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대근로자의 업무특성과 건강상태에 대한 연구: 제5차 근로환경조사를 중심으로
Work Characteristics and Health Status of Shift Work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f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원문보기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v.29 no.4, 2019년, pp.550 - 561  

백경희 (창원대학교 생명공학과정) ,  하권철 (창원대학교 생명보건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the working environment for health prevention and related countermeasures for shift workers.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Fif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 which analyzed the health effects of...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7년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전국 5만 여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시행된 제5차 근로환경조사(KWCS)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교대근로자의 업무특성과 건강상태에 대해 분석한 연구이다.
  • 생산, 경영, 공익시설의 효율적 활용과 관리를 위한 교대근무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본 연구에서는 2017년에 실시한 근로환경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교대근무로 인한 교대근로자의 건강상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교대근무군에서 업무상 건강문제에 대한 호소율이 높게 나타났다.
  • 이에 따라 2017년 실시한 5차 근로환경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교대근무군의 업무특성과 건강상태를 조사하고 교대근무와 건강에 관한 상관성을 분석하여 교대근무자들의 건강예방 대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함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변적 교대근무가 남녀 모두에게 끼치는 영향은? ,2009). 가변적 교대근무는 남여 모두에게서 높은 업무스트레스 및 심각한 정서적 문제로 야기될 가능성이 크며(Gordon et al., 1986), Park et al.(2012)의 연구에서도 교대근무군이 비교대근무군 보다 직업적 손상을 경험할 확률이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교대근무군과 비교대근무군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는 남녀 모두 20대 이하의 낮은 연령층에서 교대근무를 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60대 이상에서 남성 교대근로자가 12.9%로 높게 나타난 이유는? 9%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경제활동 진출 전인 20대 이하와 퇴직 후 경제활동에서 멀어지는 60대 이상에서 임시근로자의 비율이 높아진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었다(KOSHA, 2017). 학력의 경우 교대근무군은 고졸 비율 46.
교대근무란? 국제노동기구(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ILO)에서는 교대근무란 노동시간을 조직화하여 노동자들이 일터에서 다른 시간이나 야간에도 서로 일을 이어서 하는 것으로,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ational Institute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은 ‘오전 7시부터 오후 6시’까지를 정상적인 표준 근로시간이라 하며 이외 시간에 행해지는 모든 노동형태를 교대근무로 정의하고 있다(Bae et al.,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e K, Park T, Lee M, Lee Y, Kim J et al. Shiftwork systems and working hours. Korea Labor Institute 2013.p. 15-20, p. 336-337 

  2. Caruso CC. Negative impacts of shiftwork and long work hours. Rehabilitation Nursing 2014;39(1):16-25 

  3. Costa G. Shift work and occupational medicine: an overview. Occupational medicine 2003;53(2):83-88 

  4. Gordon NP, Cleary PD, Parker CE, Czeisler CA. The prevalence and health impact of shiftwork.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86;76(10):1225-1228 

  5. Erren TC, Morfeld P, Stork J, et al. Shift work, chronodisruption and cancer? the IARC 2007 challenge for research and prevention and 10 theses from the cologne colloquium 2008.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009:74-79 

  6. Harrington JM. Shift work and health-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on working hours. Annals of the Academy of Medicine, Singapore 1994; 23(5):699-705. 

  7. Hong C, Kim Y. The evaluation of workload on lower limbs muscles in imbalanced lower limbs postures using EMG for preventing WMSDs.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8(3),2009;8,81-85(5 pages) 

  8. Hong E, Kim S. Health status and affecting factors related to job among korean women employe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2;Vol.13,No.9pp.4107-4118 

  9. Jang J. A study on the occupational health problems of shift workers based on the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database. Master's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Changwon. 2017:1-84 

  10. Jung Y, Kim S, Song E, Oh S, Woo K. The economic burden of diseases attributable to overwork and policy implications in korea. KIHASA Report 2018:1-235 

  11. Jung Y. The effects of overwork on health and the burden of disease. KIHASA Health and Social Affairs Issue & Focus 2019;362:1-8 

  12. Kim E, Kim M, Kyeun K.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nd sleep patterns between shift workers and non-shift workers in manufacturing plants. Korean J Occup Health Nurs. 2008;17(1):45-54. 

  13. Kim Y, Lee J, Baik J. 2014 Korea working conditions survey data analysis. Journal of Applied Reliability 2015;15(3):181-191 

  14. Kim Y, Yang W, Baik J. Comparative study of working conditions of korea and europ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16;27(1):45-65 

  15. KOSHA. Health management guidelines of shift workers. KOSHA GUIDE 2011:1-5 

  16. KOSH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Final report of 2017 The Fif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2017:1-162 

  17. Lee H, Cho Y. Musculoskeletal disorder symptom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male workers in manufacturing industries. 2012; vol.13, no.8, pp.3552-3560(9 pages) 

  18. Lee J, Lee Y. In a 24-hour society. The Radical Review 2012(54):259-279 

  19. Lee K, Kim J. Relationship of shift work to cardiovascular and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korean female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8;20(4):362-371 

  20. MoEL. Commentary and guidance on major revisions of special health examination for night workers. 2013:1-66 

  21. Park J, Park T, Paek D, Joh K, Cho S. The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 and work-related injuries among korean workers. Ann Occup Environ Med. 2012, vol.24, no.1, pp.52-60(9 pages) 

  22. Son Y, Park Y. Relationships between sleep quality, fatigue and depression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by shift-work patterns in university hospital nurses. J Korean Biol Nurs Sci 2011;13(3): 229-237 

  23. Straif K, Baan R, Grosse Y, Secretan B, El Ghissassi F, Bouvard V, et al. Carcinogenicity of shift-work, painting, and fire-fighting. The Lancet Oncology. 2007;8(12):1065-1066. 

  24. Yi Y, Jung H. Analysis on female workers' job stress in sales and retail industries. Korean J Occup Health Nurs 2009;18(1):22-3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