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서 비만실태 파악을 위한 이상치 진단 및 해결
Outlier Diagnostics and Resolution to determine Obesity Status in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Research Databas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9, 2017년, pp.476 - 485  

김동욱 (국민건강보험공단일산병원) ,  윤호순 (국민건강보험공단일산병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02년에서 2013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을 받은 대상자 자료를 통해 세계비만연맹 아시아-태평양지회(WHO-WPRO)에서 정한 체질량지수(Body Mess Index, BMI)을 기준으로 총 6개의 분류(저체중, 정상, 과체중, 비만, 고도비만, 초고도비만)로 구분하여 비만의 실태를 분석하였고 그 과정에 발생하는 이상치의 문제점들을 함께 해결하여 정확한 결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제시하는 중앙값 반복 보간법은 선형 보간법이나 라그랑주 보간법에서 발생하는 다중 이상치 생성 시 잘못된 결과들이 보간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 평가되었고, 이를 통해 최종 생성된 자료의 연간 비만지수변화를 확인한 결과 극단적인 저체중과 비만체중이 점차 증가하고 정상체중의 빈도가 점차 줄어드는 특징을 확인하였다. 특히 여성보다는 남성이 그리고 저 연령층에서 비만의 증가추세가 급증하고 있는 상태로 분석되었다. 전체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비만으로 발생하는 건강문제가 또 다른 사회적 문제로 확산되기 전에 국가적인 조치가 필요한 것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nalyzed obesity status by divided into six classification based on the body mass index(BMI) established by World Health Organization-Western Pacific Regional Office(WHO-WPRO) through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HIS). In the middle of process, problems of outlier solved by pres...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2년부터 2013년까지 건강검진 빅데이터를 이용한 비만관련 연구를 위해 전체 자료의 흐름을 방해하는 체중 및 신장의 이상치들을 해결하면서, 자료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통계적 보간방법을 모색하여 신뢰성 있는 정보이용을 도모하기 위함이며, 이 방법에 의해 수정 구축된 데이터로 비만의 실태파악을 하고자 함이다.
  •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13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비만실태조사를 연구하기 위해 이상치 제거 및 보정의 적절한 방법을 제시하여 추후 공단자료를 이용할 경우 이와 같이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상치가 발생하는 경우 무조건적인 제거보다는 앞서 측정된 과거 정보를 활용하여 최대한 그 정보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 본 연구는 전국민을 대상으로 매 2년 간격으로 실시하고 있는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가 건강검진을 2002년부터 2013년까지 받은 대상자들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만의 실태와 생활습관들을 살펴보았다. 총 검진자는 110,448,767명이며 검진을 받은 대상자들 중 19세 미만과 외국인은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02년부터 2013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국가건강검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만실태를 파악하고자 한 연구로써, BMI계산을 위한 키와 체중의 이상치를 중앙값 반복 보간법을 적용하여 보정하였다. 국민건강보험 국가검진의 경우 문진항목에 자가 기록되어 키와 몸무게를 실제 측정하지 않고 기입하는 경우도 있어 자료의 한계점이 발생한다.
  • 다항식 보간법은 제한된 데이터에서 이상치가 둘 이상 존재하는 경우 다른 이상치에 의해 보간되는 값이 다른 이상치에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반복적인 보간법을 생각해 보았다.
  • 하지만 검진자료를 살펴본 결과 특정한 곡선이나 직선의 패턴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중간에 돌출되는 이상치에 가까운 값들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런 문제점 해결을 위한 통계적 방법모색이 요구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의 연구 대상자 선정방법과 이상치 진단과 해결방법을 제시하고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보간법으로 수정한 연구대상자와 비만의 실태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의 인구가 세계적으로 늘어나면서 사람들은 어떤 것에 관심을 보이는가? 세계적으로 인구 고령화와 함께 비만의 인구도 급증하면서 비만과 관련된 질병들에 많은 관심을 보이며, 비만을 건강주요 지표로 이용하고 있다. 1997년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도 비만이 흡연과 더불어 세계적인 건강을 위협하는 심각한 공중보건학적 문제가 될 것으로 예측하였다[1][2].
세계보건기구에서 비만을 어떤 문제가 될것이라고 예측하였는가? 세계적으로 인구 고령화와 함께 비만의 인구도 급증하면서 비만과 관련된 질병들에 많은 관심을 보이며, 비만을 건강주요 지표로 이용하고 있다. 1997년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도 비만이 흡연과 더불어 세계적인 건강을 위협하는 심각한 공중보건학적 문제가 될 것으로 예측하였다[1][2]. 또한 비만은 여러 만성질환의 위험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엄청난 규모의 직간접 사회적 비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연간 비만지수변화를 전체적으로 확인한 결과 여성과 남성 및 연령층별 비만의 증가추세는 어떻게 되고 있는가? 본 연구 결과에서 제시하는 중앙값 반복 보간법은 선형 보간법이나 라그랑주 보간법에서 발생하는 다중 이상치 생성 시 잘못된 결과들이 보간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 평가되었고, 이를 통해 최종 생성된 자료의 연간 비만지수변화를 확인한 결과 극단적인 저체중과 비만체중이 점차 증가하고 정상체중의 빈도가 점차 줄어드는 특징을 확인하였다. 특히 여성보다는 남성이 그리고 저 연령층에서 비만의 증가추세가 급증하고 있는 상태로 분석되었다. 전체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비만으로 발생하는 건강문제가 또 다른 사회적 문제로 확산되기 전에 국가적인 조치가 필요한 것을 시사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World Health Report 2002, reducting risks, promoting healthy life, WHO, 2002. 

  2. WHO Consultation on Obesity, Obesity :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WHO Technical Report Series 894, WHO, 2000(1). 

  3. 안병철, 정효지, "과체중-비만의 사회경제적 비용 추계," 한국영양학회지, 제38권, 제9호, pp.786-792, 2005. 

  4. 박종헌, "체질량지수와 유의한 상관성을 갖는 질환들의 이환율을 이용한 한국인의 체질량지수 변별점 측정: ROC곡선을 이용하여," 대한비만학회지, 제20권, 제1호, pp.36-43, 2011. 

  5. 조정진, "한국인에서 비만기준 무엇이 문제인가?," 대한노인신경의학회 추계학술대회자료집, pp.27-31, 2015. 

  6. 유근영, 강대희, 박수경, "아시아인 비만 기준 바꿔야," 서울대학교 교수연구 성과, http://medicine.snu.ac.kr/sub4/result/result/read.htm?bnresult&board_no3758&thisPage3&startTextId100 &buffer10 

  7. S. H. Jee, J. W. Sull, J. Park, S. Y. Lee, H. Ohrr, E. Guallar, and J. M. Samet, "Body-mass index and mortality in Korean men and women,"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355, No.8, pp.779-787, 2006. 

  8. W. Zheng, F. Dale, M. S. McLerran, B. Rolland, X. Zhang, M. Inoue, K. Matsuo, J. He, P. C. Gupta, K. Ramadas, S. Tsugane, F. Irie, A. Tamakoshi, Y. T. Gao, R. Wang, X. O. Shu, I. Tsuji, S. Kuriyama, H. Tanaka, H. Satoh, C. J. Chen, J. M. Yuan, K. Y. Yoo, H. Ahsan, W. Pan, D. Gu, M. S. Pednekar, C. Sauvaget, S. Sasazuki, T. Sairenchi, G. Yang, Y. B. Xiang, M. Nagai, T. Suzuki, Y. Nishino, S. L. You, W. P. Koh, S. K. Park, Y. Chen, C. Y. Shen, M. Thornquist, Z. Feng, D. Kang, P. Boffetta, and J. D. Potter, "Association between Body-Mass Index and Risk of Death in More Than 1 Million Asian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364, No.8, pp.719-729, 2011. 

  9. D. P. Bertsekas, Nonlinear Programming, Second ed., Combridge, MA.:Athena Scientific, 1999. 

  10. S. Thomas and X. Yuan, "On multivariate Lagrange interpolation," Mathematics of Computation, Vol.64, pp.1147-1170, 1995. 

  11. 최윤백, 김용성, 비만치료지침 2012, 대한비만학회, 2012. 

  12. K. Kim, S. Kim, S. Park, Y. Khang, and M. Park, "Changes in Prevalence of Obesity and Underweight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1998-2008," Korean J Obes, Vol.21, No.4, pp.228-235, 2012. 

  13. S. Y. Rhee, S. W. Park, D. J. Kim, and J. T. Woo, "Gender disparity in the secular trends for obesity prevalence in Korea: analyses based on the KNHANES 1998-2009," Korean J Intern Med., Vol.28, No.1, pp.29-34, 2013. 

  14. J. M. Seo, N. K. Lim, J. Y. Lim, and H. Y. Park, "Gender Difference in Association with Socioeconomic Status and Incid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Korean J Obes, Vol.25, No.4, pp.247-254, 2016. 

  15. Y. R. Park, Y. G. Cho, J. H. Kang, H. A. Park, K. W. Kim, Y. I. Hur, J. S. Seo, and N. Y. Park, "Comparison of Obesity and Overweight Prevalence Among Korean Adults According to Community Health Survey an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Obes, Vol.23, No.1, pp.64-68, 2014. 

  16. E. Kim and S. Oh, "Gender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 of Occupation with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Korean J Obes, Vol.21, No.1, pp.108-114, 2012. 

  17. 김혜련, "비만예방 정책의 방향과 과제," 보건복지포럼, pp.39-49, 2010(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