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산모를 위한 산후관리 모바일 앱 개발 및 효과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ostpartum Care Mobile Application for First-time Mothers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3 no.3, 2017년, pp.210 - 220  

이주연 (문경대학교 간호학과.계명대학교 대학원) ,  김혜영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s of the study were to develop mobile application for postpartum care of first-time mothers and to validate it's effect. Methods: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52 first-time mothers were recruited (26 each in experimental and control) and the experim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출산 후 건강문제를 산모가 스스로 인식하고 대처 가능하도록 돕기 위해 접근이 용이하고 수요자의 요구에 기반하며, 최신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 응용 프로그램, 이하 앱)을 개발하고자한다. 또한 개발된 모바일 앱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산후 자가간호 지식과 자신감, 영아돌보기 지식과 자신감 및 산후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 또한 모바일 앱의 특성상 일방향적인 교육이 아니라 상호작용할 수 있는 교육방법으로써[8] 실질적으로 산모에게 도움이 된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산모들의 교육요구와 교육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산모들에게 필요한 교육을 반영하도록 하였다. 산욕기에 중요한 간호요소인 자가간호와 영아돌보기에 관한 내용을 제공하되, 선행연구에서 공통적으로 교육하는 부분은 필수교육 내용으로 분류하였고, 기존 모바일 앱 분석 통해 산후관리에 배우자 교육을 포함하기로 하였다.
  • 본 연구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산후교육이 산후 자가간호 지식과 자신감, 영아돌보기 지식과 자신감, 산후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초산모를 대상으로 6주간 산후관리 모바일 앱을 적용한 결과 산후 자가간호 지식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 본 연구는 산욕기 초산모를 위한 산후관리 모바일 앱을 개발하여, 산후 자가간호 지식과 자신감, 영아돌보기 지식과 자신감 및 산후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비동등성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초산모를 위한 산후관리 모바일 앱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연구이다. 산후관리 모바일 앱을 초산모에게 적용한 결과, 산후 자가간호 지식과 자신감, 영아돌보기 지식과 자신감 증진과 산후우울을 예방시키는 효과적인 중재로 검증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산욕기 산모와 영아의 건강문제 관리를 위한 산후관리 모바일 앱을 개발하고, 이를 산모들에게 제공하여 산후 자가간호 지식과 자신감, 영아돌보기 지식과 자신감 및 산후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출산 후 건강문제를 산모가 스스로 인식하고 대처 가능하도록 돕기 위해 접근이 용이하고 수요자의 요구에 기반하며, 최신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 응용 프로그램, 이하 앱)을 개발하고자한다. 또한 개발된 모바일 앱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산후 자가간호 지식과 자신감, 영아돌보기 지식과 자신감 및 산후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산후관리 모바일 앱을 이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산후 자가간호 자신감이 높을 것이다.
  • 산후관리 모바일 앱을 이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산후 자가간호 지식이 높을 것이다.
  • 산후관리 모바일 앱을 이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산후우울 정도가 낮을 것이다.
  • 산후관리 모바일 앱을 이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영아 돌보기 자신감이 높을 것이다
  • 산후관리 모바일 앱을 이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영아 돌보기 지식이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욕기에 스트레스 증가로 인해 산모는 어떤 정신적 질병을 얻을 수 있는가? 또한 산욕기에는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가 증가하여 산후우울 발생의 위험이 있으며, 산모가 산후우울을 경험할 경우 긍정적인 모성정체감 형성이나 어머니역할의 수행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4]. 하지만 대부분의 산모들이 산후에 우울감을 경험하기 때문에 의료인에 의해 과소평가되었고 이를 방치하면 산모와 영아뿐만 아니라 가족의 체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 된다[5].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휴대성이 높은 매체인 인터넷의 단점은? 즉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이용 하는 비율의 증가는 모바일을 통한 정보제공이 이용자에게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휴대성이 높은 매체가 되기 때문이다[8]. 하지만 인터넷상의 정보는 출처가 불분명하거나 검증되지 못한 채 인터넷 카페나 블로그를 통해 확산되기 때문에 실제 대상자에게 부정확한 정보가 전달될 위험이 있다[3,6]. 산욕초기에 산후관리 교육에 참가하는 것은 실제적으로 어려운 일이며, 뿐만 아니라 전통적으로 삼칠일동안에는 산모와 아기 모두 외출을 꺼려하고 외부인의 집안 출입도 자제하게 된다 [5,6].
출산 후 여성들은 어떤 변화를 경험하는가? 출산 후 여성들은 6~8주의 산욕기동안 신체적 변화와 함께 모성이라는 새로운 역할에 적응하기 위한 정신적, 심리적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1]. 분만 후 자신의 신체적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영아를 돌봐야 하는 역할이 주어지는데 처음 어머니가 된산모는 모성역할에 대한 지식과 자신감이 부족하여 자신의 역할에 대해 불안하고 갈등을 일으켜 위기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Song JE, Ahn JA. Effect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improving maternal adaptation in Korea: Systematic review.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3;19(3):129-141. 

  2. Oh HE. The relationship among maternal identity, role attainment and postpartum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01;5(2):255-266. 

  3. Wang HJ, Park HS, Kim IO. Comparison of prenatal health management state and educational needs for pregnant women with advanced maternal age and under the age of 35.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3;19(4):230-241. 

  4. Barr JA. Postpartum depression, delayed maternal adaptation, and mechanical infant caring: A phenomenological hermeneutic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8;45(3): 362-369. 

  5. Millis JB, Kornblith PR. Fragile beginnings: Identification and treatment of postpartum disorders. Health & Social Work. 1992;17(3):192-199. 

  6. Yoo EK, Kim MH, Kim HJ, Nam SY, Jung ES, Kim YC, et al. Evaluation of Korean internet websites for postnatal care (Sanhujori).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6;12(4): 282-290. 

  7. Statistics Korea. 2013 current status of mobile phone by year [internet]. Seoul: Author; 2015 [cited 2017 August 1].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54&tblIdDT _MOGE_3020400226&conn_pathI2 

  8. Seo YM, Lee YJ. Analysis of educational smartphone applications and mobile educational services trend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010;14(2):9-13. 

  9. KwaK YH, Lee ML. The effects of education on knowledge and confidence in postpartal self -care and newborn baby car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996;2(2):246-256. 

  10. Cox JL, Holden JM, Sagovsky R. Detection of postnatal depression. development of the 10-item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987;150(6):782-786. 

  11. Han KW, Kim MJ, Park JM. The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 Reliability and valid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2004;10(2):201-207. 

  12. Jin M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ealth care smart phone application evaluation tool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4. 65 p. 

  13. Joo EK, Yoo EK. Husbands' awareness of sanhujori, needs for education and family strength.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5;21(2):93-105. 

  14. Lim JA, Yoo EK. A study on the effects of father class upon father's level of knowledge and confidence about postpartal woman and newborn car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2;8(3):345-357. 

  15. Yang MS, Kim IS. A study on the self-confidence and nursing needs of maternal role performance in primiparas during postpartum peri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Maternal and Child Health. 2003;7(1):19-32. 

  16. Yoo EK, Lee MY, Kim JH, Sin CK, Yoo SJ, Ji SK. A study on the women's need during early postpartum.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0;6(3):439-452. 

  17. Yoo YJ. A study on the home health care needs of postpartum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1;7(4): 579-595. 

  18. Chung AK. Development of a mobile platform to support self regulated learning.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009;12(4):23-34. 

  19. Choi YS, Jo HS, Jang SB, Jang CJ, Choi YJ, Lee NH, et al. Women's health nursing. 8th ed. Seoul: Soomoonsa; 2012. 605 p. 

  20. Korea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Obstetrics. 5th ed. Seoul: Koonja Publishing Company; 2015. 1128 p. 

  2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National health information portal [Internet]. Sejong: Author; 2015 [cited 2016 February 20]. Available from: http://health. mw.go.kr/Main.do 

  22. Wang HJ, Kim lO. Effects of a mobile web-based pregnancy health care educational program for mothers at an advanced maternal ag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5;45(3):337-346. 

  23. Park MK, Lee YS. Effects of a postpartum care program on the knowledge and behavior of postpartum recovery in primiparous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06;10(2):127-136 

  24. Kim EH, Lee EJ, Kim MJ, Park DY, Lee SH. Effects of an educational program of pregnancy and delivery on pregnancy related knowledge, newborn care knowledge, and postpartum care self-efficacy of marriage immigrant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1):78-87. 

  25. Kim HK, Jeong IS. Effects of a newborn care education program on newborn care confidence and behavioral accuracy of primiparas in a postpartum care cent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7;37(1):125-134. 

  26. Lee HJ, Lee SA, Kim MH, Kim YH, Park NH. A study of parental knowledge and confidence in newborn care.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04;10(3):262-271. 

  27. Chae MY, Hwang MS. The effects of home care nursing based maternal role strengthening programs on the maternal identity and confidence of maternal role on first-time mother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011;18(2):88-98. 

  28. Lee EJ, Park JS. Development of a prediction model for postpartum depression: Ba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antepartum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5; 45(2):211-2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