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간호사의 프리젠티즘 영향요인
Predictors of Clinical Nurses' Presenteeism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3 no.3, 2014년, pp.134 - 145  

김미지 (중앙대학교 대학원) ,  최향옥 (중앙대학교 대학원) ,  류은정 (중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clinical nurses' presenteeism. Method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in which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that consisted of measures for nurses' job satisfaction, job stress, professionalism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난 한 달 동안 건강문제를 가지고 출근하였을 때 발생하는 업무손실’을 ‘프리젠티즘’이란용어로 사용하고, 아직 일반적으로 친숙한 용어가 아닌 ‘sickness presenteeism'이라는 용어 대신 ‘장기간의 프리젠티즘’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 전문직관, 직무 스트레스, 프리젠티즘, 질병 관련 프리젠티즘 정도를 파악하고 프리젠티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프리젠티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확인하여 프리젠티즘으로 인한 생산성 손실을 줄이기 위한 중재 마련의 기초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임상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중 연령, 학력, 근무형태, 직급, 급여, 밤 근무 유무가 프리젠티즘으로 인한 직무손실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이미 알려져 있는 프리젠티즘의 중요 영향변수인 개인적인 특성, 업무 스트레스 이외에도 간호사들이 가지고 있는 전문직관이나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한 달이라는 단기간의 프리젠티즘 뿐만 아니라 일 년의 장기적인 프리젠티즘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한국에서 선행된 간호사의 프리젠티즘에 관한 연구는 모두 한 달이라는 단기간에 간호사가 지각한 건강문제에 따른 직무손실이나 지각된 생산성 정도를 파악하였다(Gun et al.
  • 본 연구에서는 임상간호사의 프리젠티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변수인 간호사의 개인적 특성, 건강문제, 직무 스트레스와 함께 직무만족, 전문직관을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에게 건강문제가 생겼을 때, 간호사의 어떠한 일반적 특성이 간호사의 프리젠티즘과 관련된 업무손실에 영향을 주는지, 간호사의 업무적 요소인 직무만족 및 직무 스트레스 그리고 간호사의 전문직관이 프리젠티즘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이러한 요인들이 장기적인 프리젠티즘 (sickness presenteeism)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서 간호사의 프리젠티즘 유발 요인들을 조기에 관리하고, 간호서비스의 질 향상뿐만 아니라 병원 전체의 생산성 증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sickness presenteeism이라는 개념은 통용되고 있는 프리젠티즘과는 조금 상이한 개념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리젠티즘은 무엇인가? 건강과 관련된 생산성 손실은 결근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손실뿐만 아니라 건강하지 않은 상태에서 일을 함으로 발생하는 생산성의 손실 또한 포함된다(Schultz, Chen, & Edington, 2009). 프리젠티즘(presenteeism)은 근로자들이 건강문제가 생겨 쉬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출근함으로 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는 것을 말한다(Johns, 2010). 이러한 프리젠티즘으로 인하여 유발되는 경제적인 손실은 결근(absenteeism) 으로 유발되는 직접적인 손실처럼 쉽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닌 간접적인 비용손실(Hemp, 2004)로 업무관리 측면이나 학술적인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관심을 받아왔다.
Stanford Presenteeism Scale은 무엇인가? , 2002). SPS-6는 지난 한달 동안 건강문제가 직장 업무에 어느 정도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묻는 것으로 5점 척도,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손실이 큰 것을 의미한다. 도구의 신뢰도는 Koopman 등(2002)의 연구에서는 Cronbach's ⍺=.
프리젠티즘으로 유발되는 직무손실은 어떠한 요소에 차이가 나는가? 프리젠티즘으로 유발되는 직무손실은 대상자의 특성 중 연령, 학력, 근무형태, 직급, 급여, 밤 근무 유무에 따라 유의한차이가 있었다. 국내에서 간호사의 프리젠티즘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Lee와 Jung (2008)의 연구에서는 연령, 학력, 종교, 가족과 거주 유무, 결혼 상태, 자녀 유무, 근무 기간, 이직 경험, 교대근무, 밤 근무, 월급만족도, Gun 등(2011)의 연구에서는 연령, 임상경력, 업무량 과중, Kim (2009)의 연구에서는 간호사 면허증 소지기간, 현 근무지 재직기간, 월 야간 근무 횟수, 월급 만족도, 근무부서, 근무시간 조정, Woo (2012) 의 연구에서는 연령, 결혼 상태, 임상경력, 밤 근무 횟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ronsson, G., Gustafsson, K., & Dallner, M. (2000). Sick but yet at work. An empirical study of sickness presenteeism.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54 , 502-509. http://dx.doi.org/10.1136/jech.54.7.502 

  2. Baek, H. C., & Kim-Godwin, Y. S. (2007). Translation and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of Hall's professionalism invento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3 (4), 509-515. 

  3. Canadian Federation of Nurses Unions. (2011). Trends in own illness or disability-related absenteeism and overtime among publicly-employed registered nurses: Quick facts. Retrieved January 3, 2014, from https://nursesunions.ca/sites/default/ files/ overtime_and_absenteeism_quick_facts.pdf 

  4. Cancelliere, C., Cassidy, J. D., Ammendolia, C., & Cote, P. (2011). Are workplace health promotion programs effective at improving presenteeism in workers? A systematic review and best evidence synthesis of the literature. BMC Public Health, 11(1), 395. http://dx.doi.org/10.1186/1471-2458-11-395 

  5. Chang, S. J., Koh, S. B., Kang, D., Kim, S. A., Kang, M. G., Lee, C. G., et. el. (2005).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7(4), 297-317. 

  6. Davey, M. M., Cummings, G., Newburn-Cook, C. V., & Lo, E. A. (2009). Predictors of nurse absenteeism in hospital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7(3), 312-330.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08.00958.x. 

  7.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 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2), 175-191. http://dx.doi.org/10.3758/BF03193146 

  8. Goetzel, R., Long, S., Ozminkowski, R., Hawkins, K., Wang, S., & Lynch, W. (2004). Health, absence, disability, and presenteeism cost estimates of certain physical and mental health conditions affecting U.S. employer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46(4), 398-412. 

  9. Greenhaus, J. G., & Saroj Parasuraman. (1987). A work-nonwork interactive perspective of stress and its consequence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Management, 8(2), 37-60. http://dx.doi.org/10.1300/J075v08n02_04 

  10. Gun, M. S., Choi, Y. H., & Park, K. H. (2011). Job stress and presenteeism of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2), 163-171. 

  11. Han, S. S., Kim, M. H., & Yun, E. K. (2008). Factors affecting nursing professionalism.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4(1), 73-79. 

  12. Hansen, C. D., & Andersen, J. H. (2008). Going ill to work-What personal circumstances, attitudes and work related factors are associated with sickness presenteeism? Social Science & Medicine, 67, 956-964. 

  13. Hemp, P. (2004). Presenteeism: At work-but out of it. Harvard Business Review, 82(10), 49-58. http://dx.doi.org/10.1016/j.socscimed.2008.05.022 

  14. Johns, G. (2010). Presenteeism in the workplace: A review and research agenda.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31 , 519-542. http://dx.doi.org/10.1002/job.630 

  15. Johns, G. (2011). Attendance dynamics at work: The antecedents and correlates of presenteeism, absenteeism, and productivity los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6 (4), 483-500. http://dx.doi.org/10.1037/a0025153 

  16. Johnson, S. M., Smith, P. C., & Tucker, S. M. (1982). Response format of the Job Descriptive Index: Assessment of reliability and validity by the multitrait-multimethod matrix.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7(4), 500-505. 

  17. Kim, H. Y.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blems and working environment of clinic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18. Kim, Y. J., Song, H. K., & Lee, M. A. (2011). Perceived relationship among professional self-concept, head nurse's leadership, and nursing clinical competency by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 (1), 96-105. http://dx.doi.org/10.11111/jkana.2011.17.1.96 

  19. Koopman, C., Pelletier, K. R., Murray, J. F., Sharda, C. E., Berger, M. L., Turpin, R. S., et al. (2002). Stanford Presenteeism Scale: Health status and employee productivity.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44 , 14-20. 

  20. Kwon, M. S. (2009). Work stress and presenteeism of nurses with shift work.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1. Kwon, M., & Kim, S. L. (2010). The Job stress and presenteeism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in workplace in Korea.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9(2), 159-169. 

  22. Lee, Y. M. (2006). The effect of stress on presenteeism in workers of factory at Seoul . Kyonggi A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3. Lee, Y. M., & Jung, M. H. (2008). Presenteeism and absenteeism according to health problems o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19(3), 459-468. 

  24. Lu, L., Cooper, C. L., & Lin, H. Y. (2013). A cross-cultural examination of presenteeism and supervisory support. Career Development International, 18(5), 440-456. http://dx.doi.org/10.1108/CDI-03-2013-0031 

  25. Martinez, L. F., & Ferreira, A. I. (2012). Sick at work: Presenteeism among nurses in a Portuguese public hospital. Stress and Health, 28(4), 297-304. http://dx.doi.org/10.1002/smi.1432 

  26. Merrian-Webster Dictionary. Retrieved January 10, 2014, from http://www.merriamwebster.com 

  27. Mueller, C. W., & McCloskey, J. C. (1990). Nurses' job satisfaction: A proposed measure. Nursing Research, 39(2), 113-116. 

  28. Schultz, A. B., Chen, C. Y., & Edington, D. W. (2009). The cost and impact of health conditions on presenteeism to employers: A review of literature. Pharmacoeconomics, 27(5), 365-378. 

  29. Turpin, R. S., Ozminkowski, R. J., Sharda, C. E., Collins, J. J., Berger, M. L., Billotti, G. M., et al. (2004).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tanford Presenteeism Scal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46(11), 1123-1133. 

  30. Woo, J. S. (2012).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resenteeism in clinic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