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차원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을 위한 시추조사 DB의 신뢰도 검증 방안
Reliability Evaluation Methodology of Boring Investigation DB for the 3D Integrated Underground Space Map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33 no.9, 2017년, pp.35 - 47  

이보영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황범식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조완제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3차원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 사업과 더불어 지반정보를 3차원으로 가시화하는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지반정보의 3차원 가시화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지반정보의 정밀도를 분석하여 검증 할 필요가 있다. 2013~2014년은 수집 DB에 대한 정밀도를 검증하는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최근 지반정보의 3차원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 제시의 일환으로 지반정보의 정밀도를 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들에서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시추정보의 정밀도 향상 방안 및 지층 모델링을 위한 지반정보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여 신뢰성 있는 3차원 지반정보의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3D image of the geotechnical information has been constructed along with the 3D integrated underground space mapping project. Prior to the visualization of the 3D image of the geotechnical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verify the accuracy of the geotechnical inform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DEM을 현재의 지형이라고 가정한다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절토, 성토 등으로 인하여 시추정보의 기존 표고와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그 차이의 크기로부터 해당 지반 내 지층은 매우 상이하게 나타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DEM과 기존 표고 자료의 비교를 통해 과다한 오차를 나타내는 표고를 포함한 시추정보를 이상치로 판단하여 제거 전/후의 정밀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정밀도 분석에 앞서 먼저 시추정보의 기존 표고 자료에 입력이 누락된 시추공들을 제거하였다.
  • 더욱 신뢰성 있는 3차원 지반정보 구축을 위해서는 지반정보의 정밀도를 분석하고 평가하는데서 더 나아가 정밀도 향상 방안의 제시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시추정보의 기존 표고 자료에 대한 이상치를 제거하여 지반정보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지표고 기준 지층경계면 심도 정보를 이용한 3차원 지반정보의 구축뿐만 아니라 지층의 두께를 이용한 3차원 지반정보 구축 방안을 고려하여 지반정보의 활용 방안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여기서, 지층 두께의 이용은 지형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지층 분포를 예측할 수 있으므로, 평지로 분류된 대상지들뿐만 아니라 지형 변화가 심한 구릉이나 산지에서도 상대적으로 합리적인 공간 지층 정보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Chun et al.
  • 2와 같이 시추공 DB의 표고정보와 해당 위치의 DEM 격자 표고정보를 추출하여 상호 표고 오차를 계산하였다. 또한 DEM과 기존 표고 자료 간의 차이인 오차에 대한 이상치 범위를 판단하기 위해서 정규분포를 적용하고자 하였으며, 우선적으로 오차의 정규분포 적용이 타당한지 살펴보았다. 수집된 자료들이 정규분포를 따르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다양하나 그중 일반적인 자료의 정규성 검정으로는 히스토그램 모양에 따른 검증과 Q-Q 도표의 기울기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Choi, 2000).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지층경계면 심도뿐만 아니라 각 시추공 별로 영역 내에서 발현되는 모든 지층의 두께를 산정하여 정밀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지표고 기준 지층경계면 심도를 공간보간하여 생성한 지층경계면과 지층 두께의 공간보간을 통해 생성된 지표고 기준 지층경계면 심도 및 ArcGIS를 통하여 산출한 각 지층의 체적을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해 3차원 지반정보 구축을 위한 지반정보의 정밀도 향상 방안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하였다.
  • 본 연구는 국토지반정보 통합DB센터(2017)로부터 서울특별시 송파구, 강남구내에 있는 시추정보들을 제공받아 3차원 지반정보 모델 구축 위한 지반정보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정밀도 분석 및 정밀도 향상 방안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점 추정은 한 점을 이용하여 모수를 추정하는데 비해 구간 추정은 그 값의 범위와 편차를 통해 추정을 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구간 추정을 통하여 각 지역별로 추출한 오차에 대한 신뢰구간을 추정하였다. 주어진 오차 자료에 대한 산포도를 나타내는 수치인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전체 자료의 99.
  • 본 절에서는 앞서 공간보간으로 생성된 지층경계면을 통해 각 지층별 체적을 산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체적 산출은 Arc GIS내 ‘Cut Fill’을 활용하였으며, 여기서 ‘Cut Fill’은 높이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지형정보를 기반으로 지형의 변화를 통해서 해당 하는 영역의 위치, 면적, 체적을 계산해주는 툴이다.
  • 최근 서울시 내에서는 동공 및 도로함몰과 같은 지반재해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으며, 이를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Fig. 1과 같이 서울시 내의 2개 구(송파구, 강남구)에 대한 지반정보의 정밀도를 분석하고 나아가 3차원 지반정보의 구축을 위한 지반정보의 활용 방안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이러한 연구 수행을 위해서 국토지반정보 통합DB센터(2017)로부터 서울시 2개 구에 대한 격자 크기 1m × 1m의 DEM과 시추공정보 3267개를 제공받았으며, 제공 받은 DB는 각 시추공에 대한 시추주상도 정보로 시추공번호, XY좌표, 표고, 지층이름, 지층에 대한 심도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하공간통합지도는 어떤 정보들로 구성되어 있는가? , 2012). 이러한 지하공간정보 통합 인프라는 지하공간통합지도라 정의하며, 지하공간통합지도는 지하시설물 정보 6종, 지하구조물 정보 6종, 지반정보 3종의 총 15종의 지하 공간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지반정보는 국토지반정보 통합DB센터(2017)에 22만공 이상의 시추 정보 DB로 구축되어있다.
신뢰성 있는 3차원 지반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 2011). 그러므로 신뢰성 있는 3차원 지반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지반정보의 정밀도 평가 및 검증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한다. 이러한 지반정보의 정밀도를 평가하는 연구가 Jang et al.
지하공간정보 통합 인프라 중 지반정보 DB의 한계는 무엇인가? 이 중 지반정보는 국토지반정보 통합DB센터(2017)에 22만공 이상의 시추 정보 DB로 구축되어있다. 하지만 이렇게 방대한 양의 DB가 구축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활용성 부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반정보를 3차원으로 가시화하여 제공함으로써 지반정보 DB의 활용성을 제고하고자하는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연구의 진행을 위해서 대상 지역에 존재하는 다수의 지반조사 결과 자료를 이용하여 지반 특성을 해석할 경우에 지반의 불균질성과 일부 자료의 낮은 신뢰성으로 인해 지층구성 평가 및 각 지층의 지반 정수 산정을 함에 있어서 어느 정도 오차나 오류가 불가피하게 된다(Kim et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Integrated DB Center of National Geotechnical Information, (2017), http://www.geoinfo.or.kr. 

  2. Carr, J. R. (1995), "Numerical Analysis for the Geologhical Sciences", Prentice Hall, N. J., pp.150-152 

  3. Choi, M. H. (2000), "A Study on the Design and Appilcation of Histogram in the CAQC", Journal of the Ulsan College, Vol.27, No.2, pp.211-221. 

  4. Chun, S. H., Sun, C. G., and Chung, C. K. (2005), "Application of Geostatistical Method for Geo-Layer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2, No.2C, pp.103-115. 

  5. Isaaks, E. H. and Srivastava, R. M. (1989), "An Introductions to Applied Geostatistics",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pp.225-235 

  6. Jang, Y. G., Jeon, H. S., Chae, D. H., and Cho, W. J. (2013), "A State-of-the-Practice Review on the Management of the Domestic Geotechnical and Geological Information Data",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14, No.8, pp.39-46. 

  7. Jang, Y. G., Jeon, H. S., Chae, D. H., and Cho, W. J. (2014), "Evaluation of Precision of the Domestic Geotechnical Information Data",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15, No.4, pp.53-56. 

  8. Jang, Y. G., Kim, Y. S., Chae, D. H., and Cho, W. J. (2015), "Time-series Analysis of Precision the Domestic Boring Investigation Data",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16, No.3, pp.15-21. 

  9. Kim, H. S., Kim, H. K., Shin, S. Y., and Chung, C. K. (2011), "Application of Statistical Geo-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to Soil Stratif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27, No.7, pp.59-68. 

  10. Lee, B. Y., Hwang, B. S., and Cho, W. J. (2017), "Precision Analysis of Geotechnical Information for the 3D Integrated Underground Space Map",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18, No.4, pp.5-12. 

  11. Seok, C. H., Kang, Y. R, Jang, Y. G., and Kang, I. J. (2012), "A Study of Standardization for Establishing Integrated Infrastructure of Underground Space Information and its Avail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21, No.4, pp.105-1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