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미천에서 GIS 기반 횡적 연결성 평가
GIS-based Assessment of the Lateral Connectivity in the Cheongmi-cheon Stream, South Korea 원문보기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6 no.3, 2019년, pp.154 - 162  

진승남 (수생태공간정보연구소 조사연구팀) ,  조현석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추연수 (국립생태원 습지연구팀) ,  조강현 (인하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대부분의 우리나라의 하천은 제방 축조에 의하여 수로와 홍수터 사이의 횡적연결성이 훼손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GIS를 이용하여 하천 횡적연결성을 간편하게 원격으로 평가하는 기법을 개발하고 중부지방의 대표적인 하천인 청미천에 적용하여 평가법의 효용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원격평가법의 평가항목은 제내지 서식지 환경 항목으로서 (1) 습지 유지 여부와 (2) 토지이용 특성을 연결성 항목으로서 (3) 제방 차단 여부, (4) 하천과의 연결성 및 (5) 육상 자연서식지와의 연결성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평가법을 청미천에 시범 적용한 결과에 따르면 청미천의 제내지 옛홍수터는 제방 축조와 토지이용 변화로 횡적연결성이 크게 저하되어 있었다. 또한 GIS 원격 평가법에 의하여 청미천 옛홍수터의 횡적 연결성이 다양한 수준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연구에서 개발된 횡적연결성 원격 평가법은 앞으로 하천의 횡적연결성을 복원하는 다양한 시도에서 현재 연결성의 제한 요인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도구로서 이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teral connectivity between the channel and the floodplains has been damaged by the levee construction and channelization in most streams of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echnique for easily and remotely assessing lateral connectivity using GIS in the streams and to evalu...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천의 횡적 연결성을 보전, 복원하기 위하여 먼저 격리된 홍수터의 생태성과 수로와의 연결성을 평가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GIS를 이용하여 하천 횡적연결성을 간편하게 평가하는 기법을 개발하고 유역의 토지이용이 다양한 청미천에 적용 하여 향후 하천 홍수터와 구하도 복원 사업 계획에 기여 하는데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하천 횡적 연결성을 하천 수로와 옛홍수터 (former floodplain) 사이의 물, 물질, 에너지 및 생물의 이동 연결성으로 정의하였다. 따라서 옛홍수터는 하천기본계획 수립 시 이용되는 홍수 범람영역 생성 방법 (Choi 2012)에 따라서 계획홍수위 보다 낮은 제내지 지형으로 정의하고 이 지역의 경계를 GIS를 이용하여 획정하였다 (Jin et al.

가설 설정

  • 한편 (4) “하천과의 연결성” 평가항목은 옛홍수터가 시가화지역에 의하여 하천과의 연결성이 차단될 것으로 가정하여 해당 옛홍수터의 각 격자로부터 가장 인접한 시가화지역까지의 거리를 유클리드 거리계 산법으로 산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관에서 연결성의 정의는 ? 경관에서 연결성은 경관 구성요소 사이에서 에너지, 물질 및 생물이 이동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Ward et al. 2002).
횡적 연결성의 의의는 ? 이 4차원 모델은 (1) 하천 수로를 따른 흐름 (종적), (2) 수로와 홍수터 그리고 육역 사이의 흐름 (횡적) 및 (3) 수로와 지하수 사이의 흐름 (수직적)의 3가지 공간 차원과 (4) 이들의 시간적 변화인 시간 차원을 포함한다. 이중에서 횡적 연결성은 하천 생태계에서 홍수터와 직접적으로 관련되기 때문에 생태적으로 더욱 중요하다. 홍수터는 홍수 유수가 범람하는 곳으로 육상과 물 환경의 전이대이다 (Thoms 2003).
제방에 의하여 하천 수로와 홍수터가 단절시 나타나는 현상은 ? 제방에 의하여 격리된 제내지 홍수터는 수로와의 횡적 연결성이 완전히 차단되거나 제방에 설치된 통문이나 통관을 통하여 제한된 방식으로 연결성이 허용된다. 제방에 의하여 횡적 연결성이 끊어지면 하천 공간 범위의 축소, 침수 범람의 제한, 물질과 생물의 제한적인 이동으로 인하여 옛홍수터의 생물다양성과 생태계서비스가 감소된다 (Brooker 1985, Gergel 2002, Follner et a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rooker, M.P. 1985. The ecological effects of channelization. The Geographical Journal 151: 63-69. 

  2. Choi, E.H. 2012. A study on the Automatic Generation for River Flooding Area Using GIS. Master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in Korean) 

  3. Chu, Y., Jin, S.N., Alday, J.G., Marrs, R.H., and Cho, K.H. 2019. Hydrologically connected and isolated floodplains in channelized streams: impacts on plant communities under a temperate monsoonal climate. Hydrobiologia 834: 183-197. 

  4. Follner, K., Hofacker, A., Glaeser, J., Dziock, F., Gerisch, M., Foeckler, F., Ilg, C., Schanowski, A., Scholz, M., and Henle, K. 2010. Accurate environmental bioindication in floodplains in spite of an extreme flood event. River Research and Applications 26: 877-886. 

  5. Gergel, S.E. 2002. Assessing cumulative impacts of levees and dams on floodplain ponds: A neutral­terrain model approach. Ecological Applications 12: 1740-1754. 

  6. Hassett, B.A., Palmer, M.A., and Bernhardt, E.S. 2007. Evaluating stream restoration in the Chesapeake Bay Watershed through practitioner interviews. Restoration Ecology 15: 563-572. 

  7. Hine, C.S., Hagy, H.M., Horath, M.M., Yetter, A.P., Smith, R.V., and Stafford, J.D. 2017. Response of aquatic vegetation communities and other wetland cover types to floodplain restoration at Emiquon Preserve. Hydrobiologia 804: 59-71. 

  8. Hong, I., Kang, J.G., Kang, S.J., and Yeo, H.K. 2012. Functional assessment for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wetland-type old river channel: Mangyoung Riv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2: 213-220. (in Korean) 

  9. Jansson, R., Nilsson, C., and Malmqvist, B. 2007. Restoring freshwater ecosystems in riverine landscapes: the roles of connectivity and recovery processes. Freshwater Biology 52: 589-596. 

  10. Jin, S.-N. and Cho, K.-H. 2016. Expansion of riparian vegetation due to change of flood regime in the Cheongmi-cheon Stream, Korea.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3: 322-326. (in Korean) 

  11. Jin, S.-N., Cho, K.-H., and Cho, H.-J. 2015. Delineation and land use analysis of the isolated former floodplain in the Nakdong River, Korea.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2: 324-329. (in Korean) 

  12. Jin, S.-N., Cho, K.-H., and Cho, H.-J. 2017. Delineation and land use analysis of the former floodplains isolated by levees in the Cheongmi-cheon Stream, Korea.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4: 97-104. (in Korean) 

  13. Junk, W., Bayley, P.B., and Sparks, R.E. 1989. The flood pulse concept in river-floodplain systems. Dodge, D.P. (ed.),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Large River Symposium (LARS), Canadian Special Publication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106: 110-127. 

  14. Kim, S.K. and Choi, S.-U. 2019. Evaluation of the impact of abandoned channel restoration on Zaco platypus habitat using the physical habitat simulation: A case study of the Cheongmi-cheon Stream in Korea.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6: 101-108. (in Korean) 

  15. Lee, C.S. and Yu, Y.H. 2001. Development and outlook of restoration ecology as an ecology for the future. Korean Journal of Ecology 24: 191-202. (in Korean) 

  16. MLTMA. 2011. Basic Plan for the Cheongmi-cheon Strea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Gwacheon, Korea. (in Korean) 

  17. Moss, T. 2007. Institutional drivers and constraints of floodplain restoration in Europe. International Journal of River Basin Management 5: 121-130. 

  18. Moss, T. and Monstadt, J. 2008. Restoring Floodplains in Europe: Policy Contexts and Project Experiences. IWA Publishing, London, UK. 

  19. Natuhara, Y. 2013. Ecosystem services by paddy fields as substitutes of natural wetlands in Japan. Ecological Engineering 56: 97-106. 

  20. Opperman, J.J., Luster, R., McKenny, B.A., Roberts, M., and Meadows, A.W. 2010. Ecologically functional floodplains: connectivity, flow regime, and scale.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6: 211-226. 

  21. Reckendorfer, W., Funk, A., Gschopf, C., Hein, T., and Schiemer, F. 2013. Aquatic ecosystem functions of an isolated floodplain and their implications for flood retention and management. Journal of Applied Ecology 50: 119-128. 

  22. Thoms, M.C. 2003. Floodplain-river ecosystems: Lateral connections and the implications of human interference. Geomorphology 56: 335-349. 

  23. Ward, J.V. 1989. The four-dimensional nature of lotic ecosystems. Journal of the North American Benthological Society 8: 2-8. 

  24. Ward, J.V., Tockner, K., and Schiemer, F. 1999. Biodiversity of floodplain river ecosystems: ecotones and connectivity. Regulated Rivers: Research and Management 15: 125-139. 

  25. Ward, J.V., Tockner, K., Arscott, D.B., and Claret, C. 2002. Riverine landscape diversity. Freshwater Biology 47: 517-539. 

  26. Wohl, E. 2017. Connectivity in rivers. Progress in Physical Geography 41(3): 345-362. 

  27. Woo, H. 2010. Trends in ecological river engineering in Korea. Journal of Hydro-environment Research 4: 269-278. 

  28. Yoon, C.G. 2009. Wise use of paddy rice fields to partially compensate for the loss of natural wetlands. Paddy and Water Environment 7(4): 357-3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