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신념모형에 기반한 효과적인 식품안전 정보제공 방안 연구
A Study on Effective Food Safety Communication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3 no.4, 2018년, pp.259 - 265  

최성희 (한국식품안전협회) ,  함태식 (한서대학교 항공식품전공) ,  이태연 (한서대학교 보건상담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정에서 가족의 식생활을 책임지고 있는 주부들은 식품안전과 관련된 정보에 매우 민감하여 주부들에게 어떤 정보를 제공했을 때 안심하고 식품을 구매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건강신념모형에서 건강행동을 촉진한다고 알려진 지각된 위협, 행동평가, 자기효능감 같은 요인들이 주부들의 실제 식품안전 인식과 행동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191명의 가정주부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건강신념모형의 주요변수인 지각된 이익과 지각된 장애, 자기효능감, 지각된 심각성과 지각된 개연성 그리고 식품안전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건강지향성과 지식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일반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대도시에 살수록 식품안전에 대한 위협을 더 많이 느끼고 안전한 식품을 구매하려는 경향이 더 높았다. 또한 연구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안전한 식품에 대한 지식이 더 많을수록 그리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상대적 이익이나 자기효능감도 높으며 그에 따라 안전한 식품을 구매하려는 경향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한편 건강신념모형에 근거한 식품안전 행동에 대한 개념모형을 구조방정식분석으로 검증한 결과 적합한 모형 적합도를 보였으며 구매행동에 지각된 위협보다 지식수준과 상대적 이익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주부가 안전한 식품을 구매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방송이나 신문 같은 공적 경로를 적극 활용하는 식품안전에 대한 정보의 지속적인 제공으로 지식수준을 높여주고 위해성 정보보다는 예방이 가능한 정보 제공으로 안전한 식품을 구매하려는 노력이 실제로 가정의 건강을 지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점을 홍보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Korean housewives are responsible for the dietary practices of family at home, it is important to know what information will make them to buy safe food.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role of perceived threats, behavioral assessments, and self-efficacy factors known to promote heal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품안전에 관한 정부의 홍보 전략은 식품안전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주부를 비롯한 공중에게 전달하면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그에 따라 식품안전 행동도 증가할 것이라는 논리에 근거하고 있으나 식품을 구매할 때 주부들은 정부가 제공하는 정보들을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결정하기보다 식품안전과 관련된 행동을 스스로 할 수 있다는 확신이나 그러한 행동을 하는 과정에서 직면하는 장애물이나 이익에 대한 주관적 판단 등이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6). 본 연구는 실제로 식품을 구매하는 주체인 주부를 대상으로 식품안전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 주부들이 안전한 식품을 구매하는지를 건강신념모형(Health Belief Model, HBM)에 의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렇게 건강신념모형으로 안전한 식품을 구매하는 주부의 특성을 규명할 수 있다면 식품구매의 주체인 주부에게 어떤 식품안전 메시지를 제공할 때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을지를 알 수 있고 그러한 정보는 효과적인 식품안전정책 마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1과 같은 개념모형을 제안할 수 있으며, 개념모형에서 지식수준과 건강지향성은 지각된 위협, 자기효능감, 행동평가에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위협, 자기효능감, 행동평가는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개념모형이 안전한 식품을 구매하는 주부의 행동을 설명하는데 얼마나 적합한지를 구조 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을 통해 식품안전과 관련 정보의 효과적인 홍보방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 건강을 위협하는 안전하지 않은 식품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이 증가함에 따라 국가나 민간에서 안전한 식품의 구매를 위한 다양한 정보가 제공되고 있지만 가정에서 주부 들이 안전한 식품을 구매하는데 이러한 정보를 얼마나 활용하는지는 아직 연구되지 못하였다. 이 연구는 건강행동을 촉진하기 위한 의사소통을 설명하기 위해 제안된 건강 신념모형을 바탕으로 주부들이 안전한 식품을 구매하도록 하는데 관여하는 변수들을 찾아내어 식품 안전과 관련된 홍보에 반영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관찰된 결과를 요약하고 그 결과의 의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신념모형이 개발된 배경은 무엇인가? 건강신념모형(HBM)은 1950년대 결핵퇴치를 위해 미국 공공건강 서비스로 제공된 검진 프로그램에 사람들이 왜참여하지 않는지를 설명하고 검진 프로그램 참여를 촉진 하기 위해 개발되었다7). 그 이후 골다공증, 고지혈증, HIV/ AIDS, 간염 등의 예방이나 유방암 자가 검진, 구강 건강 관리 등 질병의 조기 발견과 예방 행위에 대한 연구에 주로 이용되어 왔다8-13).
식품안전을 지키기 위해 정부에서 추진한 정책은 무엇인가? 안전한 식품에 대한 관심은 경제수준이 향상될수록 증가하므로 정부기관뿐 아니라 식품제조나 가공업자 그리고 유통업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민에게 안전한 식품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오고 있다. 정부도 식품안전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안전하지 않은 식품의 유통으로 인해 생길 수있는 사회적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2020년까지 모든 식품 가공업체들에게 HACCP 기준을 도입하도록 요구하는 등 식품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1). 그러나 이러한 국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2017년 한국소비자 원에서 접수된 식품으로 인한 민원건수는 10,313건으로 매 우 높으며 그 빈도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2).
건강신념모형에 따른 식품 구매행동에 영향을 주는 신념을 설명하라. 건강신념모형에 따르면 안전한 식품 구매행동은 두 가지 신념에 의해 예측될 수 있다. 첫째 신념은 지각된 위협(perceived threat)으로 식품첨가물이나 농약 등 안전하지 않은 식품으로 인해 건강이 위협받는 정도를 나타내며, 이는 지각된 심각성(perceived severity)과 지각된 개연성(perceived susceptibility)로 이루어져 있다. 지각된 심각성은 직면한 위협이 얼마나 심각한 것인지를 의미하고 지각된 개연성은 그러한 위협에 자신이 얼마나 노출되어 있는지를 나타낸다. 둘째 신념인 행동적 평가(behavior evaluation)는 안전한 식품을 구매하는 행동이 그 행동에 수반되는 결과에 대한 기대에 따라 달라지는 정도를 나타 내며 이는 지각된 이익(perceived benefits)과 지각된 장애 (perceived barriers)로 이루어져 있다. 지각된 이익은 자신이 안전한 식품을 구매할 때 직면한 위협을 얼마나 감소 시킬 것이라고 예상하는지를 나타내고, 지각된 장애는 그러한 구매행동을 실천할 때 장애물이나 부정적 결과들이 얼마나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하는지를 의미한다. 건강신 념모형에 따르면, 개인이 안전한 식품을 구매하는 행동은 농약 등 위험한 식품으로 인한 위협을 느낄수록 그리고 자신이 그러한 위험을 통제하려고 할 때 직면하게 되는 장애물이 적을수록 또한 안전한 식품을 구매하는 행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익이 클수록 안전한 식품을 구매하 려는 행동은 더 증가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Food Hygiene Act, Enforcement Rule Article 62 (2018.1.1). 

  2. Korea Consumer Agency Press Releases (2018. 3. 27). 

  3. Kim, H.C., Kim. M.R.: Consumers Recognition and Information Need About Food Safety - Focused on Pesticide Residues, Foodborne Illness, and Food Additives. J. Korean Soc. Food Cult., 16(4), 296-309 (2001). 

  4. Kim, H.J., Kim, M.L.: Consumers' Awareness and information-seeking behaviors towards food hygiene(2): Focused on Foodborne Illness. J. Korean Soc. Food Cult., 41(10), 117- 128 (2003). 

  5. Kim S.S.: A Study on Consumer's Attitude for Food Safety and Purchase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J. of Korea Home Economics Association. 25(6), 15-32 (2007). 

  6. Hahn D.W.: Critical Review of the Social Cognitive Theories on Health Behavior.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1), 21-45 (1997). 

  7. Hochbaum, G.: Why People Seek Diagnostic X-rays. Public Health Reports. 71, 377-380 (1956). 

  8. Kim M.H.: Health Belief Model Approach to Health Beliefs, Attitude, and Health Behaviors Concerning HIV/AIDS. J. of Health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14(2), 125-147 (1997). 

  9. Hanson, J.A. and Benedict, J.A.: Use of the health belief model to examine older adults' Food-Handling behaviors. J. of Nutrition Education & Behavior. 34(2), S25-26 (2002). 

  10. Zak-Place, J. and Stern, M.: Health belief factors and dispositional optimism as Predictors of STD and HIV Preventive Behavior. J. of American College Health. 52(5), 229-236 (2004). 

  11. Norman, P. and Brain, K.: An application of an extended health belief model to the prediction of breast self-examination among women with a family history of breast cancer. British J. of Health Psychology. 10(1), 1-16 (2005). 

  12. Shin S.J., Shin K.R., Yi H.R., Ju S.K.: Knowledge, Health Belief, and Self-efficacy Related to Osteoporosis, J.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5), 850-857 (2005). 

  13. Chang B.J.: Study on Relation between Dental Health Beliefs and Dental Health Behavior in the Hig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J. of Dental Hygiene. 8(3), 163- 168 (2008). 

  14. Yoo S.J., Jeong H.J., Park H.S.: The 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for H1N1 Virus Vaccination and the Impact of Negative News Reports The Comparison between HBM and TPB The Korean. J.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12(3), 283-319 (2010). 

  15. Lin, P., Simoni, J., Zemon, V.: The health belief model, sexual behaviors, and HIV risk among Taiwanese immigrants. AIDS. Education and Prevention. 17, 469-483 (2005). 

  16. Jo S.E., Shin H.C., Yoo S.W., Roh H.S. : The Study of Factors Affecting Tuberculosis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s - An Extension of HBM with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Fear. J. of Public Relations. 16(1), 148-177 (2012). 

  17. Chen, M. and Land, K.C.: Testing the Health Belief Model : LISREL analysis of alternative models of casual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belief and preventive dental behavior. Social Psychology Quarterly. 49, 45-60 (1986). 

  18. Cho Y.S., Hwang Y.J., Bae H.S., Kim S.Y. : Effect of Oral Health Education Practice and Self-efficacy of Teacher on Oral Health Attitude. J. of Dental Hygiene Science. 9(1), 99- 108 (2009). 

  19. Bentler, P.M. and Chou, C.: Practical issues in structural modeling. Sociological Methods and Research. 16, 78-117 (1987). 

  20. Lee Y.J. A Study of effect of health belief on health information processing and health behavior intention. Hanyang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2013.2). 

  21. Champion, V.L. and Skinner, C.S.: The health belief model,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In K. Glanz, B. K. Rimer & K. Viswanath (Ed.),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pp. 44-65). San Francisco, CA: John Wiley & Sons, Inc. (2008). 

  22. Allen, I.E. and Seaman, J.: Online Nation: Five Years of Growth in Online Learning, Needham, MA: Sloan Consortium.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