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accharomyces cerevisiae M1 (KACC 93023)으로 발효한 갈색 거저리 유충이 비 알코올성 지방간 유발 흰 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nebrio molitor Larvae Fermented with Saccharomyces cerevisiae M1 (KACC 93023) on Non-alcoholic Fatty Liver-induced Rat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30 no.5, 2020년, pp.434 - 442  

심소연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  장성호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  조영수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  안희영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밀웜으로 잘 알려진 갈색거저리 유충(Tenebrio molitor larvae)분말을 Saccharomyces cerevisiae M1(KACC 93023)으로 발효하였다. 그 후 발효물을 orotic acid에 의해 비 알코올성 지방간이 유발된 흰쥐에 급여하여 개선 여부를 판단해보았다. Orotic acid로 인해 지질 대사에 이상이 생긴 대조군의 경우 장기 무게 및 체중이 증가한 것에 반해 발효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을 급여한 군에서는 정상군과 흡사한 중량을 나타냈다. 그리고 간 건강의 지표로 알려진 AST, ALT, ALPLDH 활성 역시 가장 낮았으며, 각종 지질 관련 지표들도 긍정적으로 나타나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간 조직 및 혈청 내 과산화지질, glutathione 함량 역시 정상군과 흡사하거나 더 뛰어난 수치를 띄었다. 마지막으로 H&E 염색, Oil red O 염색을 통한 간 조직의 형태학적 관찰 결과, 발효 갈색거저리를 급여한 군에서 정상군과 흡사한 간세포의 형태 및 배열과 함께 염색된 지방이 눈에 띄게 감소된 모습을 나타내었다. 위 결과를 종합해본다면, 일반 갈색거저리를 급여하였을 때 일부 실험에서 수치가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효모로 발효시켰을 경우 대부분의 지표에서 정상치에 가까울 만큼 더욱 긍정적인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발효물이 비 알코올성 지방간의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 향후 다양한 제품의 소재로 활용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enebrio molitor (brown mealworm) larvae powder was fermented with Saccharomyces cerevisiae M1 (KACC 93023). The fermented and non-fermented powders were subsequently administered to rats with induce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to compare the degree of improvement. The rats exh...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후 다양한 지표분석을 통해 발효 갈색거저리 유충이 비 알코올성 지방간의 개선 효과를 가지는 식·약품의 소재로써 활용가치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갈색거저리 유충이란? 갈색거저리 유충(Tenebrio molitor larvae)은 식용 소재로 연구 중인 곤충들 중 하나로 전 세계에 분포하며, 한국에도 이미 대량생산 농가가 존재할 정도로 대중적이다. 또한 단백질 등 영양적 가치가 높아 식품 소재로써 활용될 가치가 충분하다 [25].
비 알코올성 지방간의 발병원인은? 비 알코올성 지방간은 음주력이 거의 없으나 지방간과 조직학적으로 염증소견을 보이는 경우[15]를 말하며 발병원인은 고지방식품 섭취, 인슐린 저항성에 의해 유리지방산 합성 증가, VLDL의 중성지방 분비 감소에 의한 지방축적 등이 꼽힌다[13]. 지방간이 지방간염으로 악화되게 되면 간경변증, 간암으로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다수이며, 간경변증까지 진행될 경우 회복이 불가하기 때문에 가능한 빠른 시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22].
곤충이 식량 관련 문제의 해결책으로 각광받고 있는 이유는? 2000년대로 접어들면서, 전 세계는 각종 환경문제에 의해 유발된 식량 관련 문제에 직면하였다. 또한 인구의 폭발적인 증가까지 겹치게 되면서 그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14]. 그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는 곤충은 일반적으로 단백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미네랄 및 불포화 지방산 역시 상당량 존재하며, 이에 초점을 맞춘 식·약용 소재화 관련 연구들이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O.A.C. 197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2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 Baltazar, G. Jr., Shiva, A., Julia, J., Dean, J., Mary, J. C., George, Y. D. and Viola, T. K. 1995. Monoclonal antibody assay for measuring bone-specific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in serum. Clin. Chem. 41, 1560-1566. 

  3. Beutler, E., Duron, O. and Kelly, B. M. 1963. Improved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blood glutathione. J. Clin. Lab. Med. 61, 882-888. 

  4. Chae, K. S., Jung, J. H., Yoon, H. H. and Son, R. H. 2014. Antioxidant activity and main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mulberry wine fermented with Saccharomyces cerevisiae B-8. J. Kor. Soc. Food Sci. Nutr. 43, 1017-1024. 

  5. Cheol, U. B. 2001. The effect of long - term regular running aerobic exercise on the activation of antioxidation enzymes and lipid peroxidation. Int. J. Healthc. Med. Sci. 40, 829-839. 

  6. Cho, S. Y., Kim, M. J. and Lee, M. K. 1994. The effect of zinc levels on free radical generating system in cadmium treated rats. Prev. Nutr. Food Sci. 23, 725-730. 

  7. Dimitrios, T. 2017. Assessment of lipid peroxidation by measuring malondialdehyde (MDA) and relatives in biological samples: Analytical and biological challenges. Anal. Biochem. 524, 13-30. 

  8. Duncan, D. B. 1959.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 Biometrics 1, 1-42. 

  9. Hebbachi, A. M., Seelaender, M. C., Baker, B. W. and Gibbons, G. F. 1997. Decreased secretion of very-low-density lipoprotein triglyceride and apolipoprotein B is associated with decreased intercellular triacylglycerol lipolysis in hepatocytes derived from rats fed orotic acid or n-3 fatty acids. Biochem. J. 325, 711-719. 

  10. Hye, J. Y., Yong, H. L. and Bong, S. C. 2014. Causal relationship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with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Kor. Diabetes J. 15, 76-81. 

  11. In, C. S. and Hyun, C. K. 1995. Effects of Biphenyldimethyl Dicarboxylate ( DDB ) on the lipid peroxidation and oxygen free radical scavenging enzyme activities in mercuric chloride-induced hepatotoxic rats. Biomol. Ther. 3, 223-228. 

  12. Jae, S. K. 2010.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Kor. J. Gastroenterol. 56, 6-14. 

  13. Jin, T. H., Tae, G. N., Min, Y. C., Jae, H. P. and Hyo, K. C. 2017. Effect of tartary buckwheat sprout o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through anti-histone acetyltransferase activity. Prev. Nutr. Food Sci. 46, 169-176. 

  14. Ki, H. P. and Gun, Y. K. 2018. Quality and characteristics of manufacturing sunsik with edible insect (Mealworm). Culi. Sci. Hos. Res. 24, 13-23. 

  15. Kwang, E. L., Yoo, M. K., Eun, S. K., Hae, J. K., Hae, W. C., Si, H. L., Hyeung, J. K., Dae, J. K., Soo, K. K., Chul, W. A., Bong, S. C., Sung, K. L., Hyun, C. L. and Kap, B. H. 2002. Metabolic significance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non-obese adults. Kor. J. Med. 63, 488-495. 

  16. Lee, J. E., Lee, A. J., Jo, D. E., Cho, J. H., Youn, K., Yun, E. Y. and Kang, B. H. 2015. Cytotoxic effects of Tenebrio molitor larval extracts against hepatocellular carcinoma. Prev. Nutr. Food Sci. 44, 200-207. 

  17. Min, H. B., Jae, S. H., Mi, A. K., Soo, H. K., Tae, W. G. and Eun, Y. Y. 2017. Comparative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of edible insects registered as novel foods. J. Life Sci. 27, 334-338. 

  18. Mohd, A. H., Marghoob, H. and Abdelmarouf, H. M. 2013. Comparative levels of ALT, AST, ALP and GGT in liver associated diseases. Eur. J. Exp. Biol. 3, 280-284. 

  19. Pelizzari, G., Basile, D., Zago, S., Lisanti, C., Bartoletti, M., Bortot, L., Vitale, M. G., Fanotto, V., Barban, S., Cinausero, M., Bonotto, M., Gerratana, L., Mansutti, M., Curcio, F., Fasola, G., Minisini, A. M. and Puglisi, F. 2019. Lactate dehydrogenase (LDH) response to first-line treatment predicts survival in metastatic breast cancer: first clues for a cost-effective and dynamic biomarker. Cancers 11, 1243. 

  20. Ra, Y. C., Ju, R. H., Hyo, S. R., Kyung, W. P., Kyung, Y. K. and Mi, K. L. 2019. The Effects of defatted Tenebrio molitor larva ferment extract on CCl4-induced liver damage in mice. Prev. Nutr. Food Sci. 48, 501-508. 

  21. Sang, H. P. 2010.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treatment. Kor. J. Med. 79, 481-489. 

  22. So, R. H., Eun, Y. Y., Ji, Y. K., Jae, S. H., Eun, J. J. and Kyoung, S. M. 2014. Evaluation of genotoxicity and 28-day oral dose toxicity on freeze-dried powder of Tenebrio molitor larvae (Yellow Mealworm). Toxicol. Res. 30, 121-130. 

  23. Spencer, S., Kenneth, P. R. and Charles, S. L. 1983. Depressed hepatic glutathione and increased diene conjugates in alcoholic liver disease. Am. J. Dig. Dis. 28, 585-589. 

  24. Su, Y. H. and Soo, K. C.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containing mealworm (Tenebrio molitor). Culi. Sci. Hos. Res. 21, 104-115. 

  25. Sampat, G., So, M. L., Chuleui, J. and Meyer-Rochow, V. B. 2017. Nutritional composition of five commercial edible insects in South Korea. J. Asia Pac. Entomol. 20, 686-694. 

  26. Um, J. N., Min, J. W., Joo, K. S. and Kang, H. C. 2017. Antioxidant, anti-wrinkle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 of fermented mixture extracts of Angelica gigas, Paeonia lactiflora, Rehmannia chinensis and Cnidium officinale. Kor. J. Med. Crop. Sci. 25, 152-159. 

  27. Verge's, V. 2009. Lipid modification in type 2 diabetes: the role of LDL and HDL. Fundam. Clin. Pharmacol. 23, 681-685. 

  28. Yoo, J., Hwang, J. S., Goo, T. W. and Yun, E. Y. 2013. Comparative analysis of nutritional and harmful components in Korean and Chinese mealworms (Tenebrio molitor). Prev. Nutr. Food Sci. 42, 249-2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