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율자동차 수용성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 구조방정식 모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cceptance Factor Analysis of Autonomous Vehicles : Focused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19 no.1, 2020년, pp.17 - 31  

성기영 (한국교통대학교 건설환경도시교통공학부) ,  오주택 (한국교통대학교 건설환경도시교통공학부) ,  김현 (한국교통대학교 교통ICT융합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자율주행자동차의 수용성에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정서에 맞는 수용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해서 자율주행자동차 수용성에 대한 기존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였고 PLS-구조방정식 모형을 중심으로 요인분석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델에 의한 기술적인 안전성 연구에 중점을 두었다면,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자율주행자동차 수용성에 대하여 새로운 시각으로 안전성 뿐만 아니라 편의성, 경제성, 환경성, 윤리성 요인등을 동시에 종합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자율주행자동차의 수용성에 미치는 잠재요인은 안전성, 경제성, 편의성, 환경성 순으로 중요도가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acceptability for autonomous vehicles. The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to sturdy the acceptance factors and The PLS Struct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acceptance factors. While the existing research focused 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더나아가 자율주행자동차가 상용화되면 기존 운전면허를 가지고있는 일반자동차를 주행하는사람과 자율주행자동차 사이에서 발생되는 생각의 차이도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와 비운전자 모두 포함시켜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자율주행자동차가 대중들에게 보급이 되기 전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자율주행자동차 수용요인들에 대하여 기존 선행 연구에서 미비하거나 새로 추가되어야 할 요인과 우리나라 정서에 맞는 수용 요인들을 분석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측면에서 자율 주행자동차의 수용성에 대한 연구들과 차별성을 두고 있다.
  • 특히 Kim(2016)은 윤리성 측면을 고려한 수용성에 대한 설문을 하였으나 자율주행자동차 수용에 관한 인식조사 설명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할 필요가 있는 것을 결론으로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율주행자동차의 수용성에 대한 다양한 요인들을 찾아내고, 이 요인들을 통해 수용성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 안전성과 편의성 잠재요인은 기존 선행연구를 통해 검증된 요인으로 본 연구에서 포함하여 반영하였고,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하기 앞서,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사용한 이유는 잠재요인과 외생변수 사이의 관계성을 분석하기 위해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적용하였고, 앞서 분석된 텍스트마이닝 Keyword분석을 통하여 윤리성, 환경성, 경제성 잠재요인과 외생변수를 설명할 수 있는 관계를 반영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자율주행자동차의 수용성에 대한 요인 연구를 위해서 자율주행자동차에 관심이 있는 대상자 및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하여 실증 분석을 수행 하였다. 잠재요인과 외생변수 도출과 수용성 연구에 대한 연구 방법론은 기존 선행연구 문헌분석, 통계조사를 참고하여 자율주행자동차와 관련된 키워드 분석을 통해 검토하여 외생변수로 정의될수 있는 요인들을 도출 하였다.
  • 우선 기존 수용성 연구는 기술수용모델에 의한 기술적인 안전성 요인에 대한 연구에 중점을 두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미비하거나 새로 추가되어야 할 요인들 중 경제성, 환경성, 윤리성, 편의성 등의 요인들을 동시에 고려하여 연구를 수행 하였다. 물론 안전성 중심으로 수용성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는 기존 연구들의 논지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만 본 연구에서는 기존연구보다 더 많은 잠재요인들을 찾아내고 이를통해 자율주행자동차를 사용자 입장에서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분석 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자율주행자동차는 선진국이 미래의 새로운 자동차 산업에 집중 관심을 받고 있는 분야로 제조사 및 관련 연구분야 개발뿐만 아니라 미래의 자율주행자동차가 대중들에게 보급이 되기 전에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수용요인이 자율주행자동차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자율 주행자동차의 수용성에 대한 다양한 설명변수를 선행 연구에서 미비하거나 새로 추가되어야 할 잠재요인을 찾는 것을 중심으로 본 연구를 수행 하였고, 자율주행자동차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조화하여 모델분석 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율주행자동차를 사용자 입장에서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모형을 통해 자율주행자동차의 수용성에 영향을 주는 잠재요인을 살펴보면, 안전성, 경제성, 편의성, 환경성 요인들 중 안전성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임 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자율주행자동차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R프로그램을 이용한 텍스트마이닝방법과 PLS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모형을 개발하고 모혈결과에 대한 논의를 수행 하였다. 안전성과 편의성 잠재요인은 기존 선행연구를 통해 검증된 요인으로 본 연구에서 포함하여 반영하였고,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하기 앞서,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사용한 이유는 잠재요인과 외생변수 사이의 관계성을 분석하기 위해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적용하였고, 앞서 분석된 텍스트마이닝 Keyword분석을 통하여 윤리성, 환경성, 경제성 잠재요인과 외생변수를 설명할 수 있는 관계를 반영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율주행 기술에 대한 관심은 어떻게 되는가? 또한, 기술적인 정의로 인지,제어,판단과 관련된 미국의 SAE단계에 따라 Lvel0~Level단계로 구분되어 진다.(Lee, 2017) 여기서, 자율주행 기술은 1990년대 인공지능(AI : Artificial Intelligence)의 발전이 급진전 되면서 연구가 본격화 되었으며, 2009년부터 구글, 벤츠 등의 차량제조사, IT기업들이 자율주행차 시범주행을 시작하면서 국내·외적인 관심과 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자율주행자동차는 구글 자율주행자동차, 자율주행 우버택시, 서울대 스누비, 한국교통대학교 아이브(ive) 등의 브랜드로 현실화되고 있다.
자율주행자동차는 무엇인가? 자율주행자동차란 자동차 관리법 제2조 제1의 3호에서 ‘운전자 또는 승객의 조작 없이 스스로 운행이 가능한 자동차’ 로 정의 하고 있다. 또한, 기술적인 정의로 인지,제어,판단과 관련된 미국의 SAE단계에 따라 Lvel0~Level단계로 구분되어 진다.
KAIA에서 주장하는 자율주행자동차 도입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논거는 무엇인가? (KAIA, 2016) 최근에 자율주행자동차 도입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논거는 두 가지로 설명되어 진다. 하나는 교통약자들에게 교통접근성을 보장해 주는 것이다. 몸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노약자를 포함하여 교통약자들에게 이동권을 보장해줄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관점은 안전성에 대한 이야기이다. 최근 통계에 따르면, 운전자의 실수로 발생되는 자동차사고 인명피해와 재산상의 손실은 전 세계에서 매년 126만 명이 교통사고로 사망한다는 통계가 보고되었으며, 또한 자동차 사고관련 운전자 안전의무 불의행에 의한 사고는 전체 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dell E.(2009), Driver Experience and Acceptance of Driver Support Systems: A Case of Speed Adaptation, Ph.D Thesis, Lund University. 

  2. Casley S. J., Jardim A. S. and Quartulli A. M.(2013), A Study of Public Acceptance ofAutonomous Cars, Worcester Polytechnic Institute, pp.56-71. 

  3. Choi J.(2015), "Autonomous Driving Service Technology Trend and Control System," Journal of the Instutue of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s Engineer, pp.21-35. 

  4. Fornell C. and Larcker D. F.(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18, no. 1, pp.39-50. 

  5. Gefen D. and Straub D. W.(2005), "A Practical Guide to Factorial Validity Using PLS-Graph: Tutorial and Annotated Example," Communications of the AIS, vol. 16, no. 1, pp.91-109. 

  6. Hair J. F., Ringle C. M. and Sarstedt M.(2011), "PLS-SEM: Indeed a Silver Bullet," Journal of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vol. 19, no. 2, pp.139-152. 

  7. Jo J.(2017), Key Factors in Adopting Autonomous Vehicles, Master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8. Kaan J.(2017), User Acceptance of Autonomous Vehicles: Factors and Implications, Master Thesis, 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 

  9. KAIA(2016), Development of autonomous vehicle safety assessment technology and establishment of actual road evaluation environment, Korea Agency for Infrastructure Technology Advancement, pp.5-7. 

  10. Kim C.(2017),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to Use New Technology, Ph.D Thesis, Yeungnam University. 

  11. Kim K., Mun Y., Jo S. and Lee J.(2016), Basic Research on Ethics and Driver Acceptance of Autonomous Vehicles,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pp.218-221. 

  12. Lee H.(2017), "Characteristics and Policy Trends of Autonomous Vehicle Technology Development," Convergence Research Policy Center, vol. 92, p.3. 

  13. Oh J.(2018), "Analysis of Bicycle Accident Factors Using PLS-SEM,"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vol. 17, pp.26-40. 

  14. Seo H.(2017), A Study on the Usage Intention of Autonomous Vehicles-Focused on Network Externality and Financial Consideration, Ph.D Thesis, Soongsil University. 

  15. Sung K.(2019), Analysis of Acceptance Factors of Autonomous Vehicles Using PLS-SE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16. Venkatesh V., Morris M. G. and Davis F. D.(2003),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 MIS Quarterly, vol. 27, no. 3, pp.425-478. 

  17. Yoon C. and Kim S.(2014), "A Tutorial on PLS Structural Equating Modeling using R: (Centering on) Exemplified Research Model and Data," Information Systems Review, vol. 16, no. 3, pp.102-105. 

  18. Zmud S. W.(2016), Consumer Acceptance and Travel Behavior Impacts of Automated Vehicles, Texas A&M, Transportation Institute, pp.15-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