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gCl 침전 전후 전기전도도 변화를 이용한 염해지 포화침출액의 염소 이온 신속 정량
A rapid determination of chloride in saturated paste extracts of salt-affected soils using EC change upon AgCl precipit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60 no.3, 2017년, pp.279 - 282  

이예훈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Biological Chemistr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김지윤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Biological Chemistr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이정수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Biological Chemistr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Biological Chemistr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박지원 (Technel Co., Ltd) ,  한광현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Biological Chemistr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염해토양에서 염소이온은 작물에 대한 독성이 가장 큰 음이온이다. 일반적으로, 이온 크로마토그래피와 전위차 적정법 등 정밀한 기기분석이 염소이온 분석에 이용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간단한 EC 메터를 이용해 신속히 그리고 비교적 정밀하게 염해지 염소이온이 정량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Cl^-$이 AgCl로 침전될 때 수반되는 전기전도도 변화도(dEC)는 염소이온 농도와 매우 직선적인 비례 관계가 있었으며, 감도, 검량 구간, 정량한계, 정밀도 및 분석 적응성 모두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이 Ag-dEC법으로 분석된 전남 고흥군 간척지 일원 토양침출액의 염소이온 농도는 이온 크로마토그래피의 분석결과와 매우 잘 일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loride is known as the most important anion in salt-affected soils. We observed the degree of EC change upon AgCl precipitation was quantitatively related with the chloride concentration. Method validation and intercomparison with ion chromatography revealed the proposed method can provide rapi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Ag-dEC 방법의 (1) 검출한계, 정량한계, 정밀도 및 감도가 염해토양의 Cl 정량 목적에 부합할 수 있는지 조사하였으며, (2) 전남 고흥 간척지에서 채취된 토양의 포화침출액 대해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된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이 새로운 방법의 염해지 염도 분포 및 모니터링에 대한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직 내 높은 Cl− 농도가 야기하는 문제점은? Na+가 작물생육 저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양이온이라면(Wong 등, 2010), Cl−는 염해지 식물독성에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 음이온으로 알려져 있다(Xu 등, 1999). Cl−는 식물의 광합성, 전하 균형 및 삼투압 조절에 필수이지만(White와 Broadley 2001), 조직 내 높은 Cl− 농도는 엽록소 파괴, 세포막 손상, 효소 활성 저해 등의 독성을 유발한다(Tavakkoli 등, 2010).
Cl−의 정량을 위한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는 비교적 좁은 농도 구간에서 적용이 가능한데, 이로 인한 단점은? 아울러,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는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감도와 정밀도를 제공하지만 비교적 좁은 농도 구간(일반적으로 100 ppm 이하)에서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Cl− 농도가 수천 ppm을 상회할 수 있는 염해토양 추출액의 경우(Jung과 Yoo 2007), 과도한 희석 및 시행착오를 통한 희석비 결정이 추가적으로 단점이 된다. 한편, 최근 저자들은 기존 방법들과 달리, 용액 중 Cl−가 Ag+와 결합하여 침전될 때 수반되는 전기전도도 변화를 EC 전극으로 간단히 측정함으로써 Cl−의 정량이 가능함을 처음으로 보고한 바 있다(Boo 등, 2015).
우리나라에서 염해토양 분포는? 염해토양은 주로 건조 혹은 반건조대에 분포할 것으로 여겨지나, 남극을 제외한 모든 기후대와 100개 국 이상에 걸쳐 발견된다(Rengasamy 2010). 한국에서 염해토양은 과다시비된 시설재배지와 바다를 매립해 조성된 간척지를 위주로 분포하고 있다(Lee 등, 2010; Lee 등, 2012). 이러한 염류집적지의 염도 변화 모니터링은 비교적 세밀한 조제 과정을 거쳐 얻어지는 포화침출액(saturated paste extract)에 대해 EC 및 구성 양이온 혹은 음이온들을 분석하는 방법이 표준으로 사용된다(Rhoades 1996; Herrero 등,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oo H, Park J, Han GH (2015) Simple determination of chloride in soil solutions by AgCl precipitation. J Agr Sci Chungbuk Nat'l Univ 31(2): 183-188 

  2. Frankenberger WT, Tabatabai MA, Adriano DC, Doner HE (1996) Bromine, chlorine, fluorine. In: Sparks DL (ed)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3-Chemical Method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Madison 

  3. Harris D (2007) Statistics. Quantitative chemical analysis, 7th edn. W. H. Freeman, New York 

  4. Harris D (2010) Chemical equilibrium. Quantitative chemical analysis, 8th edn. W. H. Freeman, New York 

  5. Herrero J, Weindorf DC, Castaneda C (2015) Two fixed ratio dilutions for soil salinity monitoring in hypersaline wetlands. PLoS ONE. doi:10.1371/journal.pone.0126493 

  6. Jung YS, Yoo CH (2007) Soil problems and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of the reclaimed land in Korea. Korean J Soil Sci Fert 40(4): 330-348 

  7. Kim YJ, Ryu JH, Lee SH, Oh YY, Kim S, Jung J, Hong HC, Kim YD, Kim SL (2016) Spatio-tempor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soil salinity in Saemangeum Gyehwa newly reclaimed land. J Korean Soc Int Agric 28(1): 113-117 

  8. Lee YJ, Lee JS, Yang JE (2010) The comparison of electrical conductivity for soil solutions extracted in field capacity and saturation-paste. Korean J Soil Sci Fert 43(6): 776-781 

  9. Lee YJ, Yun HB, Kim RY, Lee JS, Song YS, Sung JK, Yang JE (2012) Determination of exchangeable cations in soils affected by different types of salt accumulation. Korean J Soil Sci Fert 45(2): 135-142 

  10. Leland E, Eugene V (1999) Crop response and management of salt-affected soils. In: Pessarakli M (ed) Handbook of plant and crop stress, 2nd edn. CRC Press, Boca Raton 

  11. MOE (2017) Official methods for the water qualities. Ministry of Environment Official Announcement 2017-4, Sejong 

  12. NIAST (2000) Methods of analysis of soil and plant.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Suwon 

  13. Rengasamy P (2006) World salinization with emphasis on Australia. J Exp Bot 57(5): 1017-1023 

  14. Rengasamy P (2010) Soil processes affecting crop production in salt-affected soils. Funct Plant Biol 37: 613-620 

  15. Rhoades JD (1996) Salinity: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otal dissolved solids. In: Sparks DL (ed)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3-Chemical Method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Madison 

  16. Tabatabai MA, Frankenberger WT (1996) Liquid chromatography. In: Sparks DL (ed)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3-Chemical Method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Madison 

  17. Tavakkoli E, Rengasamy P, Mcdonald GK (2010) High concentrations of $Na^+$ and $Cl^-$ ions in soil solution have simultaneous detrimental effects on growth of faba bean under salinity stress. J Exp Bot 61(15): 4449-4459 

  18. White PJ, Broadley MR (2001) Chloride in soils and its uptake and movement within the plant: a review. Ann Bot-london 88: 967-988 

  19. Wong VN, Greene RSB, Dalal RC, Murphy BW (2010) Soil carbon dynamics in saline and sodic soils: a review. Soil Use Manage 26: 2-11 

  20. Xu G, Magen H, Tarchitzky J, Kafkafi U (1999) Advances in chloride nutrition of plants. Adv Agron 68: 97-150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