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잣나무(Pinus koraiensis Siebold et Zucc)잎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Applicability of Pinus koraiensis Siebold et Zucc Leaf Extract as a Cosmetic Ingredient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4 no.3, 2017년, pp.602 - 612  

전명옥 (건국대학교 생물공학과) ,  문지선 (중원대학교 뷰티헬스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잣나무 잎으로 70% 에탄올 추출물과 증류수 추출물을 얻은 후 항산화 효과, 항염증, 미백효과 등 다양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항산화 실험 결과,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효과에서는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증류수 추출물에 비해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B16F10, RAW264.7 세포에서 농도별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NO 생성 억제능 측정 결과, LPS로 유도된 NO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항염증 활성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멜라닌 생합성 억제능 측정결과, 유의한 감소효과를 확인하였으며, western blot을 수행하여 MITF, Tyrosinase 단백질 발현억제 실험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현저히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로부터 잣나무 잎추출물은 화장품 소재로서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verify various effects of 70% ethanol extract and distilled water extract of pine leaf such as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skin-lightening effects analysis in cells. The result of antioxidant experiment showed that polyphenol content increased concentration dependent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잣 부산물을 이용한 다양한 연구와 잣나무 잎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제조 및 개발을 위한 다양한 유효성 평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잣나무 잎으로부터 70% 에탄올 추출과 증류수 추출 후 두 가지 추출물을 획득 하여 항산화 효과, 미백효과, 항염증효과 등 다양한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잣나무 잎의 세포생리활성 및 향후 화장품 기능성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잣나무 잎 추출물에 대한 화장품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잣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피부 세포 활성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잣나무 잎으로부터 70% 에탄올 추출과 증류수 추출 후 두 가지 추출물을 획득 하여 항산화 효과, 미백효과, 항염증효과 등 다양한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잣나무 잎의 세포생리활성 및 향후 화장품 기능성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톤치드요법의 효과로 어떤 것들이 보고되었는가? 잣나무에서 피톤치드(phytoncide)라는 물질을 만들어내고, 이는 스트레스를 해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연구에 따르면 피톤치드요법으로 인체생리대사에 대한 치유 효과를 연구한 결과 뇌파와 혈압과 맥박 이완 작용 및 스트레스 감소, 심리적인 안정 증강되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항염증, 살균, 탈취, 신경 안정 등 독특한 약리작용 효과[6], 노화방지와 콜레스테롤 저하에도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7].
미국 Forest Farm에서 채취한 잣나무 잎에는 어떤 성분이 있었는가? 우리나라 고유의 나무이기 때문에 영어로는 korean pine, 나무를 베면 심재가 붉은 색이어서 홍송(紅松)이라고도 부르며 한자명은 백자목(柏子木)잎이 다섯 장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오엽송(五葉松)이라 부른다[1]. 잣나무 잎은 짧은 가지 끝에 5개씩 달리며, 뒷면에는 하얀 기공선이 있어 연한 초록색을 띠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잣나무 목부의 성분으로는 5-hydroxy-7-methoxyflavone, chrysin, pinocembrin, galangin, 3-hydroxy-5-methoxystilbene, pinosylvin 등의 물질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2], 미국 Forest Farm에서 채취한 잣나무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잣나무 잎의 성분으로는 gallic acid, protocatechuic acid, vanillic acid, syringic acid, p-coumaric acid, scopoletin, (+)-catechin 등의 물질이 함유된 것으로 보고되었다[3, 4]. 잣나무잎은 목재나 잣 생산뿐만 아니라 활엽수에 비해 많은 피톤치드를 만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휴양과 산림치료를 위한 삼림욕장으로도 각광을 받고 있다.
잣나무의 다양한 이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잣나무는 구과목 소나무과의 식물로 학명은 Pinus koraiensis Siebold et Zucc 이다. 우리나라 고유의 나무이기 때문에 영어로는 korean pine, 나무를 베면 심재가 붉은 색이어서 홍송(紅松)이라고도 부르며 한자명은 백자목(柏子木)잎이 다섯 장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오엽송(五葉松)이라 부른다[1]. 잣나무 잎은 짧은 가지 끝에 5개씩 달리며, 뒷면에는 하얀 기공선이 있어 연한 초록색을 띠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잣나무 목부의 성분으로는 5-hydroxy-7-methoxyflavone, chrysin, pinocembrin, galangin, 3-hydroxy-5-methoxystilbene, pinosylvin 등의 물질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2], 미국 Forest Farm에서 채취한 잣나무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잣나무 잎의 성분으로는 gallic acid, protocatechuic acid, vanillic acid, syringic acid, p-coumaric acid, scopoletin, (+)-catechin 등의 물질이 함유된 것으로 보고되었다[3,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Hwang SJ, Park SJ, Kim JD.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Oenanthe javanica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45, pp. 227-234, (2013). 

  2. Marples RR, "The microflora of the face and acne lesions", J. Invest. Dermatol., vol. 62, pp. 326-331, (1974). 

  3. Bae BH, Kim YO. "Effect of leaves Aqueous Extracts from Some Gymnosperm Plant on the Seed Germination, Seedling Growth and Transplant of Hibiscus syriacus Varieties",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vol. 26, pp. 39-42, (2003). 

  4. Cuyckens F, Claeys MJ. "Mass spectrometry in the structural analysis of flavonoids", Journal of Mass Spectrometry, vol. 39, pp. 1, (2004). 

  5. Lee BK, Lee HH. "A Study on the Effects of Human Physiology after Forest Phytoncide Therapy", Journal of Naturopathy., vol. 1, pp. 14-20, (2012). 

  6. Jang SJ. "Essential Oil Composition from Leaves, Flowers, Stems, and Fruits of Vitex rotundifolia L. fil",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vol. 45, pp. 101-107, (2002). 

  7. Hwang BH, Jo JH, Ham SS, and Kang HY. "Chemical analysis of pinus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 29, pp. 6-9, (2000). 

  8. Lee MH, Jeong JH, Oh MJ. "Antioxidantive activity of gallic acid in acorn extract", J. Korean Soc. Food Nutr., vol. 21, pp. 693-700, (1992). 

  9. Heilmann J, Calis I, Kirmizibekmez H, Schuhly W, Harput S, Sticher O. "Radical Scavenger activity of phenylethanoid glycosides in FMLP stimulated human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Structure activity Relationships", Planta Med., vol. 66, pp. 746-748, (2000). 

  10. Skrzydlewska E, Ostrowska J, Farbiszewski R, Michalak K. "Protective effect of green tea against lipid peroxidation in the rat liver, blood serum and the brain", Phytomedicine., vol. 9, pp. 232-238, (2002). 

  11. Yokozawa T, Nakagawa T, Kitani K. "Antioxidative activity of green tea polyphenol in cholesterol-fed rats", J. Agric. Food Chem., vol. 50, pp. 3549-3552, (2002). 

  12. Jo JB, Park HJ, Lee EH, Lee JE, Lim SB, Hong SH, Cho YJ.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 of Pinus koraiensis leaves extracts according to the drying technique", J. Appl. Biol. Chem., vol. 60, pp. 73-8, (2017). 

  13. Li K, Qingwang L, Jian L, ZhangT, Han Z, Gao D, Zheng F. "Antitumor activity of the procyanidins from Pinus koraiensis bark on mice bearing U14 cervical cancer", Yakugaku Zasshi., vol. 127, pp. 1145- 1151, (2007). 

  14. Folin O, Denis W.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 12, pp. 239-243, (1912). 

  15. Gutfinger T. "Polyphenols in olive oils",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vol. 58, pp. 966-968, (1981). 

  16. Moreno MI,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vol. 71, pp. 109-114, (2000). 

  17. Borenfreund E, Puerner JA, "Toxicity determined in vitro by morphologica lalterationsandneutra lred absorption", Toxicol. Lett., vol. 24, pp. 119, (1985). 

  18. Green LC, Wagner DA, Glogowski J, Skippr PL, Wishnok JS, Tannenbaum SR. "Analysis of nitrate, nitrite, and [15N]nitrate in biological fluids", Anal Biochem., vol. 126, pp. 131-138, (1982). 

  19. Lim HW, Cho NY, Yoon MY, Cha SB, Kim KW, Park YM, Lee JY, Lee JH, Kim CJ, Sim SS. "Effects of citrus essential oils on melanin production in B16 melanoma cells", Yakhak Hoeji, vol.47, pp. 25-30, (2003). 

  20. Hahm, T S, King, DL, Min DB. "Food antioxidants", J. Food Biotechnol., vol. 2, pp. 1-8, (1993). 

  21. Kim J, Lee CW, Kim EK, Lee SJ, Park NH, Kim HS, Kim HK, Char K, Jang YP, Kim JW. "Inhibition effect of Gynura procumbens extracton UV-B-induced matrix-metalloproteinase expression in human dermal fibroblasts", J. Ethnopharmacol., vol. 137, pp. 427-433, (2011). 

  22. Yamamoto S, Yoshimoto T, Fukukawa M, Horie T, Watanabe Kono S. "Arachodonate lipoxygenase and its new inhibitors", J. Allergy Clin. Immunol., vol. 74, pp. 349, (1984). 

  23. Baumann J, Bruchhause F, Wurm G. "Flavonoids and arachidonic acid metabolismn Farkas L, Kallay, F. and Wagner. H(eds). Flavonoids and bioflavonoids", Akademiaikiado. Budapest., pp. 411, (1982). 

  24. Busse WW, Kopp D, Middleton E, Jr. "Flavonoid modulation of human neutrophil function", J. Allergy Clin. Immunol., vol. 73, pp. 801, (1984). 

  25. Middleton E, Jr, Drzewieczki G. "Flavonoid inhibition of human basophil histamine stimulated byvarious agent", Bio. Pharm., vol. 33, pp. 33, (1984). 

  26. Kim CJ, Chung JM.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flavonoid(I), relationships ofchemical structure of flavonoid and their inhibitory activity of hypersensitivities", Yakhak. Hoeji., vol. 34, pp. 348, (1990). 

  27. Park HY, Wu C, Yonemoto L, Murphy-Smith M, Wu H, Stachur CM. "Gilchrest BA, MITF mediates cAMP-induced protein kinase C-beta expression in human melanocytes", J. Biochem., vol. 395, pp. 571-578, (2006). 

  28. Kim DS, Hwang ES, Lee JE, Kim SY, Kwon SB, Park KC, "Sphingosine-1-phosphate decreases melanin synthesis via sustained ERK activation and subsequent MITF degradation", J. Cell Sci., vol. 116, pp. 1699-1706,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