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적 창의성 관점에서 다중해법 간의 질적 차이 분석
A Study on the Qualitative Differences Analysis between Multiple Solutions in Terms of Mathematical Creativity 원문보기

학교수학 = School Mathematics, v.19 no.3, 2017년, pp.481 - 494  

백동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이경화 (서울대학교)

초록

다중해법 문제는 수학적 창의성 함양에 적합하다고 알려져 왔다. 그런데 학생들이 제시한 다중해법들이 모두 유용하거나 의미 있는지, 학생들이 다중해법을 찾아 나가면서 어떤 사고를 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제시한 다중해법 간에 질적 차이가 존재하는지, 존재한다면 수학적 창의성의 관점에서 어떤 차이인지를 확인하는 데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해 영재교육원에 재원 중인 중학교 2학년 학생 8명에게 두 가지 버전의 과제를 제시한 후, 해법 간에 나타난 질적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처음에 제시한 해법과 나중에 제시한 해법 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유연성과 독창성 면에서 질적으로 상당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에 다중해법 문제를 설계하고 적용함에 있어 이와 같은 질적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asks of multiple solutions have been said to be suitable for the cultivation of mathematical creativity. However, studies on the fact that multiple solutions presented by students are useful or meaningful, and students' thoughts while finding multiple solutions are very short. In this study, we s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렇지 않을 경우 풀이 순서를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고, 풀이 과정이 생략되거나 해답 간에 중첩되어 학생들의 풀이를 연구자가 해석하기 힘들 수 있다. 둘째, 많은 학생이 다중해법을 제시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일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때, 답을 얻기 위한 다양한 과정보다는 답을 산출하는 데에 더 큰 관심을 두기 때문에 두 가지 버전의 활동지를 배부하였다.
  • 본 연구는 학생들이 순서대로 제시한 다중해법 간에 수학적 창의성 관점에서 질적인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학생들에게 두 가지 버전의 활동지를 배부하였으며, 두 번째 활동지는 첫 번째 활동지와 달리 제시문의 마지막 부분에 가능한 다양한 방법으로 해결하라는 조건을 추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의 구성요소인 유창성, 유연성, 독창성, 정교성을 가지고 창의성 분석을 하고자 한다. 해법의 개수로 유창성을, 서로 다른 해법의 범주 개수로 유연성을 평가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순서대로 제시한 다중해법 간에 질적 차이가 있는지를 수학적 창의성 관점에서 확인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특정한 사례를 상세하고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탐구하는 사례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우정호 외, 2006).
  • 본 연구의 목표는 학생들이 순서대로 제시한 다중해법 과제의 답안 간에 수학적 창의성의 관점에서 질적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따라서 중학교 1학년 교과서에서 볼 수 있는 유형의 과제 3개를 다중해법 과제로 변형하여 설계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선 창의성과 수학적 창의성의 정의, 연구 대상 등의 연구 흐름을 살펴보고, 수학적 창의성을 평가하기 위한 요소와 평가 도구를 개관한 후, 다중해법 과제를 정의하고자 한다. 이를 근거로 창의성 평가 도구를 개발하여 학생들에게 테스트한 후 학생들이 순서대로 제시한 다중해법 간에 수학적 창의성 관점에서 질적인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선 창의성과 수학적 창의성의 정의, 연구 대상 등의 연구 흐름을 살펴보고, 수학적 창의성을 평가하기 위한 요소와 평가 도구를 개관한 후, 다중해법 과제를 정의하고자 한다. 이를 근거로 창의성 평가 도구를 개발하여 학생들에게 테스트한 후 학생들이 순서대로 제시한 다중해법 간에 수학적 창의성 관점에서 질적인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산적 사고를 창의성의 주된 구성 요소로 보는 이유는? 예를 들어, 수학자의 위대한 업적에 준하는 것만을 창의성으로 보는 입장에서의 수학적 산출물과 학생이 고착된 사고에서 벗어나는 것까지 창의성으로 보는 입장에서의 그것은 확연히 다르다. 창의성의 구성요소는 직관과 통찰(Ervynck, 1991), 발산적사고(Leikin, 2009; Leikin & Lev, 2013; Silver, 1997), 고착에서 벗어나는 것(Haylock, 1987) 등 다양하지만, Guilford(1967)가 발산적 사고를 창의적인 사고로 규정하고, Torrence(1974)가 유창성과 유연성, 독창성, 정교성 등 발산적 사고를 기반으로 한 창의성 평가 검사지를 개발한 이후로 발산적 사고를 창의성의 주된 구성 요소로 본다. 발산적 사고를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는 문제 만들기(e.
창의성의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수학자의 위대한 업적에 준하는 것만을 창의성으로 보는 입장에서의 수학적 산출물과 학생이 고착된 사고에서 벗어나는 것까지 창의성으로 보는 입장에서의 그것은 확연히 다르다. 창의성의 구성요소는 직관과 통찰(Ervynck, 1991), 발산적사고(Leikin, 2009; Leikin & Lev, 2013; Silver, 1997), 고착에서 벗어나는 것(Haylock, 1987) 등 다양하지만, Guilford(1967)가 발산적 사고를 창의적인 사고로 규정하고, Torrence(1974)가 유창성과 유연성, 독창성, 정교성 등 발산적 사고를 기반으로 한 창의성 평가 검사지를 개발한 이후로 발산적 사고를 창의성의 주된 구성 요소로 본다. 발산적 사고를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는 문제 만들기(e.
수학 연구 분야 안에서의 창의성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 이래로 창의성은 학생들이 길러야 할 핵심역량 중 하나가 되었고, 수학 연구 분야 안에서도 창의성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내용 면에서는 창의적인 개인, 창의적인 과정, 창의적 산출물,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관한 연구 등이 있으며, 이들 각각을 분리해서 연구하지 않고, 인지적인 측면과 정의적인 측면, 환경적인 측면을 통합하여 연구하는 것이 최근의 흐름이다(이경화,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도종훈(2007). 개방형 문제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 두 개의 개방형 문제 제작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0(2). 221-235 

  2. 박진형, 김동원(2016). 예 만들기 활동에 의한 창의적 사고 촉진 방안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6(1). 1-22 

  3. 신희영, 고은성, 이경화. (2007). 수학영재교육에서의 관찰평가와 창의력평가. 학교수학, 9(2), 241-257. 

  4. 우정호, 정영옥, 박경미, 이경화, 김남희, 나귀수, 임재훈(2006). 수학교육학 연구방법론. 서울: 경문사. 

  5. 이경화(2015). 수학적 창의성: 수학적 창의성의 눈으로 본 수학교육, 서울: 경문사. 

  6. 이대현(2014). 다양한 해결법이 있는 문제를 활용한 수학적 창의성 측정 방안 탐색. 학교수학, 16(1), 1-17. 

  7. 이정연, 이경화(2010). Simpson의 패러독스를 활용한 영재교육에서 창의성 발현 사례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0(3), 203-219. 

  8. 하수현, 이광호(2014). Leikin의 수학적 창의성 측정 방법에 대한 고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1), 83-103. 

  9. 황우형, 최계현, 김경미, 이명희(2006). 수학교육과 수학적 창의성. 수학교육 논문집, 20(4), 561-574. 

  10. Ervynck, G. (1991). Mathematical Creativity. In D. Tall (Ed.),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pp. 42-53). Dordrecht: Springer Netherlands. 

  11. Guilford, J. P. (1967). The nature of human intelligence. New York: McGraw-Hill. 

  12. Hashimoto, Y. (1997). The methods of fostering creativity through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ZDM, 29(3), 86-87. 

  13. Haylock, D. W. (1987). A framework for assessing mathematical creativity in schoolchildre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8, 59-74. 

  14. Haylock, D. (1997). Recognising mathematical creativity in schoolchildren. ZDM, 29(3), 68-74. 

  15. Kaufman, J. C., & Beghetto, R. A. (2009). Beyond big and little: The four c model of creativity.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13(1), 1. 

  16. Leikin, R. (2009). Exploring mathematical creativity using multiple solution tasks. Creativity in mathematics and the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9, 129-145. 

  17. Leikin, R., & Lev, M. (2013). Mathematical creativity in generally gifted and mathematically excelling adolescents: What makes the difference?. Zdm, 45(2), 183-197. 

  18. Leikin, R., & Levav-Waynberg, A. (2008). Solution spaces of multiple-solution connecting tasks as a mirror of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Canadian Journal of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ology Education, 8(3), 233-251. 

  19. Levav-Waynberg, A., & Leikin, R. (2012). The role of multiple solution tasks in developing knowledge and creativity in geometry.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31, 73-90. 

  20. Lithner, J. (2008). A research framework for creative and imitative reasoning.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7(3), 255-276. 

  21. Mann, E. L. (2006). Creativity: The essence of mathematics.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30, 236-262. 

  22. Pehkonen, E. (1997). Introduction to the concept "open-ended problem". In Pehkonen, E.(Ed.), Use of Open-Ended Problems in Mathematics Classroom (pp.7-11). Helsinki University 

  23. Sheffield, L. J. (2009). Developing mathematical creativity-questions may be the answer. In R. Leikin, A. Berman, & B. Koichu (Eds.), Creativity in mathematics and the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pp. 87-100). Rotterdam: Sense Publishers. 

  24. Silver, E. A. (1997). Fostering creativity through instruction rich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problem posing. ZDM, 29(3), 75-80. 

  25. Sriraman, B. (2005). Are giftedness and creativity synonyms in mathematics? An analysis of constructs within the professional and school realms. The Journal of Secondary Gifted Education, 17, 20-36. 

  26. Sriraman, B., Haavold, P., & Lee, K. (2014). Creativity in mathematics education. In Encyclopedia of Mathematics Education (pp. 109-115). Springer Netherlands. 

  27. Torrance, E. P. (1974).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Bensenville, IL: Scholastic Testing Service. 

  28. Treffinger, D. J. (1989). From potentials to productivity: Designing the journey to 2000. Gifted Child Today, 17-21. 

  29. Treffinger, D. J. (1991). School reform and gifted education-Opportunities and issues. Gifted Child Quart. 35(1), 6-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