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수면과 감각처리 특성의 상관관계
Correlation of Sleep and Sensory Processing Patterns With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The jo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v.15 no.1, 2017년, pp.33 - 45  

이예진 (인제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김가연 (해성병원) ,  김리진 (센서리파워아동청소년감각통합연구소) ,  박소빈 (관자재요양병원) ,  박시원 (해운대나눔과행복병원) ,  김경미 (인제대학교 보건의료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비숙면군 대학생의 감각처리특성과 수면의 질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대구광역시, 그리고 경상북도에 소재한 6개 대학의 만 18세~25세 대학생 19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한글판 청소년/성인 감각 프로파일(Adolescent/Adults Sensory Profile; AASP)과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감각처리특성과 수면의 질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참가자들 중 비숙면군에서 감각처리특성과 수면의 질의 상관관계검증 결과, 등록 저하, 감각 민감성, 감각 회피, 감각 추구의 모든 감각특성이 수면의 질 항목 중 수면 방해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수면의 질 항목 중 주간 기능장애는 등록 저하와 감각 민감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론 : 대학생의 수면장애와 감각처리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제공하며, 관련 연구의 기초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앞으로 대학생만이 아니라 아동, 성인, 노인을 대상으로 수면과 감각처리특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processing patterns and sleep quality for poor sleepers enrolled in universities. Methods : The participants are 191 students, aged 18 to 25, at the 6 universities located in Busan, Daegu, and other Gyeongsang Provinces. Th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AASP와 PSQI를 사용하여, 대학생의 감각 처리특성과 수면의 특성을 파악하고 비숙면군의 감각처리특성과 수면의 질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수면과 감각처리특성과의 상관관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소재의 6개 대학의 만 18세 - 25세 대학생 1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면과 감각처리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의 수면과 감각처리특성을 알아보고 수면의 질에 따라 일반적 특성, 수면특성, 감각처리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고 비숙면군의 수면의 질과 감각처리특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의 수면장애와 감각처리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제공하며, 관련 연구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등록 저하는 자극보단 가만히 내버려두는 상황, 다른 사람들보다 더 많은 상황에서 편안함을 느끼고(Ayres, 1979) 환경의 작은 변화는 알아차리지 못하기 때문에 수면 중에는 크게 문제가 없었으며, 수면 외에 깨어있는 시간에 기능 장애와 수면 방해에는 상관관계를 보인다(Sharfi & Rosenblum, 2015). 감각 추구는 추가적인 감각입력을 원하고 많은 감각이 입력이 되었을 때 편안함을 느껴 빠른 시간 내에 잠이 들지 못하며 많은 수면 방해요소와 상관관계를 보인다. 이는 Sharfi와 Rosenblum(2015)의 연구와 일치하며, 아동을 대상으로 한 Kim(2015)의 연구와도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 대학생은 18세에서 25세 사이로 청소년기와 성인기 사이에 속한다(Arnett, 2000). 대학생의 수면양상은 다른 직업군의 비슷한 연령대와 차이를 보인다. 수면시간이 불충분하고 취침시간이 늦으며 대부분 낮잠을 자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Lyoo, Won, & Jeong, 2006).
  • 이는 알코올의 섭취가 수면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Kim(2014)의 연구와 불일치하는 결과이다. 흡연은 수면 효율성과는 연관성이 없었다. 이는 흡연이 수면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Kim(2014)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면은 인간에게 어떠한 요소인가? 수면은 신체적 건강을 유지하고 정신적 기능의 회복을 도와주는 중요한 생활행동으로 인간의 필수적인 삶의 영역이다(Foreman & Wykle, 1995). 수면은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이며 수면이 부족하면 에너지와 활력을 잃게 된다(Fuller & Schaller-Ayers, 2000).
수면 부족시 어떠한 현상이 발생하는가? 수면은 신체적 건강을 유지하고 정신적 기능의 회복을 도와주는 중요한 생활행동으로 인간의 필수적인 삶의 영역이다(Foreman & Wykle, 1995). 수면은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이며 수면이 부족하면 에너지와 활력을 잃게 된다(Fuller & Schaller-Ayers, 2000). 수면장애는 행동장애나 학습장애와 함께 가족과 학교 내에서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Park, 2007).
감각 민감성과 감각 회피로 인한 문제가 있는가? , 2000). 예상 밖의 자극이 주어졌을 때 공격적이거나 쉽게 흥분하여 여러 가지 문제를 발생 시킬 수 있다(Lee, 2015). 감각 민감성과 감각 회피는 모두 환경적 단서에 의한 자극에 취약하므로 수면에 문제를 가질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2001).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 revised, diagnostic and coding manual. Chicago, Illinois. 

  2. Anaby, D. R., Backman, C. L., & Jarus, T. (2010). Measuring occupational balance: A theoretical exploration of two approache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7(5), 280-288. 

  3. Arnett, J. J. (2000). Emerging adulthood: A theory of development from the late teens through the twenties. American psychologist, 55(5), 469. 

  4. Ayres, J. (1979). Sensory integration and the child. Los Angele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 

  5. Backman, C. L. (2004). Occupational balance: Exploring the relationships among daily occupations and their influence on well-being.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1(4), 202- 209. 

  6. Bastien, C. H., St-Jean, G., Morin, C. M., Turcotte, I., & Carrier, J. (2008). Chronic psychophysiological insomnia: Hyperarousal and/or inhibition deficits? An ERPs investigation. Sleep, 31(6), 887. 

  7. Beebe, D. W., Wells, C. T., Jeffries, J., Chini, B., Kalra, M., & Amin, R. (2004). Neuropsychological effects of pediatric obstructive sleep apnea.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10(7), 962-975. 

  8. Bonnet, M. H., & Arand, D. L. (2000). Activity, arousal, and the MSLT in patients with insomnia. Sleep, 23(2), 205-212. 

  9. Brown, C. E., & Dunn, W. (2002).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San Antonio: A Harcourt Assessment C. 

  10. Buysse, D. J., Reynolds, C. F., Monk, T. H., Berman, S. R., & Kupfer, D. J. (1989).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earch, 28(2), 193-213. 

  11. Chae, Y. R., Choi, D. H., & Yu, S. J. (2014). Predictors of poor sleep quality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6(2), 98-104. 

  12. Chon, E. S., Miller L. J., & Tickle, D. L. (2000). Parental hopes for therapy outcomes: Children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s.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4, 36-43. 

  13. Choi, H. J., Kim, S. J., Kim, B. J., Kim, I. J. (2012). Korean versions of self-reported sleep questionnaires for research and practice on sleep disturbanc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5(1), 1-10. 

  14. Dunn, W. (2001). The sensations of everyday life: Empirical, theoretical, and pragmatic consideration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5(6), 608-620. 

  15. Engel-Yeger, B., & Shochat, T.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processing patterns and sleep quality in healthy adult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9(3), 134-141. 

  16. Foreman, M. D., & Wykle, M. (1995). Nursing standard-of-practice protocol: Sleep disturbances in elderly patients: Alterations in the sleep-wake cycle call for immediat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 NICHE Project protocol. Geriatric Nursing, 16(5), 238-243. 

  17. Fuller, J., & Schaller-Ayers, J. (2000). Health assessment: A nursing approach.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8. Hwang, S. J. (2014). The correlation between problem behavior and sensory processing function of child and adolescent with cerebral palsy Master's thesis, Gwangju Women's University, Gwangju. 

  19. Jean-Louis, G., Gizycki, H. V., Zizi, F., & Nunes, J. (1998). Mood states and sleepiness in college students: Influences of age, sex, habitual sleep, and substance use. Perceptual and Motor Skills, 87(2), 507-512. 

  20. Jeong, D. U., Sohn, C. H., Sung, J. H., Chang, S. H., Lee, K. S., Lee, W. J., et al. (1997). Sleep Habits and Insomnia-Associated Factors in Korea Adult Population: A Cross-sectional Survey of Three Rural Communities.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4(2), 201-212. 

  21. Joo, N. S. (2010). For the sleep-related study.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31(10), 745-746. 

  22. Kang, J. Y. (2013). Comparison of difference sensory processing and emotional behaviors. Master's thesis, Hanshin University of Gyeonggi, Osan. 

  23. Kim, J. K., Choi, J. D., Lee, T. Y. (2007). The study of adult sensory processing.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5(3), 117-125. 

  24. Kim, K. M., Kim, J. M., Noh, J. S., Park, S. H., Yu, E. Y., Chang, M. Y., et al.(Trans.) (2006). Sensory integration and the child. Seoul, Korea: Koonja. 

  25. Kim, M. H. (2014). When depressed morningevening type use of smart phones will affect the quality of the college students of sleep. Keimyung University of Daegu, Dalseo. 

  26. Kim, M. J. (2009). Sleeping pattern of elementary school in Daegu.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27. Kim, M. Y. (2015). The relationship of sleep and sensory processing feature in children with ADHD and with out ADHD. Master's thesis, Hanseo University, Chungnam. 

  28. Kim, S. J., Lyoo, I. K., Won, C. Y., & Jeong, D. U. (2006). Characteristics of sleep pattern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13(1), 15-21. 

  29. Kim, S. K., & Wang, S. K. (1998). The effects of partial sleep deprivation on the daytime sleepiness, fatigue and reaction time. Chungnam Medical Journal, 25(2), 137-153. 

  30. Kim, Y. H., & Moon, J. S. (2007). The effects of maternal depression and sleep and marital conflicts on children's sleep problems: Family income as a variable. Recreational study, 11(1), 1-19. 

  31. Kim, Y. M., & Choi, H. J. (2016). Factors influencing sleep patterns during clinical practice weeks among nursing students: Based on spielman's model.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8(4), 203-212. 

  32. Kim, Y. M., Kim, J. H., & Kim, H. L.(Trans.) (2014). Understanding regulation disorders of sensory processing in children: Management strategies for parents and professionals. Seoul, Korea: Sigmapress, 15-16. 

  33. Kim, Y. S. (2017).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sleep in nursing students. Asia 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6), 473-483. 

  34. Kohlmeyer, K. (1998). Willard and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 9th ed, Philadelphia, PA: Lippincott-Raven, 223-259. 

  35. Lee, S. H. (2015). The effect of sensory processing on social skills in school-age children with ADHD. Gachon University, Seongnam. 

  36. Lee, S. O., Ahn, S. H., & Kim, M. O. (2005). A study on women's fatigue and sleeping disturbanc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1(2), 163-168. 

  37. Lee, T. Y. (2012). Correlations between quality of life and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in older adul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5), 272-279. 

  38. Min, S. K., Kim, K. I., & Park, I. H. (2002). Korean version of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cale. Gyeonggi, Korea: Hana. 

  39. Milner, C. E., Cuthbert, B. P., Kertesz, R. S., & Cote, K. A. (2009). Sensory gating impairments in poor sleepers during presleep wakefulness. Neuroreport, 20(3), 331-336. 

  40. Owens, J. F., & Matthews, K. A. (1998). Sleep disturbance in healthy middle-aged women. Maturitas, 30(1), 41-50. 

  41. Park, J. H., Noh, J. S., Lee, H. S., & Cha, J. J. (2009). Single case study: The positive impact of the intensive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for the sensory defensiveness. The Journal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7(2), 63-76. 

  42. Park, J. M. (2007). A study on adolescents' level of depression and antidepressive coping behaviors.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43. Pfeiffer, B., Kinnealey, M., Reed, C., & Herzberg, G. (2005). Sensory modulation and affective disorders in children with Asperger Syndrom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9(3), 335-345. 

  44. Sharfi, K., Rosenblum, S. (2015). Sensory modulation and sleep quality among adul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 quasi-experimental casecontrol design study. Public library of science, 10(2), 1-14. 

  45. Shin, S. J., & Hwang, E. H. (2008). A study on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sleep of the insomniac adults.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8(3), 141-149. 

  46. Shin, J. Y., Shin, H. J., Cho, H. H., Cha, S. M., & Kim, K. M. (2005). The correlation between sensory processing skills and behavior characteristics for preschooler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3(1), 23-35. 

  47. Wesensten, N. J., Balkin, T. J., & Belenky, G. (1999). Does sleep fragmentation impact recuperation? A review and reanalysis. Journal of Sleep Research, 8(4), 237-24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