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손상 환자의 상지 재활을 위한 웨어러블 장치와 모바일 게임 개발
Development of a Mobile Game and Wearable Device for Upper Limb Rehabilitation after Brain Injury 원문보기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v.11 no.3, 2017년, pp.253 - 259  

임홍준 (계명대대학교 의학과) ,  강윤주 (을지병원 재활의학과) ,  송제영 (을지병원 재활의학과 작업치료실) ,  이민봉 (을지병원 재활의학과 작업치료실) ,  오지은 (을지병원 재활의학과 작업치료실) ,  구정훈 (계명대학교 의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뇌손상환자에게 시행되고 있는 재활치료들은 훈련 환경이 단조롭고 긴 시간 동안 단순하고 반복적인 운동으로 인해 흥미와 참여도가 떨어져 훈련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상지 재활훈련을 위해 상지에서 측정되는 근전도 신호와 모션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와 모바일 게임을 결합한 새로운 재활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함으로 위에서 제기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웨어러블 장치는 밴드 형태로 제작되어 신체에 쉽게 착용 및 해체가 가능하고, 모바일 게임은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측정되는 근전도 신호를 통하여 인식되는 움켜잡는 행동(grasp motion)과 모션센서를 통하여 인식되는 굴곡(flexion), 신전(extension), 외전(abduction), 내전(adduction)을 반영하여 게임을 통한 재활훈련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난이도 조절을 통한 환자 개개인에 적합한 맞춤형 재활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상지 재활이 필요한 14명의 뇌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적용한 후, 설문조사를 통한 유용성 평가를 진행한 결과 개발된 재활프로그램이 기존 재활프로그램보다 흥미가 있었고 재활훈련 간 지루하지 않았다고 응답하였고, 추후 개발된 프로그램 재사용에 대한 의지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ventional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paradigm after brain injury has several shortcomings that is monotonous, simple, and repetitive in exercises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reby causing training efficiency to decline as a consequence of low interest and participation. To resolve this is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뇌손상 환자의 능동적인 재활훈련을 위해 근전도 신호와 모션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와 모바일 게임을 결합한 재활 훈련 시스템 개발을 제안하였다. 제작된 웨어러블 장치는 소형화와 간편화를 통해 환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여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 따라서 뇌손상후 좀 더 치료적인 접근성이 용이하며 환자의 흥미와 참여를 높이기 위한 새로운 재활운동 방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근전도 신호와 모션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개발하여 환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상지 재활훈련 환경에 적합한 모바일 게임을 개발하여 환자에게 흥미와 재미를 통한 자발적인 재활참여와 재활 효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의 보바스 치료법의 단점은 무엇인가? 기존의 보바스 치료법은 훈련받은 물리치료사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장소, 비용 및 시간적인 제한이 따른다. 또한 CIMT, FES, 거울 치료 등은 훈련 환경이 단조롭고 흥미와 참여도가 떨어져 훈련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제기되었고 로봇 치료법은 매우 고가여서 비용의 문제와 재활훈련을 위해서 장비가 마련된 센터나 병원 방문이 이루어져야 되며, 착용하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8-9].
상지재활훈련의 종류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뇌손상 환자에게 있어 재활 목적은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편마비 등으로 인한 장애를 최소화하는 것인데 대부분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동작은 상지가 수반되므로, 상지 재활은 매우 중요하다[6].현재 시행되고 있는 상지재활훈련으로는 건측 상지운동제한치료법(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CIMT), 보바스 치료법, 로봇 치료법, 거울치료법(mirror therapy), 기능적 전기자극(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등의 다양한 치료법이 시행되고 있고, 이러한 재활 치료들은 감각손상과 편측마비가 있는 환자에게 임상적으로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7-8].
뇌졸중 환자의 보행, 상지 기능 손상 등 기능적인 제한이 발생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뇌손상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뇌졸중 환자의 69%는 상지에서 기능적인 운동장애를 경험하고, 약56%의 환자가 발병 후 5년 이상이 지나도 편마비로 인한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1-3]. 뇌졸중 환자가 경험하는 편마비는 한쪽의 상·하지 또는 얼굴부분의 근력 저하가 나타나는 상태를 말하고 반신감각마비,실어증, 실인증 등을 함께 동반 할 수 있고 강직성마비와 관절운동범위의 감소를 초래한다[4]. 이는 환자의 보행, 상지 기능 손상 등 기능적인 제한을 가져오게 하고 일상생활에 제한을 가져오게 하므로, 극심한 스트레스와 삶의 질 저하를 경험하게 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Nakayama, H., et al., Compensation in recovery of upper extremity function after stroke: the Copenhagen Stroke Study. Arch Phys Med Rehabil., vol. 75, no. 8, pp. 852-7, 1994. 

  2. Luke, C., K.J. Dodd, and K. Brock, Outcomes of the Bobath concept on upper limb recovery following stroke. Clin Rehabil, vol. 18, no. 8, pp. 888-898, 2004. 

  3. Gillot, A. J., Holder-Walls A., Kurtz J. R. and Varley N. C,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two survivors of stroke who participated in constranint-induced movemnet therapy home programs", Am J occu ther, vol. 57, no. 2, pp. 168-176, 2003. 

  4. Pang, M.Y., J.J. Eng, and W.C. Miller, Determinants of satisfaction with community reintegration in older adults with chronic stroke: role of balance self-efficacy. Phys Ther, vol. 87, no. 3, pp. 282-291, 2007. 

  5. de Haan, R., et al., Measuring quality of life in stroke. Stroke, vol. 24, no. 2, pp. 320-327, 1993. 

  6. Duncan, P.W., et al., Similar motor recovery of upper and lower extremities after stroke. Stroke, vol. 25, no. 6, pp. 1181-1188, 1994. 

  7. Oujamaa, L., et al., Rehabilitation of arm function after stroke. Literature review. Ann Phys Rehabil Med, vol. 52, no. 3, pp. 269-293 2009. 

  8. Langhorne, P., J. Bernhardt, and G. Kwakkel, Stroke rehabilitation. Lancet, vol. 377, no. 9778, pp. 1693-1702, 2011. 

  9. Harmsen, P., et al., Risk factors for stroke in middle-aged men in Goteborg, Sweden. Stroke, vol. 21, no. 2, pp. 223-229, 1990. 

  10. J. Chae, F. Bethoux, T. Bohine, L. Dobos, T. Davis, and A. Friedl, "Neuromuscular stimulation for upper extremity motor and functional recovery in acute hemiplegia," Stroke, vol. 29, no. 5, pp. 975-979, 1998. 

  11. M. I. P. Lourencao, L. R. Battistella, C. M. M. de Brito, G. R. Tsukimoto, and M. H. Miyazaki, "Effects of biofeedback accompanying occupational therapy an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in hemiplegic pati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vol. 31, no. 1, pp. 33-41, 2008. 

  12. Lance JW. "Comtrol of muscle tone, re exes and movement: Robert Wartenberg Lecture", Neurology, 30 pp. 1303-13, 1976.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