 능력이 떨어지는 것을 업무손실로 보는 것이다(Lee, 2009).
간호사의 건강문제가 소홀해질경우 발생되는 문제점은 무엇입니까? 간호사의 건강문제는 개인의 문제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안위와 연결되는 고리를 가진다. 따라서 이에 대한 관리가 소홀해진다면 이는 간호의 서비스 질 저하뿐만 아니라 조직의 생산성 저하를 유발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의료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 간호사들은 다른 직종의 여성들과 비교하여 요통과 관절염, 일상생활의 지속을 어렵게 하는 통증, 우울 등에 대한 위험도가 매우 높다고 보고되나(Shield & Wilkins, 2006), 업무수행에 대한 책임감, 교대근무, 간호인력의 부족, 바쁜 업무 등으로 인하여 건강문제를 지닌 채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ronsson, G., Gustafsson, K., & Dallner, M. (2000). Sick but yet at work. An empirical study of sickness presenteeism.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54(7), 502-509. 

  2. Baker-McClearn, D., Greasley, K., Dale, J., & Griffith, F. (2010). Absence management and presenteeism: The pressures on employees to attend work and the impact of attendance on performance. Human Resource Management Journal, 20(3), 311-328. http://dx.doi.org/10.1111/j.1748-8583.2009.00118.x 

  3. Bergstrom, G., Bodin, L., Hagberg, J., Aronsson, G., & Josephson, M. (2009). Sickness presenteeism today, sickness absenteeism tomorrow? A prospective study on sickness presenteeism and future sickness absenteeism.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51(6), 629-638. http://dx.doi.org/10.1097/JOM.0b913e3181a8281b 

  4. Boles, M., Pelletier, B., & Lynch, W.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risks and work productivity.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46, 737-745. 

  5. Burton, J. (2010). WHO Healthy workplace framework and model: Background and supporting literature and practices. Geneva: WHO Press. 

  6. Burton, W. N., Chen, C. Y., Conti, D. J., Schultz, A. B., & Edington, D. W. (2006). The association between health risk change and presenteeism chang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48(3), 252-263. 

  7. Caverley, N., Cunningham, J. B., & MacGregor, J. N. (2007). Sickness presenteeism, sickness absenteeism, and health following restructuring in a public service organization.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44(2), 304-319. http://dx.doi.org/10.1111/j.1467-6486.2007.00690.x 

  8. Escorpizo, R., Bombardier, C., Boonen, A., Hazes, J. M. W., Lacaille, D., Strand, V., et al. (2007). Worker productivity outcome measures in arthritis. Journal of Rheumatology, 34(6), 1372-1380. 

  9. Gartner, F. R., Nieuwenhuijsen, K., van Dijk, F. J. H., & Sluiter, J. K. (2010). The impact of common mental disorders on the work functioning of nurses and allied health professionals: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7(8), 1047-1061.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10.03.013 

  10. Gate, D. M., Succop, P., Brehm, B. L., Gillespie, G. L., & Sommers, B. D. (2008). Obesity and presenteeism: The impact of body mass index on workplace productivity.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50(1), 39-45. 

  11. Gosselin, E., Lemyre, L., & Corneil, W. (2013). Presenteeism and absenteeism: Differentiated understanding of related phenomena.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8(1), 75-86. http://dx.doi.org/10.1037/a0030932 

  12. Hansen, C. D., & Andersen, J. H. (2008). Going ill to work - What personal circumstances, attitudes and work-related factors are associated with sickness presenteeism? Social Science & Medicine, 67(6), 956-964. 

  13. Hassmiller, S. B., & Cozine, M. (2006). Addressing the nurse shortage to improve the quality of patient care. Health Affairs, 25(1), 268-274. 

  14. Hemp, P. (2004). Presenteeism: At work-bit out of it. Harvard Business Review, 82(10), 49-58. 

  15. Johns, G. (2010). Presenteeism in the workplace: A review and research agenda.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31(4), 519-542. http://dx.doi.org/10.1002/job.630 

  16. Johns, G. (2011). Attendance dynamics at work: The antecedents and correlates of presenteeism, absenteeism, and productivity los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6(4), 483-500. 

  17. Kim, J. H., Hyun, M. Y., Kim, Y. S., Kim, J. S., Nam, S. O., Song MS, et al. (2010). Psycho-social well-being, health perception and behavior among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6(1), 26-36. 

  18. Koopman, C., Pelletier, K. R., Murray, J. F., Sharda, C. E., Berger, M. L., Turpin, R. S., et al. (2002). Stanford presenteeism scale: health status and employee productivity.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44(1), 14-20. 

  19. Koopmanschap, M. A. (2005). PRODISQ: a modular questionnaire on productivity and disease for economic evaluation studies. Expert Review of Pharmacoeconomics & Outcomes Research, 5(1), 23-28. 

  20. Lack, D. M. (2011). Presenteeism Revisited. A comprehensive Review. Americ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Journal, 59(2), 77-89. http://dx.doi.org/10.3928/08910162-20110126-01 

  21. Lee, Y. M. (2006). The effect of stress on presenteeism in workers of factory at Seoul? Kyonggi area.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2. Lee, Y. M. (2009). The relationship of stress, health problems, absenteeism, productivity and presenteeism in Korean and Japanese work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19(3), 202-212. 

  23. Lerner, D., Amick, B. C., Rogers, W. H., Malspeis, S., Bungay, K., & Cynn, D. (2001). The work limitations questionnaire. Medical Care, 39(1), 72-85. http://dx.doi.org/10.1097/00005650-200101000-00009 

  24. Letvak, S. A., & Ruhm, C. J. (2010). The impact of worker health on long term care: Implications for nursing managers. Geriatric Nursing, 31(3), 165-169. 

  25. Merrill, R. M., Aldana, S. G., Pope, J. E., Anderson, D. R., Coberley, C. R., Whitmer, R. W. et al. (2012). Presenteeism according to healthy behaviors, physical health, and work environment. Population Health Management, 15(5), 293-301. http://dx.doi.org/10.1089/pop.2012.0003 

  26. Peterson, M., & Wilson, J. F. (2002). The culture-work-health model and work stress. American Journal of Health Behavior, 26(1), 16-24. http://dx.doi.org/10.5993/AJHB.26.1.2 

  27. Schultz, A. B., Chen, C. Y., & Edington, D. W. (2009). The cost and impact of health conditions on presenteeism to employers: A review of literature. Pharmacoeconomics, 27(5), 365-378. 

  28. Shiels, M., & Wilkins, K. (2006). Findings from the 2005 National Survey of the Work and Health of Nurses (catalogue83-003-XPE). Ottawa: Minister of Industry. 

  29. Turpin, R. S., Ozminkowski, R. J., Sharda, C. E., Collins, J. J., Berger, M. L., Billotti, G. M., et al. (2004).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tanford Presenteeism Scal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46(11), 1123-1133. 

  30. Widera, E., Chang, A., & Chen, H. L. (2010). Presenteeism: A public health hazard.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5(11), 1244-1247. http://dx.doi.org/10.1007/s11606-010-1422-x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