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혼여성의 자녀가치관과 추가출산의향 간의 관계에서 출산장려정책의 조절효과 분석
The Moderating Effects of Birth Rate Policies between Korean Women's Values of Children and Their Intentions for Subsequent Childbirth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9, 2017년, pp.65 - 78  

이완 (가천대학교 행정학과) ,  채재은 (가천대학교 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자녀가치관과 추가출산의향의 관계에서 출산장려정책(보육료지원, 육아휴직제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 보건복지 실태조사"자료 중 총 2,143명의 자료를 선택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조절회귀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배경변수(교육수준, 소득, 연령, 기존 자녀 수)를 통제한 후,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상적 자녀수, 도구적 가치관과 정서적 가치관의 순으로 추가출산의향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육아휴직'은 추가출산의향에 유의한 영향이 없는 반면에, '보육료 지원'은 음(-)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료 지원'만이 '도구적, 정서적 가치관'과 추가출산의향의향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효율적인 출산율 제고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자녀가치관을 높이기 위한 출산장려 문화정책이 필요하며, 아울러 추가출산 가능성이 높은 여성들을 대상으로 자녀수 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whether both childcare subsidy and childcare leave policies have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women's value of children and their intentions for subsequent childbirth. The data are used from the 2015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and Family Health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인구절벽의 위기가 본격화됨에 따라 최근 출산한 여성의 자녀가치관이 추가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출산장려정책의 조절효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5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 보건복지 실태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과 조절회귀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 이러한 맥락 하에 본 연구에서는 출산에 관한 전국 단위의 최신 자료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5년 전국출산력 및 가족 보건복지 실태조사」결과를 활용하여 조사시점(2015년 8월∼11월) 기준으로 35개월 이내 출산한 여성의 자녀가치관과 추가출산의향의 관계에서 출산장려정책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 이와 같이 선행연구들은 추가 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있지만, 대부분 가임여성 전체(15세∼49세)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만혼 현상 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3년 1월부터 2015년 11월 사이에 출산 경험을 가진 여성들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추가 출산의향 여부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실제 추가 출산할 가능성이 높은 여성층을 분석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출산정책 수립에 필요한 근거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출산 후 35개월 이내 시점에 있는 여성1)(이하 ‘최근 출산여성’이라 함)의 자녀가치관과 추가 출산의향의 관계에서 출산장려정책(보육료지원, 육아휴직)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최근 출산여성의 자녀가치관과 추가 출산의향의 관계에서 출산장려정책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최근 출산여성의 자녀가치관은 추가 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이들의 추가출산 의향에 출산장려정책 이용 여부는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최근 출산여성의 자녀가치관이 추가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에서 출산장려정책(보육료 지원, 육아휴직제도)은 조절효과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에 답하기 위해서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Fig. 1]과 같이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 최근 출산여성의 자녀가치관과 추가 출산의향의 관계에서 출산장려정책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최근 출산여성의 자녀가치관은 추가 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이들의 추가출산 의향에 출산장려정책 이용 여부는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최근 출산여성의 자녀가치관이 추가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에서 출산장려정책(보육료 지원, 육아휴직제도)은 조절효과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에 답하기 위해서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Fig. 1]과 같이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1차 저출산·고령화 기본계획이 나오게 된 배경엔 무엇이 있는가? 우리나라는 2001년 합계출산율이 1.3명 이하로 떨어져 초저출산 국가로 진입하였고, 2005년에는 그 수치가 사상 최저 수준인 1.08명까지 낮아졌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2006년 제1차 저출산·고령화 기본계획(새로마지플랜)을 필두로 각종 출산장려 정책이 시행되었고, 이를 위한 재정도 지난 10년간(2006년∼2015년) 총 80.
저출산의 덫은 무엇인가? 이는 우리나라가「루츠」, 「스티백」, 「테스타」(2006) 등이 언급한 ‘저출산의 덫’에 걸려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저출산으로 인해 “생산가능인구 감소, 경제성장 위축, 출산율감소”의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고령화 현상’과 결합하여 저출산은 노년부양비 증가, 성장잠재력 약화를 가속화시키고 있다.
출산장려 정책에 투입된 재정은 얼마인가? 08명까지 낮아졌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2006년 제1차 저출산·고령화 기본계획(새로마지플랜)을 필두로 각종 출산장려 정책이 시행되었고, 이를 위한 재정도 지난 10년간(2006년∼2015년) 총 80.2조원이 투자되었다[1]. 이러한 막대한 재정 투입에도 불구하고 2016년 합계출산율은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Low Birth Rate Measures 1", p.92, 2016. 

  2. OECD, "Fertility Rates (indicator). doi: 10.1787/8272fb01-en", August 7, 2017. 

  3. Lutz, W., Skirbekk, V. & Testa, M. R. "The Low Fertility Trap Hypothesis: Forces that may Lead to Further Postponement and Fewer Births in Europe", Vienna Yearbook of Population Research, Vol. 4, pp.167-192, 2006. 

  4. J. S. Kim, "Parity Specific Approach to the Plan of Having an Additional Child",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ol. 30, No. 2, pp.97-116. 2007. 

  5. S. S. Lee, H. J. Cho,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Change in Life Course and Fertility Behavior",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p.107, 2010. 

  6. S. H. Chung,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Policies in Response to Low Fertility",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ol. 35, No. 1, pp.31-52, 2012. 

  7. H. K. Kim, S. W. Lim, R. R. Lee, S. H. Park, D. S. Go, H. N. Na, K. S. Lee, H. S. Rhee. "The Survey Research on Pregnant Woman's Recognition about GO-UN-MAM CARD of Childbirth Promotion Polic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0, No. 3, pp.241-250, 2012. 

  8. Y. O. Han, "A Study of the Impact of the Rearing Support Policies on the Willingness of Childbirth." Ph. D. dissertation, Kyungwon University, 2012. 

  9. H. J. Ju, K. H. Kwak, J. Y. Jo, "Effects of Social Economic Factors and Policy-Based Factors on Childbirth Intentions", Korean Public Management Review, Vol. 24, No. 4, pp.211-228, 2010. 

  10. I. O. Kim, H. J. Wang, G. C. Jung, S. Y. Choi, "The Effect of Policy on Childbirth Encouragement and Working Time on Secondary Childbirth Intention of Married Women",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ol. 34, No. 3, pp.139-155, 2011. 

  11. S. H. Lee, C. H. Lee, S. C. Hong, "Impact Evaluation of Korea's Pro-natal Policie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p.166, 2016. 

  12. KDI, "Maternity Leave/Support Program for Childcare Leave". Korea Development Institute, p. 58, 2009. 

  13. McDonald, P. "Gender Equity, Social Institutions and the Future of Fertility", Journal of Population Research Studies, Vol. 17, No. 1, pp.1-15, 2000. 

  14. Van de Kaa, D. J. "The Idea of a Second Demographic Transition in Industrialized Countries" Paper Presented at the Sixth Welfare Policy Seminar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Population and Social Security, pp.1-33, Tokyo, Japan, 29 January, 2002. 

  15. Blau, D. M., Robins, P. K. "Fertility, Employment, and Child-care Costs", Demography, Vol. 25, No. 2, pp.287-299, 1989. 

  16. Fishbein, M., Ajzen, I.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 Addison-Wesely, 1975 

  17. Neyer, G., Vignoli, D., Lappegard, T. "Gender, Economic Conditions and Fertility. Does Context Matter for Fertility Intentions". In Population Association of America Annual Meeting, Washington, DC, March, 2011. 

  18. K. S. Chang, "Family, Life, Political Economy", Changbi Publishers, p.15, 2009. 

  19. K. S. Eun, "Age at Marriage, Marriage Cohort and First Birth Interval", The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Vol. 35, No. 6, pp.105-139, 2001. 

  20. D. S. Kim, "Provide a Second Child Family with the Benefits of Multiple-Child Family Including Special Housing Provision Program",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6/21/2017062100362.html, July 10, 2017. 

  21. Becker, G. S. "An Economic Analysis of Fertility", Demographic and Economic Change in Developed Countries, A Conference of the Universities-National Bureau Committee for Economic Research, Columbia University Press, pp.209-240, 1960. 

  22. S. H. Kim, "The Effect of Female Worker's Working Conditions on Fertility", Social Welfare Policy, Vol. 36, No. 2, pp.113-137, 2009. 

  23. E. J. Kim, S. L. Lee, W. J. Lee, H. N, Kim, "Study on the Fertility and Childcare Behavior by Income Group and Policy Direction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p.145, 2011. 

  24. Y. J. Shin, T. Y. Sung, E. Y. Choi, "The Burden of Childcare and Education Expenses Affecting Childbirth."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p.215, 2008. 

  25. E. H. Joung, Y. S. Choi, "The Factors Asso -ciated with the Birth Plan for Second Child and Second Birth for Married Women in Korea",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3, No. 1, pp.5-34, 2013. 

  26. J. G. Ha. "Economic Analysis of Low Fertility in Korea", Korean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 39, pp.137-173, 2012. 

  27. Becker, G.S., H.G. Lewis.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Children",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 81, No. 2, pp.279-288, 1973. 

  28. C. H. Park, "The Effects of Childcare Support, Value of Childre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Second Childbirth Plans for Employed Mothers with An Infant of 10 Months or Younger",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ol. 21, No. 1, pp.95-111, 2012. 

  29. S. S. Lee, H. J. Cho, H. S, Yoon, "Family Change and Its Impact on Marriage and Fertilit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5. 

  30. H. S. Jeon. "The Effects of Familism and Sense of Intimacy to Older Parents on Filial Respons -ibility of Korean Wome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5, pp.501-506, 2016. 

  31. S. G. Lee, "Factors Affecting Baby Boomer's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10, pp.73-86, 2014. 

  32. M. J. Seo, "The Effects of Parents'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n Follow-up Planned Childbirth: Focused on Family with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Policy, Vol. 5, No. 1, pp.127-148, 2011. 

  33. J. W. Lee, K. E. Kim, W. S. Lim, "Family and Child Factors Affecting the Second Childbirth Plan in One Child Family: Focus on the Family Environments and Children's Daily Habits" Korean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Vol. 9, No. 2, pp.1-22, 2015. 

  34. Duvander, A. Lappegard, T., Andersson, G. "Family Policy and Fertility: Fathers' and Mothers' Use of Parental Leave and Continued Childbearing in Norway and Sweden", Journal of European Social Policy, Vol. 20, No. 1, pp.45-57, 2010. 

  35. J. W. Lee, "A Pathway Analysis on Determination of Intention of Second Childbirth in Working Women with a Child: Focused on Value Factors", Korea Journal of Welfare, Vol. 40, No. 1, pp.323-351, 2009. 

  36. M. J. Ma,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ntention and the Avoidance of Second Childbirth of Working Couples", Korean Journal of Parent Education, Vol. 5, No. 1, pp.75-116, 2008. 

  37. Arnold, F., Bulatao, R.A., Buripakdi, C., Chung, B. J., Fawcett, J. T., Iritanni, T., Lee, S. J., & Wu, T. S. "Value of Children : A Cross-National Study", Honolulu: East-West Center, Vol. 1, p.222-p.2, 1975. 

  38. G. H. Lee, "Factor Affecting the Additional Maternity Intent of Married Woman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ildbirths", M.A.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Seoul, p.126, 2017. 

  39. S. S. Lee, J. S. Park, S. Y. Lee, H. J. Choi, M. Y. Young, "The 2015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and Family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5. 

  40. M. S. Kim, "Fertility Intention by Childcare Leave System of Working Couple", M.A.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2015. 

  41. Lappegard, T. "Family Policies and Fertility in Norway." European Journal of Population, Vol. 26, pp.99-116, 2010. 

  42. Y. J. Song, "An Analysis of Married Women's Fertility Plan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Vol. 25, No. 3, 2014. 

  43. Y. H. Ju, E. S. Jung, M. S. Shim, "The Relationship of College Students' Value on Marriage, Children and Sexual Attitud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1, pp.267-278, 2013. 

  44. M. S. Jang, H. S. Yang. "Study on the Influence of Childbirth Promotion Policy Due to Postpartum Care and Maternity Leave to Economical Activities in the Era of Converge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10, pp.245-254, 2015. 

  45. M. O. Lee, S. J. Myung,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Childbirth Promotion Policy: A Case of Uiryeong-Gun, Gyeongsang nam-do",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Vol. 29, No. 1, pp.331-350, 2015. 

  46. Y. K. Ryu, "A Comparative Study on Effect of Welfare States' Childcare Support Systems on Total Fertility Rates", Korean Social Security Studies, Vol. 21, No. 3, pp.233-261, 2005. 

  47. A. N. Kim, Y. S. Kwon, "Effect of Employed Mother's Work-Mother Role Conflict on Parenting Stress: Mediation Effect of Parental Satisfac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10, pp.375-384, 2014. 

  48. MCST, "Report on Survey of Koreans' Consciousness and Value in 2016",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p.330-p.21, 2016. 

  49. M. K. Moon, B. T. Kim, H. Y. Kim,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hildcare Leave of Public Servants in Local Governments",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p.112, 2015 . 

  50. J. S. Hong. "Maternal Age and Infant Mortality in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9, pp.379-387,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