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임진강 하류 감조구간에서 홍수위 산정 재고
Reconsideration of evaluating design flood level at Imjin River estuar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0 no.9, 2017년, pp.617 - 625  

박창근 (가톨릭관동대학교 토목공학과) ,  백경오 (국립한경대학교 토목안전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조석의 영향을 주기적으로 받는 임진강 하류부의 계획홍수위를 보다 합리적으로 산정하는 방안을 검토해 보았다. 우선 감조하천의 특성을 감안할 수 있는 부정류모의를 수행하여 홍수위의 변동을 살펴보았고, 수위 계산에 민감한 매개변수인 조도계수를 해당지역의 특성에 맞게 현실화하여 홍수위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2011년 임진강하천기본계획보고서에서 고시한 임진강 하구 계획홍수위와 비교하고, 감조구간에서 홍수위 산정시 유의해야 할 점들을 정리하였다. 참고로 2011년에 고시된 계획홍수위는 대규모 하상 준설 단면을 입력자료로 하여 부등류모의를 통해 산정된 바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임진강 하구의 경우 홍수위 산정에 있어서 조도계수를 한강하구와 동일한 값으로 할당하고, 하구 조위를 감안할 수 있는 부정류 모의를 수행하면 하상 준설을 하지 않더라도 홍수위가 제방 여유고를 만족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it was examined that a methodology for evaluating the design flood level reasonably at Imjin River estuary affected by the tide periodically. First of all, the change of the flood level was observed by performing unsteady simulation which can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많은 연구들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계획홍수위 산정시 일반하천이든 감조하천이든 간에 그 고유의 특성을 고려치 않고 정상-부등류(steady-nonuniform flow) 모의를 하는 것이 일반적인 현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석의 영향을 주기적으로 받는 감조하천의 특성을 감안할 수 있는 부정류(unsteady flow)모의를 수행하여 홍수위의 변동을 검토해 보았다. 또한 수위 산정에 가장 민감한 매개변수인 조도계수를 해당지역의 특성에 맞게 현실화하여 홍수위 변화를 분석하였다.
  • 또한 수위 산정에 가장 민감한 매개변수인 조도계수를 해당지역의 특성에 맞게 현실화하여 홍수위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2011년 임진강하천기본계획보고서(MOLIT, 2011)에서 고시한 임진강 하구 계획홍수위와 비교하고, 감조구간에서 홍수위 산정시 유의해야 할 점들을 검토해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감조구간에서 홍수위를 산정할 때 개입될 수 있는 불확실성에 대해 우선 검토해 보았다. 국내에서는 홍수위 산정시 통상적으로 1차원 흐름모형인 HEC-RAS를 사용하는데 여기에 입력자료인 하상자료에 따른 홍수위 차이, 매개변수인 조도계수에 따른 홍수위 차이, 흐름 모의조건인 정류(steady fow) 혹은 부정류(unsteady flow)에 따른 홍수위 차이, 이렇게 세 가지 경우에 따라 수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 일반적으로 조도계수가 클수록 홍수위도 커지고, 작을수록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진강 하구지역에 할당된 조도계수치의 적합성을 검토해 보고, 타당한 값이 무엇인지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조도계수를 변화시키면서 기존 보고서(2011년 임진강하천기본계획)의 절차를 따라 정상부등류 모의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부정류 모의시 상․하류단 경계조건의 민감도를 살펴보기 위해 다음의 세 가지 시나리오로 분리하여 모의하였다. 첫번째 경우, 상류경계는 하나의 홍수량 값(11,000 cms)으로 고정, 하류경계는 월곳조위를 부여; 두 번째 경우, 상류경계는 군남댐 방류량 곡선, 하류경계는 하나의 수위값(EL.
  • 본 연구에서는 임진강 하구 감조구간에 고시된 계획홍수위의 타당성과 홍수위 산정에 개입될 수 있는 불확실성을 분석해 보았다. 먼저 1차원 모형의 매개변수인 Manning의 조도계수에 따른 홍수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예상대로 조도계수에 매우 민감하게 홍수위가 반응하였다.
  • 특히 상․하류단을 모두 부정류로 할당할 경우 계산과정에서 발산할 가능성도 있으므로, 홍수위 차이가 크지 않다면 상류유량경계는 하나의 값으로, 하류수위조건은 조위로 할당하는 방법도 실무 적용성을 높이는 하나의 방안이라 사료된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하구지역 불확실성을 최대한 상쇄할 수 있고, 보다 합리적으로 홍수위를 재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새롭게 계산된 홍수위는 1) 하상준설을 하지 않는 단면을 입력하고, 2) 조도계수를 한강하구와 동일한 값으로 할당하는 것, 3) 하구 조위를 감안할 수 있도록 정류 대신 부정류 모의를 수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가설 설정

  • 64 m에 홍수량을 더해 EL. 6.36 m를 부등류 계산시 100년 빈도 홍수량의 기점 수위로 삼았는데, 이것은 약최고만조위시 첨두 홍수량이 동시에 발생하여 서로 중첩이 된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때문에 감조하천의 경우 정상-부등류(steady-nonuniform) 모의보다는 조석을 감안할 수 있는 부정류 모의를 하는 것이 보다 정확히 홍수위 거동을 모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천이 바다와 만나는 하구 지역의 특징은? 하천이 바다와 만나는 하구(河口, estuary)지역은 조위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하천 수위의 낙폭이 크고, 하상(河床)의 변동 또한 심하다. 때문에 이러한 감조구간은 홍수위 산정에 있어서도 일반하천에 비해 보다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임진강 하류부에 하상준설 사업을 계획한 이유는? 이러한 치수정책이 200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추진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임진강 하류부는 여전히 제방 여유고가 계획홍수위를 만족하지 못하여 Fig. 1과 같이 대규모 하상준설 사업이 계획되었다(MOLIT, 2011). 구체적으로 임진강 하류지역 약 12.
한강 하류구간이 하구로서의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 4대강 중 한강을 제외한 3대강은 하구언 설치로 인해 이미 하구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상황이다. 반면 한강 하류구간은 북한과의 접경지역이라는 지리적 특수성으로 인해 하구언 설치가 불가능하였기에 지금까지 감조구간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한강의 지류 중 하나인 임진강은 한강이 서해로 나아가기 진전에 합류하는 하천으로, 한강과 더불어 임진강도 넓은 영역의 하구를 형성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aek, K. O. (2015). "Is the flood level mitigated by the dredging of Limjin River estuary?", River and Life, Vol. 3, No. 1, pp. 10-23. 

  2. Baek, K. O., and Lim D. H. (2011). "Flow characteristics induced by shift and modification of submerged weir at Han River estu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31, No. 2B, pp. 109-119. 

  3. Gyeonggi Research Institute (GRI) (2009). A plan for preventing a disaster by water at Imjin River. 

  4. Khatibi, R. H., Williams, J. R., and Wormleaton, P. R. (2000), "Friction parameters for flow in nearly flat tidal channel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26, No. 10, pp. 741-749. 

  5. Kim, S. H., Kim, W., and Choi, H. S. (2003). "Analysis of tidal effect on the Han and Imjin River."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36, No. 2, pp. 301-313. 

  6. Kim, S. H., Kim, W., Lee, E. R., and Choi, K. H. (2005). "Analysis of hydraulic effects of Singok submerged weir in the lower Han River."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38, No. 5, pp. 401-413. 

  7. Kim, W., Kim, C. W., Yoon, K. S., and Yoon, T. H. (2001).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Han River flow considering the effect of Shingok submerged weir and tidal mo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21, No. 3B, pp. 305-314. 

  8.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2009). River design standard. 

  9.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01). Imjin River basic plan report. 

  1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02). Han River basic plan report. 

  1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05). Report on riverbed change at Han River estuary. 

  1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07). Basic and design report on Gunam flood control site. 

  1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11). Imjin River basic plan report. 

  14. Seo, I. W., Lee, M. E., and Song, C. G. (2008). "Flow and mixing behavior at the tidal reach of Han Riv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28, No. 6B, pp. 731-741. 

  15. Yu, J. H., Kim, H. J., Namgung, D., and Cho, Y. S. (2005). "Analysis of tidal effects with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 in Han-River." Proceedings of KSCE Conference 2005, pp. 1871-1875.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