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효소 처리에 따른 야생복숭아(Prunus persica L.) 당절임액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효과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 of Sugar Preserved Wild Peach (Prunus persica L.) Juice by Enzymatic Treatment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3 no.5 = no.88, 2017년, pp.25 - 33  

정경미 (경북농업기술원 청도복숭아연구소) ,  김선화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예문화와 다도학과 및 한국예다학연구소) ,  정용진 (계명대학교 식품보건학부) ,  최미애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zyme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wild peach (Prunus persica L.) juice. pH levels and S.S (soluble solid) values in all samples ranged from 3.86 to 4.13 and from 48.0 to $55.0^{\circ}Brix$, respectively. The TA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선행연구인 당종류(설탕과 올리고당) 및 배합 비율에 따른 품질조사를 한 결과에서 적정조건인 설탕과 올리고당을 60:40 비율을 토대로 효소처리를 함으로써, 야생복숭아 유효성분의 추출 극대화 및 야생복숭아 당절임액의 기능성과 품질 향상을 위하여 효소제 종류에 따른 품질 특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야생복숭아 당절임액 제조 시 효소(cellulase와 pectinase)처리가 품질특성과 항산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모든 처리구에서 pH 3.

가설 설정

  • 3) ND: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숭아가 가지고 있는 성분은? 7 mg, 비타민 B1과 B2 및 비타민 C가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복숭아의 주성분은 수분과 당분이며, 과육에는 아스파르트산 함량이 높고, 유리아미노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독특한 향이 나며, 주석산, 사과산, 시트르산 등유기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Lee, Woo & Yang, 1972; Lee,Yang & Yu, 1972). 그러나 복숭아는 일시에 수확되고, 수확 후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쉽게 연화되어 장기 저장이 어렵다.
복숭아를 짧은 시간에 처리해야 하는 이유는? 복숭아의 주성분은 수분과 당분이며, 과육에는 아스파르트산 함량이 높고, 유리아미노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독특한 향이 나며, 주석산, 사과산, 시트르산 등유기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Lee, Woo & Yang, 1972; Lee,Yang & Yu, 1972). 그러나 복숭아는 일시에 수확되고, 수확 후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쉽게 연화되어 장기 저장이 어렵다. 그래서 복숭아 가공은 짧은 시간에 많은 물량을 처리해야 하므로 몇 가지 어려움이 수반되며(Song, Son & Kim, 1992), 짧은 시간에 원물을 적절하게 소진하면서, 수익 창출에도 도움이 되는 가공품 개발이 시급하다.
과일 식품을 효소를 이용하여 효소음료로 만들었을 때 더 좋은 이유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식물에서 효소는 식물의 세포벽 구조를 이완시키며, 성분을 가수분해시켜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을 증가시키며, 발효와 숙성과정을 통해 각종 생리활성물질의 생성과 유익균을 증식시키는 것으로 소화, 흡수를 도우며, 각종 미량 영양소 및 생리활성 물질들이 풍부하게 들어 있는 식품으로 모든 생명체의 세포 속에서 만들어지며, 촉매 작용이 있는 고분자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 과일에 당을 첨가 후 발효를 하여 재료가 가지고 있던 효소를 포함한 성분 이외에 미생물이 발하는 각종 효소 및 생성물이 함유되는 당절임액을 가공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효소음료(Kim, 2012;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 E. S. (2012).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s from pear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peels and fleshes of pear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4617), 1199-1200. 

  3. Chun, Y. K., Choi, H. S., Cha, B. S., Oh, H. I., & Kim, W. J. (1997). Efect of enzymatic hydrolsi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ersimmon juice.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9(2), 198-203. 

  4. DuBois, M., Gilles, K. A., Hamilton, J. K., Rebers, P. T., & Smith, F. (1956).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s and related substances. Analytical Chemistry, 28(3), 350-356. 

  5. Folin, O., &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12(2), 239-243. 

  6. Hur, B. S., & Kim, Z. U. (1989). Clarification of fruit juice by the use of polygalacturonase and gelatin. Journal of the Korean Agricultural Chemical Society, 32, 367-373. 

  7. Jeong, Y. J., Lee, G. D., Lee, M. H., Yea, M, J., Lee, G. H., & Choi, S. Y. (1999). Monitoring on pectinase treatment conditions for clarification of persimmon vinega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8(4), 810-815. 

  8. Ji, Y. J., & Im, M. H. (2017). Optimization of blue berry extraction for beverage production using enzyme treatment.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24(1), 61-67. 

  9. Kim, D. W., & Kim Y. H.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Monascus anka powder.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9(1), 39-50. 

  10. Kim, E. J., Choi, J. Y., Yu, M., Kim, M. Y., Lee, S., & Lee, B. H. (2012).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Journal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Technology, 44(3), 337-342. 

  11. Kim, E. M. (2011). Formul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ni beverage mixed with red ginseng, Rubus coreanus and pomegranate extracts.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7(1), 259-269. 

  12. Kim, H. S. (2004). Effects of the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extract on the lipid compositions and enzyme activities in hyperlipidemic rats.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17(3), 328-336. 

  13. Kim, H. R.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unripe Peach (Prunus persica) preserved in sugar (Master's thesis). Kyungpook Natuonal University. 

  14. Ko, E. S. (2015). The standardization of manufacturing process for omija-cheong, as a concentrated extracts from sugartreated Omija (Schisandra chinensis)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15. Kwon, S. C., Jo, C., & Lee, K. H. (2009). Gamma irradiation for sanitation of vegetable fresh juice containing noonthermal process materia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8(7), 964-969. 

  16. Labuza, T. P., & Dugan Jr, L. R. (1971). Kinetic of lipid oxidation in foods. CRC Critical Reviews in Food Technolog, 2(3), 355-405. 

  17. Lee, C. H., Shin, S. L., Kim, N. R., & Hwang, J. K. (2011). Comparison of antioxidant effects of different Korean pear species.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4(2), 253-259. 

  18. Lee, D. S., Woo, S. K., & Yang, C. B. (1972).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major fruits in Korea - On nonvolatile organic acid and sugar contents of apricot (maesil), peach, grape, apple and pear and its seasonal variation-. Korean Journal Food Science Technology, 4(2), 134-139. 

  19. Lee, H. J., Keong, H. S., Park, C. G., Lee, J. H., Park, C. B., Kim, C. T., & Choi, A. J. (2014). A study on isolation of polysaharides from Angelica gigas Nakai by enzyme treatments. Food Engineering Progress, 18(4), 406-412. 

  20. Lee, H. B., Yang, C. B., & Yu, T. J. (1972).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ome fruit vegetables and fruits in Korea (I)-On the free amino acid and sugar contents in tomato, watermelon, muskmelon, peach and plum.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1), 36-43. 

  21. Lee, J. B., & Chung, H. S. (2008). Studies on the components of unripe peaches.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15(1), 79-83. 

  22. Lee, J. K., Jo, H., Kim, K. I., Yoon, J. A., Chung, K. H., Song, B. C., & An, J. H. (2013).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Makgeolli supplemented with the fruit of Akebia quinata during fermentation.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5(5), 619-627. 

  23. Park, H. J. (2007). A study on the survey of consumer preference and their satisfaction for the functional food made from pear (Master's thesis). Dongshin University. 

  24. Park, H. S. (2010). Physicochemical proper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wild grape (Vitis coignetiea) juice.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6(4), 297-304. 

  25. Park, G. S., & Park, S. Y. (1998). Sensor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each jelly added with various sugars. Hsjas, 6(2), 329-335. 

  26.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26(9), 1231-1237. 

  27. Sohn, K. S., Lee, J. H., & Ha, Y. S. (2002). Clarification of mixed fruit and vegetable juice using enzyme treatment, Food Engineering Progress, 6(3), 241-247. 

  28. Song, J. H., Son, M. A., & Kim, M. H. (1992). Comparison of the cell wall components and polygalacturonae activity in peach typers.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5(2), 111-115. 

  29. Youn, S. J., Lee, E. T., Cho, J. G., & Kim, D. J. (2010). Effect of enzyme treatment on functional properties of Nctarine bever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9(9), 1379-1383. 

  30. Zhishen, J., Mengcheng, T., & Jianming, W.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istry, 64(4), 555-55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