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초균 발효누에 추출물이 비알코올성 지방간 유발 흰쥐에 미치는 간 기능 개선 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 of Bacillus subtilis-fermented Silkworm (Bombyx mori L.) Extract on Non-alcoholic Fatty Liver in Rat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7 no.9 = no.209, 2017년, pp.1031 - 1039  

김태훈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  안희영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  김영완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  심소연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  조현동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만도 ((주)지에스피) ,  이유정 ((주)지에스피) ,  조영수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누에 분말에 단백질 분해력이 뛰어난 Bacillus subtilis KACC 91157 균주를 이용하여 Orotic acid-유발 지방간의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발효누에 추출물을 식이에 5%, 10% 수준으로 각각 첨가하였다. 발효누에 추출물은 orotic acid 지방간 유발 흰쥐의 간 기능 생화학적 지표로 이용되는 AST, ALT, ALPLDH 활성을 감소시켜주고, 혈청 지질농도를 정상 수준으로 회복시켜주어 지방간 개선에 도움을 주었다. 또한 지방간 유발로 저하된 glutathione 농도를 증가시켜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간 조직의 병리학적 관찰 결과 SP10 투여군과 BSP5 투여군에 비해 BSP10 투여군에서 간 소엽을 구성하는 간 세포들이 전반적으로 균일하게 배열되어 정상군의 간 소견과 비슷한 양상을 보여 지방간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결과 보아 고초균 발효누에 추출물은 지방간 개선효과를 가지는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effects of extracts from silkworm Bombyx mori L. fermented with Bacillus subtilis KACC 91157 at levels of 5%(v/w) and 10%(v/w) in Sprague-Dawley rats intoxicated with 1%(w/w) orotic acid (OA) for 10 days. The rats were divided into a normal gr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적발효조건이 확립된 Bacillus subtilis 균주를 이용하여 누에 발효 분말 추출물을 제조하고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유도된 흰쥐에게 급여하여 농도 별 지방간 개선효과를 검토하였으며, 비알코올성 지방간증 예방치료를 위한 소재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7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새로운 식품원료로 지정된 곤충은? 국내에서도 기존의 식품공전에 등재된 벼메뚜기(Oxya chinensis sinuosa), 누에(Bombyx mori L.) 번데기, 백강잠(Bombysis corpus),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유충,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유충, 장수풍뎅이(Allomyrina dichotoma) 유충, 쌍별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 외에 2017 년에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새로운 식품원료로 굼벵이가 등록되어 총 8 종의 곤충이 식품원료로써 이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누에 (Bombyx mori L.
지방간질환이 심해지면 어떤 질병으로까지 진행될 수 있는가? 최근 식생활의 서구화 및 운동부족으로 인해 국내 비만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당뇨와 비만 성인의 60~80%에서 소견을 보이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에 대한 유병율 또한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7]. 심할 경우에는 간암으로까지 진행될 수 있는 지방간 질환의 완화와 간경변으로의 진행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운동과 식이요법이 보조 되어야하며 지방간을 감소시키는 의약품이나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에 대한 연구도 요구되는 실정이다.
누에란? 누에 (Bombyx mori L.)는 누에나방과에 속하는 유충으로 과거에는 잠사 산업에 주로 이용되어 왔지만 국내 기능성 식품 시장 및 생명과학 기술의 발달로 인해 화장품, 식품, 의료용 소재 등으로도 취급되고 있다 [15]. 누에는 단백질, 유리 아미노산, 단일불포화지방산 혹은 다가불포화지방산, 미네랄, 섬유질 및 deoxynojirimycin 등이 풍부하여 높은 영양학적 가치를 갖는 것으로 평가되며[19, 27], 이에 따른 혈청 중 활성산소 억제효능[7], 혈당강하 효능[29], 간 독성 예방[28], 고지혈증 개선[18], 운동능력 향상[32] 등의 연구가 보고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hn, H. Y., Cha, J. Y., Park, K. R., Kim, Y. R. and Cho, Y. S. 2013. Improvement effect of fermented silkworm (Bombyx mori L) powder against orotic acid-induced fatty liver rats. J. Life. Sci. 23, 789-795. 

  2. Arog, C. K. and Caldwell, S. H. 2009. Epidemiology and natural history of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Clin. Liver Dis. 13, 511-531. 

  3. Baldi, E., Burra, P., Plebani, M. and Salvagnini, M. 1993. Serum malondialdehyde and mitochondrial aspartate aminotransferase activity as markers of chronic alcohol intake and alcoholic liver disease. Ital. J. Gastroenterol. 25, 429-432. 

  4. Beutler, E., Duron, O. and Kelly, B. M. 1963. Improved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blood glutathione. J. Lab Clin. Med. 61, 882-888. 

  5. Cha, J. Y., Kim, Y. S., Ahn, H. Y., Eom, K. E., Park, B. K. and Cho, Y. S. 2009. Biological activity of fermented silkworm powder. J. Life. Sci. 19, 1468-1477. 

  6. Cha, J. Y., Kim, Y. S., Ahn, H. Y., Kang, M. J., Heo, S. J. and Cho, Y. S. 2011. Biological activity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silkworm (Bombyx mori L.) powder fermented with Bacillus subtilis and Aspergillus kawachii. J. Life Sci. 21, 81-88. 

  7. Cha, J. Y., Kim, Y. S., Kang, P. D., Ahn, H. Y., Eom, K. E. and Cho, Y. S. 2010. Biological activity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silkworm powder by mold. J. Life. Sci. 20, 237-244. 

  8. Cha, J. Y., Maeda, Y., Oogami, K., Yamamoto, K. and Yanagita, T. 1998. Association between hepatic triacylglycerol accumulation induced by administering orotic acid and enhanced phospatidate phosphohydrase activity in rats. Biosci. Biotechnol. Biochem. 62, 508-513. 

  9. Cha, J. Y., Jun, B. S. and Cho, Y. S. 2004. Prevention of orotic acid-induced fatty liver in rats by capsaicin. Food Sci. Biotechnol. 13, 597-602. 

  10. Cha, J. Y., Kim, H. S., Kang, S. C. and Cho, Y. S. 2009. Alcoholic hepatotoxicity suppression in alcohol fed rats by glutathione-enriched yeast FF-8 strain. Food Sci. Biotechnol. 18, 1411-1416. 

  11. Cha, J. Y., Heo, J. S. and Cho, Y. S. 2008. Effect of zinc-enriched yeast FF-10 strain on the alcoholic hepatotoxicity in alcohol feeding rats. Food Sci. Biotechnol. 17, 1207-1213. 

  12. Cha, J. Y., Cho, Y. S., Kim, I., Anno, T., Rahman, S. M. and Yanagita, T. 2001. Effect of hesperetin, a citrus flavonoid, on the liver triacylglycerol content and phosphatidate phosphohydrolase activity in orotic acid-fed rats. Plant Foods Human Nutr. 56, 349-358. 

  13. Chalasani, N., Younossi, Z., Lavine, J. E., Diehl, A. M., Brunt, E. M., Charlton, M. and Sanyal, A. J. 2012.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practice guideline by the American Gastroenterological Association,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Liver Disease, and American College of Gastroenterology. Gastroenterology 142, 1592-1609. 

  14. Duncan, D. B. 1957. Multiple range test for correlated and heteroscedastic means. Biometrics 13, 164-176. 

  15. Hwang, E. H., Kang, B. G., Kim, B. R. and Lee, H. J. 2001. Protein quality evaluation and effect of plasma lipid contents of acid hydrolysates of cocoon in rats fed by high cholesterol, high triglyceride and high sucrose diet. J. Kor. Soc Food Sci. Nutr. 30, 1004-1009. 

  16. Lee, J. H., Kim, N. K., Lee, D. Y. and Lee, C. H. 1999. Protective effect of selected aminio acids and food extracts on ethanoltoxicity determent in rat liver. Kor. J. Food Sci. Technol. 31, 802-808. 

  17. Jeong, E. H., Jun, D. W., Cho, Y. K., Choe, Y. G., Rye, S. H. Lee, S. M. and Jang, E. C. 2013. Regional prevalence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Seoul and Gyeonggi-do. Korea Clin. Mol. Hepatol. 19, 266-272. 

  18. Kang, P. D., Kim, J. W., Jung, I. Y., Kim, K. Y., Kang, S. W., Kim, M. J. and Ryu, K. S. 2006. Study on the unsaturated fatty acids in the pupae of silkworm, Bombyx mori. Kor. J. Seric. Sci. 48, 21-24. 

  19. Kang, P. D., Kim, J. W., Sohn, B. H., Kim, K. Y., Jung, I. Y., Kim, M. J. and Ryu, K. S. 2000. Accumulating pattern of ${\alpha}$ -glycosidase inhibitor in various silkworm varities. Kor. J. Seric. Sci. 48, 25-27. 

  20. Kim, N. H. 2013. The analysis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study for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tervention types and measurement parameters. J. Kor. Biol. Nurs. Sci. 15, 43-53. 

  21. Lee, S. H., Park, D. S., Yang, G. E., Bae, D. K., Yang, Y. H., Kim, T. K., Kim, D. J., Kyung, J. B., Yeon, S. H., Koo, K. C., Lee, J. Y., Hwang, S. Y., Joo, S. S. and Kim, Y. B. 2012. Silk and silkworm pupa peptides suppress adipogenesis in preadipocytes and fat accumulation in rats fed a high-fat diet. Eur. J. Nutr. 51, 1011-1019. 

  22. Li, Y. G., Ji, D. F., Chen, S. and Hu, G. Y. 2008. Protective effects of sericin protein on alcohol-mediated liver damage in mice. Alcohol Alcohol. 43, 246-253. 

  23. Yin, M., Ikejima, K., Arteel, G. E., Seabra, V., Bradford, B. U., Kono, H. and Rusyn, I. and Thurman, R. G. 1998. Glycine accelerates recovery from alcohol-induced liver injury. J. Pharacol. Exp. Ther. 286, 1014-1019. 

  24. Matteoni, C. A., Younossi, Z. M., Gramlich, T., Boparai, N., Liu, Y. C. and McCullough, A. J. 1999.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a spectrum of clinical and pathological severity. Gastroenterology 116, 1413-1419. 

  25. Park, Y. M., Lim, J. H., Lee, J. E. and Seo, E. W. 2015. Protective effect of semisulcospira libertine extract on induced hepatitis in rats. J. Life Sci. 25, 539-547. 

  26. Pottenger, L. A. and Getz, G. S. 1971. Serum lipoprotein accumulation in the livers of orotic acid fed rats. J. Lipid Res. 12, 450. 

  27. Rumpold, B. A. and Schluter, O. K. 2013. Nutritional composition and safety aspects of edible insects. Mol. Nutr. Food Res. 57, 802-803. 

  28. Ryu, K. S., Lee H. S and Kim, S. Y. 1999. Effects of Bombyx mori larvae extracts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otoxicity in mice. J. Life. Sci. 9, 375-381. 

  29. Ryu, K. S., Lee, H. S., Chung, S. H. and Kang, P. D. 1997. An activity of lowering blood-glucose levels according to preparative condition of silkworm powder. Kor J. Seric. Sci. 39, 79-85. 

  30. Sumi, H., Hamada, H., Tsushima, H., Mihara, H. and Muraki, H. 1978. A novel fibrinolytic enzyme (Nattokinase) in the vegetable cheese Natto:a typical and popular soybean food in the Japanese diet. Experimentia 43, 1110-1111. 

  31. Tsukahara, M., Shinzato, N., Tamaki, Y., Namihira, T. and Matsui, T. 2009. Red yeast rice fermentation by selected Monascus sp. With deep-red color, lovastatin production but no citrinin, and effect of temperature-shift cultivation on lovastatin production. Appl. Biochem. Biotechnol. 158, 476-482. 

  32. Yang, S. J., Kim, C. Y., Lee, J. B., Kang, S. S. and Lee, J. J. 2013. The effects of the mulberry and silkworm intake on androgen receptor mRNA and myogenic regulatory factors expression of rats muscle for resistance exercise. J. Seric. Entomol. Sci. 51, 99-106. 

  33. Yoon, J. W., Lee, S. G. and Lee, K. B. 2005. Effects of silkworm extract powder on plasma lipids and glucose in rat. Kor. J. Food Nurt. 18, 140-1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