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명상의 교육콘텐츠로서의 의미: 교육적 효과에 대한 미국 문헌 분석을 중심으로
Contemplative Education as a Content Area of Education: Through th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in the U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9, 2017년, pp.606 - 618  

민희정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불교아동보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미국에서 하나의 화두로 떠오르는 명상을 교육적 시각에서 어떻게 연구되어 지고 있는지 연구문헌을 통해 살펴보고, 이에 따른 명상의 교육콘텐츠적 의미를 논하였다. 연구문헌은 1999년부터 2016년까지 발행된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술지 논문 중 웹오브사이언스(Web of Science)에서 '알아차림(mindfulness)'과 '교육(education)'으로 검색된 논문들 가운데 23편을 선정해 분석했다. 분석기준은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한 명상 연구 중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교사 명상 연구는 스트레스 감소 효과에 대한 연구가 많았으며 최근 들어 교사 효능감 및 효과성, 교실 운영 등에 대한 양적 연구가 증가되고 있었다.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명상 연구는 스트레스 감소를 비롯해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발달에 관한 양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명상은 교육콘텐츠로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가진 것으로 보인다. 교육콘텐츠로서 사용될 때 명상은 전인교육의 목적을 가지고 발달에 적합한 다양한 방법과 기술을 사용하여 여러 종류의 명상법을 가르치도록 해야 하며, 이때 명상을 통한 정서적 지지와 긍정적 상호작용이 긍정적인 교육 환경을 조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contemplative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ly incorporated in schools in the US, this study aims to review literature on contemplative education for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US and to explore pedagogical meanings of meditation. I focus my analysis on research journals that include teacher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미국의 명상교육과 관련된 초기와 최근의 움직임을 소개하는 것은 한국에서 명상교육을 실제적으로 도입하고 활발하게 연구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중요한 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며, 명상 교육 관련 연구의 세계화의 흐름을 살펴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명상관련 연구를 살펴보고, 교육적 실현을 위해 어떤 점이 중요한지를 연구된 문헌을 통해 논의하고자 한다.
  • 따라서 명상이 유아교육계에서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그리고 고등교육에서의 명상이 유아교육계에서의 명상과는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명상이 어떤 기제로 각 연령대에 있는 학생들의 정서를 조절하게 하고 행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돕는지와 긍정적 정서 발달, 즉 친절함, 공감, 자비심 등의 형성과 발달에 있어서 명상의 역할과 그 기제에 대해서도 고찰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 둘째, 심리검사와 더불어 질적데이터를 정량적 데이터로 수량화하여 양적연구 방법으로 사용한 교사의 스트레스 감소와 교사 효능감, 효과성에 대한 연구이다. 마지막으로 교실 관찰 및 교사 인터뷰 등의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한 명상의 교육적 효과 연구와 교육적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이다.
  • 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명상연구는 학생들의 스트레스, 정서 조절, 사회정서발달, 인지수행능력 등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룬다.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의 명상 수행이 어떤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지 조사한 연구문헌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일반적으로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명상수행연구가 초등학교 이후의 고등교육기관 연구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많이 수행되지 않고 있음을 살펴볼 것이다.
  • 본 연구에 대한 논의는 명상 연구논문의 시대적 흐름, 교사와 학생에 대한 명상의 효과, 명상연구문헌의 연구 방법에 대해서 정리 및 제언하고, 마지막으로 교육계에서의 명상교육 연구와 적용에 대한 제언을 덧붙일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미국에서 진행된 명상 관련 연구물 중 교사와 학생들에게 있어서 명상의 효과를 검증한 논문을 분석하고, 이에 따라 명상이 교육콘텐츠, 즉 교육 내용의 한 부분이 될 수 있는 것의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미국의 명상 교육 연구의 문헌 분석을 실시 한 이유는 미국 내에서 명상 효과에 대한 연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명상이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효과를 나타내면서 미국 사회에서 하나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 본 연구에서는 미국에서의 명상 교육에 관한 연구 문헌을 살펴보았다. 시간이 지나면서 더욱 더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고 더욱 더 많은 연구 논문들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계속해서 연구 동향을 살펴볼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 교사의 명상수행이 가져오는 효과에 대한 연구는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심리검사와 양적 연구 방법을 사용한 교사의 스트레스 감소에 대한 연구이다. 둘째, 심리검사와 더불어 질적데이터를 정량적 데이터로 수량화하여 양적연구 방법으로 사용한 교사의 스트레스 감소와 교사 효능감, 효과성에 대한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명상이란? 1960년대, 미국에 명상이 처음 도입된 이후 사람들의 명상에 대한 관심은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명상은 불교의 수행법으로 지속적이고 의도적으로 내면에 주의를 기울여 마음을 관찰해, 편안함과 평화로움을 경험하고 마음의 안정을 찾으며 궁극적으로는 괴로움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상태인 깨달음을 얻기 위한 방법이다. 미국에서는 특히 마인드풀니스(Mindfulness), 즉 ‘알아차림’ 혹은 ‘마음 챙김’이라고 번역되는 명상을 많이 수행하고 있다.
미국에서 마음 챙김 명상에 대한 관심은 어느 정도인가? 마음 챙김 명상은 지금 여기에서 일어나고 있는 감정이나 생각, 신체적 증상 등을 판단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자각하는 명상을 말한다. 미국에서 2014년은 특히 명상 혁명의 해(Mindful Revolution) 라고 불릴 정도로 마인드풀니스 명상 관련 학회와 모임이 많이 열렸고 미디어의 관심도 높아졌다. 실례로 미국의 타임지는 2014년의 1월 표지모델을 명상을 하고 있는 젊은 백인 여성의 모습을 실었으며 명상에 대한 주제를 내용으로 다루었다.
미국에서 많이 하는 명상은? 명상은 불교의 수행법으로 지속적이고 의도적으로 내면에 주의를 기울여 마음을 관찰해, 편안함과 평화로움을 경험하고 마음의 안정을 찾으며 궁극적으로는 괴로움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상태인 깨달음을 얻기 위한 방법이다. 미국에서는 특히 마인드풀니스(Mindfulness), 즉 ‘알아차림’ 혹은 ‘마음 챙김’이라고 번역되는 명상을 많이 수행하고 있다. 마음 챙김 명상은 지금 여기에서 일어나고 있는 감정이나 생각, 신체적 증상 등을 판단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자각하는 명상을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J. Kabat-Zinn, "An out-patient program in Behavioral Medicine for chronic pain patients based on the practice of mindfulness meditati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preliminary results," General Hospital Psychiatry, Vol.4, pp.33-47, 1982. 

  2. J. Kabat-Zinn,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in context: Past, present, and future,"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Vol.10, No.2, pp.144-156, 2003. 

  3. R. Davidson, "Meditation and neuroplasticity: Training your brain," Explore-the Journal of Science and Healing, Vol.1, No.5, pp.380-388, 2005. 

  4. J. A. Brefczynski-Lewis, A. Lutz, H. S. Schaefer, D. B. Levinson, and R. J. Davidson, "Neural correlates of attentional expertise in long-term meditation practitioner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Vol.104, No.27, pp.11483-11488, 2007. 

  5. http://projectreporter.nih.gov/reporter.cfm 

  6. R. W. Roeser and P. D. Zelazo, "Contemplative science, education and child development: introduction to the special section," Child Development Perspectives, Vol.6, No.2, pp.143-145, 2012. 

  7. R. Chambers, E. Gullone, and N. B. Allen, "Mindful emotion regulation: An integrative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29, No.6, pp.560-572, 2009. 

  8. Portland Public Schools. (2015, January 27). Marysville MindUP program transforms school. Portland Public Schools News, Retrieved from http://www.pps.k12.or.us 

  9. K. House, (2014, October 14.) . >. Retrieved from http://www.oregonlive.com 

  10. G. Wozniacka, (2014, December 15). , >. Retrieved from http://www.washingtonpost.com/ 

  11. M. Nikias, (2013, February 21). . >. Retrieved from http://abcnews.go.com 

  12. http://www.compassionschools.org 

  13. http://www.erikson.edu/news/erikson-selected-for-second-investing-in-innovation-i3-grant/ 

  14. R. W. Roeser and S. C. Peck, "An education in awareness: Self,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 contemplative perspective," Educational Psychologist, Vol.44, No.2, pp.119-136, 2009. 

  15. C. Lin, T. Kuo, Y. Kuo, Y. Kuo, L. Ho, and C. Lin, "Practice makes better? A study of meditation learners in a classroom environment," Educational Studies, Vol.33, No.1, pp.65-80, 2007. 

  16. E. Gold, A. Smith, I. Hopper, D. Herne, G. Tansey, and C. Hulland,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MBSR) for primary school teacher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Vol.19, No.2, pp.184-189, 2010. 

  17. C. Franco, I. Manas, A. J. Cangas, E. Moreno, and J. Gallego, "Reducing teachers' psychological distress through a mindfulness training program," Spanish Journal of Psychology, Vol.13, No.2, pp.655-666, 2010. 

  18. V. L. Anderson, E. M. Levinson, W. Barker, and K. R. Kiewra, "The effects of meditation on teacher perceived occupational stress, state and trait anxiety, and burnout," School Psychology Quarterly, Vol.14, No.1, pp.3-25, 1999. 

  19. L. Flook, S. B. Goldberg, L. Pinger, K. Bonus, and R. J. Davidson, "Mindfulness for teachers: A pilot study to assess effects on stress, burnout, and teaching efficacy," Mind, Brain, and Education, Vol.7, No.3, pp.182-195, 2013. 

  20. P. A. Jennings, J. L. Frank, K. E. Snowberg, M. A. Coccia, and M. T. Greenberg, "Improving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s by cultivating awareness and resilience in education (CARE): Results o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chool Psychology Quarterly, Vol.28, No.4, pp.374-390, 2013. 

  21. P. A. Jennings, "Early childhood teachers' well being, mindfulness, and self-compassion in relation to classroom quality and attitudes towards challenging students," Mindfulness, Advance online publication, doi:10.1007/s12671-014-0312-4, 2014. 

  22. N. N. Singh, G. E. Lancioni, A. S. W. Winton, B. T. Karazsia, and J. Singh, "Mindfulness training for teachers changes the behavior of their preschool students," Research in Human Development, Vol.10, No.3, pp.211-233, 2013. 

  23. J. P. Miller and A. Nozawa, "Meditating teachers: A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In-Service Education, Vol.28, No.1, pp.179-192, 2002. 

  24. M. Powietrynska and A. K. H. Gangji, "I understand why people need to ease their emotion: Exploring mindfulness and emotion in a conceptual physics classroom of a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program," Cultural Studies of Science Education, Vol.11, No.3, pp.693-712, 2016. 

  25. M. Napoli, "Mindfulness Training for Teachers: A Pilot Program," Journal of Evidence-Based Complementary & Alternative Medicine, Vol.9, No.1, pp.31-42, 2004. 

  26. C. A. Burke, "Mindfulness-based approaches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A preliminary review of current research in an emergent field,"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Vol.12, No.2, pp.133-144, 2010. 

  27. J. Meiklejohn, C. Phillips, M. Lee Freedman, M. L. Griffin, G. Biegel, A. Roach, J. Frank, L. Pinger, G. Soloway, R. Isberg, E. Sibinga, L. Grossman, and A. Saltzman, "Integrating mindfulness training into K-12 education: fostering the resilience of teachers and students," Mindfulness, Vol.3, No.4, pp.291-307, 2012. 

  28. C. Zenner, S. Herrnleben-Kurz, and H. Walach,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in schools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Frontiers in Psychology, Vol.5, p.603, 2014. 

  29. L. Flook, S. L. Smalley, M. J. Kitil, B. M. Galla, S. Kaiser-Greenland, J. Locke, E. Ishijima, and C. Kasari. "Effects of mindful awareness practices on executive function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Applied School Psychology, Vol.26, No.1, pp.70-95, 2010. 

  30. T. Mendelson, M. T. Greenberg, J. K. Dariotis, L. F. Gould, B. L. Rhoades, and P. J. Leaf, "Feasibility and preliminary outcomes of a school-based mindfulness intervention for urban youth,"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Vol.38, pp.985-994, 2010. 

  31. S. M. Metz, J. L. Frank, D. Reibel, T. Cantrell, R. Sanders, and P. C. Broderick, "The effectiveness of the learning to BREATHE program on adolescent emotion regulation," Research in Human Development, Vol.10, No.3, pp.252-272, 2013. 

  32. K. A. Schonert-Reichi, E. Oberle, M. S. Lawlor, D. Abbott, K. Thomson, T. F. Oberlander, and A. Diamond, "Enhancing cognitive and social-emotional development through a simple-to-administer mindfulness-based school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evelopmental Psychology, Vol.51, No.1, pp.52-66, 2015. 

  33. C. Rosaen and R. Benn, "The experience of transcendental medit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A qualitative report," The Journal of Science and Healing, Vol.2, No.5, pp.422-425, 2006. 

  34. P. C. Broderick and S. Metz, "Learning to BREATHE: A pilot trial of a mindfulness curriculum for adolescents," Advances in School Mental Health Promotion, Vol.2, pp.35-46, 2009. 

  35. S. L. Shapiro, K. W. Brown, and J. Astin, "Toward the integration of meditation into higher education: A review of research evidence," Teachers College Record, Vol.113, No.3, pp.493-528, 2011. 

  36. C. Hill, A. A. Herndon, and Z. Karpinska, "Contemplative practices: Educating for peace and tolerance," Teachers College Record, Vol.108, No.9, pp.1915-1935, 2006. 

  37. K. M. Kraemer, C. M. Luberto, E. M. O'Bryan, E. Mysinger, and S. Cotton, "Mind-body skills training to improve distress tolerance in medical students: a pilot study," Teaching and Learning in Medicine, Vol.28, No.2, pp.219-228, 2016. 

  38. L. Flook, S. B. Goldberg, L. Pinger, and R. J. Davidson, "Promoting prosocial behavior and self-regulatory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through a mindfulness-based kindness curricula," Developmental Psychology, Vol.51, No.1, pp.44-51, 2015. 

  39. A. Diamond and K. Lee, "Interventions shown to aid executive function development in children 4-12 years old," Science, Vol.333, No.6045, pp.959-964, 2011. 

  40. P. D. Zelazo and K. E. Lyons, "The potential benefits of mindfulness training in early childhood: A developmental social cognitive neuroscience perspective," Child Development Perspectives, Vol.6, No.2, pp.154-160, 2012. 

  41. 민희정, "명상 학습 경험과 명상 수행 경험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명상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pp.55-80, 2016. 

  42. 민희정, "유아교사의 명상 교육 실행 내용 및 교육적 의미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제20권, 제4호, pp.119-142, 2016. 

  43. 박미옥, 고진호, "마음 챙김의 교육적 적용에 관한 연구," 종교교육학연구, 제49권, pp.103-129, 2015. 

  44. 박부숙 이수경, "불교에 기초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단기출가 동자승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종교교육학연구, 제50권, pp.1-26, 201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