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페이스북 이용자들의 긍정적인 자아노출과 자아속성
Facebook Users' Positive Self-Presentation toward Personal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9, 2017년, pp.21 - 31  

김유정 (수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람들이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자아노출을 한다는 점에 초점을 맞춰 페이스북 이용자들의 페이스북에서의 긍정적인 자아노출을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는 자아효능감, 나르시시즘, 공적/사적 자아 요인들이 긍정적인 자아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3년 이상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는 197명의 이용자들이었다. 분석결과 자기과시, 환심사기, 유능함보이기, 모범보이기, 후광노출, 권리주장, 정당화하기를 통해 조사된 긍정적 자아노출에 대해 통계상으로 높은 수치가 제시되지 않아 페이스북에서 이용자들이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자아노출을 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용자의 자아효능감과 나르시시즘적인 성향은 통계상으로 긍정적인 자아노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이용자들의 공적 자아의식은 긍정적인 자아노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사적 자아의식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study was to ascertain whether Facebook users present themselves positively on Facebook. Also this study examined whether factors of self-efficacy, narcissism, and public/private self-consciousness affected positive self-presentation. The subjects for the study included 197 users who ...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페이스북에서 이용자들이 긍정적인 자아노출을 하는지를 파악하는데 있다. 아울러 사람들의 자아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아효능감, 나르시시즘, 공적/사적 자아의식 등의 개인적 특성이 거론되었다[4].
  • 아울러 사람들의 자아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아효능감, 나르시시즘, 공적/사적 자아의식 등의 개인적 특성이 거론되었다[4]. 본 연구에서도 이러한 변인들을 동원하여 페이스북에서의 긍정적인 자아노출과의 관련여부를 조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SNS 중 페이스북에서 이용자들이 긍정적인 자아노출을 하는 지를 파악하고 긍정적인 자아노출이 이용자와 관련된 개인적 자아속성과 관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분석대상이 되는 페이스북에서의 긍정적인 자아노출, 나르시시즘과 자아효능감을 포함한 자아유형과 공적 및 사적 자아의식을 측정하는 문항들로 구성된 설문지 조사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 이렇듯, 페이스북이 인터넷상에서 또 하나의 자아노출의 공간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어 이를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에서의 이용자들의 자아노출을 파악하고자 한다. 특히 페이스북에서는 이용자들의 의도적인 자아노출이 가능하므로 페이스북에서의 긍정적인 자아노출에 초점을 맞춰 논의하고자 한다.
  • 자기표현의 시대에 페이스북이 인터넷상에서 또 하나의 자아노출의 공간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므로 이를 반영하여 본 연구는 페이스북에서의 자아노출을 파악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페이스북에서의 긍정적인 자아노출에 초점을 맞춰 페이스북에서 이용자들이 긍정적인 자아노출은 하는지와 이와 관련된 변인들을 동원하여 관련여부를 조사하였다.
  • 특히 페이스북에서는 이용자들의 의도적인 자아노출이 가능하므로 페이스북에서의 긍정적인 자아노출에 초점을 맞춰 논의하고자 한다. 자아노출의 기회가 주어지면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는 방식으로 자신을 표현하려는 경향[3]이 있는데 그러한 경향이 페이스북에서도 행해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긍정적인 자아노출은 자신에 관한 우호적이고 긍정적인 내용을 표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행위자가 자신의 긍정적 측면을 상대방에게 드러내려는 경향을 측정하는 것이다. Lee et al.
  • 자기표현의 시대에 페이스북이 인터넷상에서 또 하나의 자아노출의 공간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므로 이를 반영하여 본 연구는 페이스북에서의 자아노출을 파악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페이스북에서의 긍정적인 자아노출에 초점을 맞춰 페이스북에서 이용자들이 긍정적인 자아노출은 하는지와 이와 관련된 변인들을 동원하여 관련여부를 조사하였다.
  • 이렇듯, 페이스북이 인터넷상에서 또 하나의 자아노출의 공간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어 이를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에서의 이용자들의 자아노출을 파악하고자 한다. 특히 페이스북에서는 이용자들의 의도적인 자아노출이 가능하므로 페이스북에서의 긍정적인 자아노출에 초점을 맞춰 논의하고자 한다. 자아노출의 기회가 주어지면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는 방식으로 자신을 표현하려는 경향[3]이 있는데 그러한 경향이 페이스북에서도 행해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아노출이란 무엇인가? 인간은 일상 속에서 자신의 느낌, 감정, 생각, 경험 등을 타인에게 알려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내려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욕구에 따라 자신에 관한 사항 및 정보를 타인에게 알려주는 것을 자아노출이라고 한다[5]. 누군가와 상호교류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이 나를 알아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나의 정체성에 관한 정보를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 자아노출은 상대방과 상호교류하기 위한 일상적인 현상이다.
페이스북은 무엇을 제공하는가? 최근에는 이들 서비스에서 발전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가 자아노출의 새로운 장으로 각광받으면서 이용자들이 페이스북을 통해 자아노출하는데 열중하고 있다. 페이스북은 인터넷상에서 이용자가 자신의 개인정보를 올리고 방문하는 접속자와 상호교류할 수 있는 개인 공간을 제공해주고 있다. 페이스북은 사진이나, 그림, 글 또는 음악 등의 다양한 표현요소를 통해 보다 쉽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들은 용이하게 자아노출을 할 수 있다.
페이스북 상에서 의도적인 자아노출이 가능한 이유는 무엇인가? 그래서 페이스북상에서는 의도적인 자아노출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이용자들은 프로필, 사진, 자신의 이야기 등을 통해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이미지 /인상을 구성하고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페이스북은 나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모든 정보가 공유되고 유통되기 때문에 나를 보여줄 수 있는 중요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김재휘, 박유진, 인터넷상에서의 자아인식과 집단인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4. 

  2. 노기영, "개인 웹페이지 표현양식에 대한 자아의 식의 효과," 한국언론학보, 제46권, 제2호, pp.279-309, 2002. 

  3. M. Sirgy and C. Su, "Destination image, self-congruence, and travel behavior: toward an intergrative mode," Journal of Travel Research, No.38, pp.340-352, 2000. 

  4. E. Christofides, A. Muise, and S. Dermarais, "Information disclosure and control on facebook: Are they two sides of the same coin or two different process?," Cyberpsychology and Behavior, Vol.12, No.3, pp.341-345, 2015. 

  5. M. Leary and R. Kowalski, "Impression management: a literature review and two-factor model," Psychological Bulletin, No.107, pp.34-47, 1990. 

  6. D. Taylor and I. Altman, "Self-disclosure as a function of reward-cost outcomes," Sociometry, No.38, pp.18-31, 1975. 

  7. C. Turner and H. Reynolds, "The social identity perspective in intergroup relations: theories, themes, and controversies," Blackwell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Intergroup Processes, Vol.3, No.1, pp.133-152, 2001. 

  8. J. R. Dominick, "Who do you think you are? Personal homepages and self-presentation on the World Wide Web,"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No.76, pp.646-658, 1999. 

  9. N. Doring, "Personal home pages on the web: a review of research,"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7, No.3, 2002. 

  10. E. Goffman, The Presentation of Self in Everyday Life, NY: Doubleday Anchor Books, 1959. 

  11. E. Jones, Interpersonal perception, New York: W. H. Freeman, 1990. 

  12. D. M. boyd and N. B. Ellison,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13, No.1, 2007. 

  13. 구철모, 전유희, 정남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동기와 성과에 대한 실증연구: 온라인 정 체성 표현욕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제41권, 제5호, pp.1136-1156, 2012. 

  14. S. Mehdizadeh, "Self-presentation 2.0: narcissism and self-esteem on facebook,"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Vol.13, No.4, pp.357-365, 2010. 

  15. A. M. Gonzales and J. T. Hancock, "Mirror, mirror on my facebook wall: effects of exposure to facebook on self-esteem,"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Vol.14, No.1, pp.79-83, 2011. 

  16. C. Carpenter, "Narcissism on facebook: self-promotional and anti-social behavior,"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No.52, pp.482-486, 2012. 

  17. J. Kim and J. E. Lee, "The facebook paths to happiness: effects of the number of facebook friends and self-presentation on subjective well-being,"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No.14, pp.359-364, 2011. 

  18. 최자영, 이수원, 장은영, "공적자기의식과 나르시시즘이 페이스북 브랜드 팬페이지의 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연구, 제28권, 제2호, pp.65-86, 2013. 

  19. M. Strano, "User description and interpretations of self-presentation through facebook profile images," Cyberpsyology: Journal of Psychological Research on Cyberspace, Vol.2, No.2, 2008. 

  20. R. P. Brown and V. Zeigler-Hill, "Narcissism and the non-equivalence of self-esteem measures: A matter of dominanc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No.38, pp.585-592, 2004. 

  21. S. Kapidzic, "Narcissism as a predictor of motivations behind Facebook profile picture selection,"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No.16, pp.14-19, 2013. 

  22. C. DeWall, L. Buffardi, I. Bonser, and W. Campbell, "Narcissism and implicit attention seeking: Evidence from linguistic analyses of social networking and online presentat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No.51, pp.57-62, 2011. 

  23. L. Buffardi and W. Campell, "Narcissism and social networking web sit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No.34, pp.1303-1314, 2008. 

  24. A. Cast and P. Burke, "A theory of self-esteem," Social Force, Vol.80, No.3, pp.1041-1068, 2002. 

  25. W. Campbell, E. A. Rudich, and C. Sedikidies, Narcissism, self-esteem, and positivity of self-views: two portraits of self-lov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28, No.3, pp.358-368, 2002. 

  26. L. Malar, H. Krohmer, W. Hoyer, and B. Nyffenengger, "Emotional brand attachment and brand personality: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actual and the ideal self," Journal of Marketing, No.75, pp.35-52, 2011. 

  27. G. Kyle, A. Graefe, R. Manning, and J. Bacon, "Effects of place attachment on users' perceptions of soci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a natural setting,"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No.24, pp.213-25, 2004. 

  28. R. G. Hass, "Perspective taking and self-awareness: drawing an E on you forehan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No.46, pp.788-798, 1984. 

  29. M. Shim, M. Lee, and S. Park, "Photograph use on social network sites among South Korea college students: The role of public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Cyberpsychology and Behavior, Vol.11, No.4, pp.489-493, 2008. 

  30. T. B. Gogolinski, "Effects of self-monitoring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on perceptions of facebook profiles, Colonial Academic Alliance Undergraduate Research Journal, Vol.1, No.9, 2010. 

  31. S. Lee, B. Quigley, M. Nesler, and J. Tedeschi, Development of a Self-Presentation Tactics Scale, 1995. 

  32. M. Rosenberg, Social and the adlescent image, Priceton, NJ: Priceon Univ. Press. 

  33. R. A. Emmons, "Narcissism: Theory and measure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No.52, pp.11-17, 1987. 

  34. M. Scheier and C. Carver, "The self-consciousness scale: a revised version for use with general population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15, No.8, pp.687-699, 1985. 

  35. N. Ellison, C. Steinfield, and C. Lampe, "The benefits of facebook friends: social capital and college students'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No.12, pp.1148-1163, 2007. 

  36. 김용학, 사회연결망분석, 박영사, 2006. 

  37. A. Chandler, "Narrating the self-injured body," Medical Humanities, No.1, pp.1-6,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