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리적 환경 위험도가 작업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 효과 및 지각된 통제의 조절 효과
A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Between Physical Environmental Risk and Safety Behavior, and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Control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2 no.2, 2017년, pp.105 - 111  

김병직 (한국과학기술원 경영공학과) ,  지원구 (한양대학교 경영학부) ,  전상길 (한양대학교 경영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examined if job stres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nvironmental risk and safety behavior of employee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whether perceived control moderates the physical environmental risk-job stress link. In order to test our hypotheses, 1005 employees in v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위험한 물리적 작업 환경이 작업자들의 직무 스트레스를 높여 결국 그들의 안전행동을 줄인다는 매개 가설과, 그 과정에서 완충 작용을 하는 변수를 발견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지각된 통제를 그 완충 변인(조절 변인)으로 설정하였다.
  • 물론 작업 환경의 물리적 환경과 그 위험 수준을 직접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장 근본적이고 적절한 방법이지만, 이를 위해 큰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실행하기 쉽지 않다. 이에 대한 차선책으로서, 본 연구에서 밝힌 대로, 그 환경적 위험이 직무 스트레스를 매개로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침을 알게 되면, 직무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안전행동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매우 효율적인 관리 기법이 될 수 있다2)10).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환경 위험도의 구체적 작동기제, 즉 물리적 환경 위험도가 직무 스트레스를 높여 결국 안전행동을 악화시킨다는 것을 밝히고, 이에 더해서 그 완충요인, 즉, 물리적 환경 위험도의 부정적인 영향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지각된 통제 (perceived control)의 조절 효과에 대해 탐구할 것이다. 이를 위해 이와 관련된 가설들을 세우고 실증 분석을 통해 그 가설들을 검증하려고 한다.

가설 설정

  • 이뿐만 아니라, 감정과 의사 결정 간의 관련성을 탐구한 기존 연구들에서는, 개인이 스트레스를 받으면 부정적 감정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 부정적 경험이 논리적 사유 능력과 판단 능력을 저하시켜 결국 충동적인 희사 결정 및 행동을 하게 만든다고 주장한다6,15) . 이 연구들을 기반으로 하여, 직무 스트레스가 안전행동을 줄일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할 수 있다.
  • 가설 2. 직무 스트레스가 높아지면 안전행동이 줄어들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전행동이 안전사고의 가장 직접적인 선행인자로 볼 수 있는 이유는? 이 요인으로 인간의 인지/정서, 그리고 행동 등이 있는데, 사고 직전에는 작업 현장에서 특히 불안하고 충동적이며 안전하지 않은 행동들이 나타난다. 또한 인간의 행동이 인지와 정서의 결과물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안전행동(safety behavior)은 안전사고의 가장 직접적인 선행인자라고 볼 수 있다 2) .
직장에서의 안전사고의 예방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직장에서의 안전사고는 신체적, 정신적, 그리고 경제적 차원에서 인간의 삶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기에, 반드시 적절히 다루어야 할 중요한 주제이다. 안전사고 발생 이후에 나타나는 부정적 영향력을 고려할 때, 사후적 대처 보다는 사전적 예방이 보다 효율적인 대처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재해 발생에 대한 이론은 무엇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나? 재해 발생에 대한 이론인 Heinrich의 도미노 이론과 Bird의 ‘신 도미노 이론’에서는 안전사고의 발생 원인들을 설명했다1) . 특히 이 이론들은 사고가 생기기 바로 전, 그 사고의 직접 선행하는 요인들의 중요성을 강조 하였다. 이 요인으로 인간의 인지/정서, 그리고 행동 등이 있는데, 사고 직전에는 작업 현장에서 특히 불안하고 충동적이며 안전하지 않은 행동들이 나타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F. Bird, "Management Guide to Loss Control", Atlanta, GA; Institute Press. 1974. 

  2. S. Y. Jung, D. W. Go, and B. J. Kim, "Burden Harms Safety": The Mediation Effect of Job Stress between Workload and Safety Behavior, and Moderation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afety Climat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Vol. 35, pp. 1-30, 2016. 

  3. M. R. Frone, "Predictors of Work Injuries Among Employed Adolescent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83, No. 4, pp. 565-576, 1998. 

  4. C. D. Spielberger, "Anxiety and Emotional State: In Anxiety; Current Trend in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Academic Press, 1972. 

  5. J. C. Wallace and S, J. Vodanovich, "Can Accidents and Industrial Mishaps be Predicted? Further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ailure and Reports of Accidents",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Vol. 17, No. 4, pp. 503-514, 2003. 

  6. C. D. Wickens, S. E. Gordon and Y. Liu, "An Introduction to Human Factors Engineering." New York: Addison Wesley Longman. 1997. 

  7. D. Zohar, "Safety Climate in Industrial Organizations: Theoretical and Applied Implic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65, No. 1, pp. 96-102, 1980. 

  8. D. A. Hofmann and A. Stetzer, "The Role of Safety Climate and Communication in Accident Interpretation: Implications for Learning from Negative Event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41, No. 6, pp. 644-657, 1998. 

  9. R. F. Maier and G. C. Verser, "Psychology in Industrial Organization (5th Ed.)", Boston: Hough Mifflin Company, 1982. 

  10. S. Y. Jung, B, J. Kim and D. W. Go, "An Effect of Physical Environment on Safety Behavior: Mediation of Job Stress, and Moderation of Safety Climate", Journal of Korea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Vol. 17, 2016. 

  11. J. Cranwell-Ward and O. Aiken, "When the Going Gets Tough" People Management, Vol. 29, pp. 22-28, 1995. 

  12. L. R. Murphy and T. F. Schoenborn, (eds) "Stress Management in Work Settings." U.S. Departe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ational Institute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Cincinnati, Ohio. 1987. 

  13. J. J. Hurrell Jr, "An Overview of Organizational Stress and Health", Stress Management in Work Settings, pp. 31-45, 1987. 

  14. B. D. Steffy, J W. Jones, L. R. Murphy and L. Kunz, "A Demonstration of the Impact of Stress Abatement Programs on Reducing Employees' Accidents and Their Costs",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 1, No. 2, pp. 25-32, 1986. 

  15. C. D. Wickens, A. Stokes, B. Barnett and F. Hyman, "The Effects of Stress on Pilot Judgment in a MIDIS Simulator", Time Pressure and Stress in Human Judgment and Decision Making, pp. 271-292, 1993. 

  16. D. B. Greenberger, S. Stephan, L C. Larry and B. D. Randall, "The Impact of Personal Control on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Vol. 43, No. 1, pp. 29-51, 1989. 

  17. M. Gagne and E. L. Deci,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Work Motivation",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 26, No. 4, pp. 331-362, 2005. 

  18. M. W. Browne and R. Cudeck,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pp. 36-162, 1993. 

  19. P. E. Shrout and N. Bolger,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Vol. 7, pp. 422-445, 2002. 

  20. L. Hu and P. M. Bentler,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ol. 6, pp. 1-55, 1999. 

  21. B. J. Kim and M. H. Chung, "Harmonizing Dependency and Independence: The Ambidextrous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Mediating Tole of Trust and Perceived Control",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25, pp. 453-476, 2012. 

  22. J. C. Anderson and D. W. Gerb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Vol. 103, No. 3, pp. 411-423, 1988. 

  23. K. Y. Le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NIOSH Job Stredd Questionnaire", Health and Social Science, Vol. 8, pp. 57-111, 2000. 

  24. Y. -J. Lee and S. -R. Chang,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Work 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7. No. 3, pp. 125-130,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