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병원 입원 노인환자의 섬망예방을 위한 안위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Effects of the Comfort Promotion Program for Prevention of Delirium among Elderly Patients Hospitalized in Long-term Care Hospital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9, 2017년, pp.203 - 215  

황혜정 (호산대학교 간호학과) ,  신영희 (계명대학교 간호학과) ,  김가은 (계명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요양병원 입원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섬망예방을 위한 안위증진 프로그램이 섬망발생, 섬망지속정도, 섬망위험요인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 검토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7월 3일부터 8월 20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 대상은 요양병원에 입원중인 65세 이상의 노인 환자로 실험군 34명, 대조군 34명이었다. 자료분석은 IBM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independnet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섬망예방을 위한 안위증진 프로그램은 Kolcaba이론을 바탕으로 개발하였고,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섬망발생률은 실험군 2.9% (1/34명), 대조군 14.7% (5/34명)로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x^2=3.98$, p=.047), 섬망심각도는 실험군(0.24)이 대조군(5.1)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t=2.27, p=.027). 섬망지속시간은 실험군(2일)이 대조군(2~10일)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x^2=3.22$, p=.043). 시간의 변화에 따라 실험군에서 안위는 증가하였으며(F=108.85, p<.001), 불안(F=63.39, p<.001)과 우울(F=89.78, p<.001)은 감소하였다. 수면의 질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았고(F=63.63, p<.001), 통증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낮았다(F=93.64, p<.001). 결론적으로 요양병원에 입원한 노인환자의 섬망예방을 위해서 신체, 심리 영적, 사회 문화적, 환경적 접근을 한 Kolcaba이론에 근거한 섬망예방을 위한 안위중재예방프로그램의 효과가 있는 간호중재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요양병원 입원 노인환자들의 섬망예방을 위해서 신체, 심리 영적, 사회 문화적, 환경적 맥락에서의 섬망예방을 위한 안위중재프로그램을 확대 시행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lirium is an acute confused state associated with poor outcomes among hospitalized long-term care hospital elderly pati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comfort promotion program based on Kolcaba's comfort theory for prevention of delirium among elderly patients who have b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Kolcaba의 이론에 근거해 신체적, 심리·영적, 환경적,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안위를 제공하고, 섬망의 위험요인인 불안, 우울, 수면의 질, 통증에 효과가 있는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 특히 요양병원 입원 노인 환자들은 급성기 입원환자에 비해 또 다른 안위가 상대적으로 더 낮을 것이다. 노인환자의 섬망발생의 주원인이 되는 신체적 문제 뿐만 아니라 불안, 우울, 수면의질, 통증을 조절함으로써 환자의 기본욕구인 안위가 향상시킴으로 인해 섬망발생, 섬망발생기간, 섬망심각도를 낮추고자 한다. 이에, 요양병원 입원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개발 한 섬망예방을 위한 안위증진 프로그램은 섬망발생을 감소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는 Kolcaba [10]의 안위이론을 토대로 요양병원 입원 노인환자의 섬망예방을 위해 안위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요양병원 입원 노인환자 대상으로 섬망예방 효과검증을 위해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 섬망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Kolcaba 의 안위 이론을 토대로 요양병원 입원 노인의 섬망예방을 위해 안위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토하고자 수행되었다. 안위증진 프로그램은 요양병원에 입원한 노인환자의 섬망 발생률, 섬망심각도, 섬망지속시간을 감소시켰고, 섬망발생 위험요인인 수면의 질, 수면시간을 증가시키고, 불안, 우울, 통증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P시 소재의 요양병원 병원장 및 간호부장에게 공식적인 절차를 통해 연구의 목적, 방법, 피보험자의 권리보장 및 대상자 자료수집과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동의를 얻었다. 대상자의 윤리적 고려를 위해 K대학 연구윤리심의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심의를 거쳐 승인 받은 후 시행하였다(IRB no.
  • 본 연구는 요양병원 입원 노인환자의 섬망예방을 위한 안위증진 프로그램 및 효과 검증을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 연구이다.
  • 노인인구의 증가로 병원 및 요양병원에 입원하는 노인환자도 증가하였으나 현재까지 노인의 섬망 예방을 위한 중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섬망은 요양병원 입원 노인환자의 예방이 중요함으로 섬망 발생원인을 미리 예방하여 환자를 안위를 유지시키고자 한다. 요양병원의 노인환자의 안위 평가를 위해 불안, 우울, 수면의 질, 통증을 평가할 것이다.
  • 이에, 요양병원 입원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개발 한 섬망예방을 위한 안위증진 프로그램은 섬망발생을 감소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안위증진을 위한 전략으로 기술적 간호, 영혼을 위한 Comfort food, 코칭을 적용하였으며, 안위증진을 이를 통해 불안, 우울, 통증이 중재되고, 수면의 질, 섬망발생률, 섬망심각도, 섬망 지속기간 등에 변화가 있는지 검토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제 1 가설: 섬망예방을 위한 안위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섬망 발생률이 낮을 것이다.
  • 제 2 가설: 섬망예방을 위한 안위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섬망 발생시 섬망 심각도가 낮을 것이다.
  • 제 3 가설: 섬망예방을 위한 안위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섬망 발생시 섬망 지속기간이 짧을 것이다.
  • 제 4 가설: 섬망예방을 위한 안위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안위 점수의 변화양상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제 5 가설: 섬망예방을 위한 안위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불안 점수의 변화양상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제 6 가설: 섬망예방을 위한 안위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우울 점수의 변화양상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제 7 가설: 섬망예방을 위한 안위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면의 질 점수의 변화양상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제 8 가설: 섬망예방을 위한 안위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통증 점수의 변화양상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위간호중재에서 말하는 영적 Comfort food란 무엇인가? 활력징후, 혈액 검사 결과 모니터링과 같은 항상성 유지와 진통제 투약과 같은 통증관리가 여기에 포함된다. 둘째, 영적 Comfort food는 환자들이 기대는 하지 않으나 시행된다면 환영받을 수 있는 중재들을 포함하며, 마사지, 심상요법, 음악요법, 회상 등이 이에 포함된다. 셋째, 코칭은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정보를 제공하며 확신과 희망을 심어주는 것을 말하며, 코칭이 효과적이려면 환자의 말을 경청해야 한다.
입원한 노인 환자들에게서 섬망이 자주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섬망은 판단과 지각 능력을 손상시켜 낙상 및 치매 위험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항정신성 약물 사용량을 증가시키고[3-5],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므로 의료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6]. 특히 입원한 노인환자들에서 섬망이 자주 발생하는 이유는 노화과정으로 인한 전반적인 신경생리기능 저하와 정상 기능 유지 예비능력이 감소한 상태에서, 입원이라는 환경으로 인해 항상성 유지 능력, 적응능력이 저하되고, 스트레스가 증가하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7]. 또한 요양병원의 노인환자는 대부분 동반질환 및 장기복용하는 약물이 있고, 이는 잠재적 감염의 위험성, 영양불량, 변비, 탈수, 통증, 수면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낯선 환경, 병실내 소음, 지속적 스트레스 등은 불안, 우울, 외로움, 위축, 상실감 등을 초래하게 되는데, 이러한 신체적, 심리 영적, 사회 문화적, 환경적 맥락에서의 안위저하는 섬망발생의 위험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3,4,6,8].
섬망은 사회적으로 어떤 문제점을 가져오는가? 또한 갑작스러운 의식변화와 인지장애 증상중 하나인 섬망을 흔히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3-5], 수주에서 수개월간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3]. 섬망은 판단과 지각 능력을 손상시켜 낙상 및 치매 위험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항정신성 약물 사용량을 증가시키고[3-5],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므로 의료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6]. 특히 입원한 노인환자들에서 섬망이 자주 발생하는 이유는 노화과정으로 인한 전반적인 신경생리기능 저하와 정상 기능 유지 예비능력이 감소한 상태에서, 입원이라는 환경으로 인해 항상성 유지 능력, 적응능력이 저하되고, 스트레스가 증가하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Status classes of medical care institutions in region.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6[cited 2016 March 16].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4&tblIdDT_MIRE01&vw_cdMT_ZTITLE&list_id354_MT_DTITLE&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E1 

  2. M. J. Park, E. E. Suh, J. M. Lee, "Nursing staffs' experiences of managing medical needs of the elderly in Korean long-term care facilities", The Journal of Korean Adult Nursing. vol. 25. no. 4, pp. 409-421, 2013. DOI: http://dx.doi.org/10.7475/kjan.2013.25.4.409 

  3. S. K. Inouye, "Delirium in older person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 354. no. 11, pp. 1157-1165. 2006. DOI: https://doi.org/10.1056/nejmra052321 

  4. D. K Kiely, M. A. Bergmann, K. M. Murphy, R.N. Jones, E. J. Orav, E. R Marcantonio, "Delirium among newly admitted postacute facility patients: prevalence, symptoms, and severity",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vol. 58. no. 5, pp. 441-445, 2003. DOI: https://doi.org/10.1093/gerona/58.5.m441 

  5. S. K. Inouye, Jr. S. T. Bogardus, P. A. Charpentier, L. Leo-Summers L, D. Acampora, T. R. Holford, et al. "A multicomponent intervention to prevent delirium in hospitalized older patient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 340. no. 9, pp. 669-676, 1999. DOI: https://doi.org/10.1056/nejm1999030400901 

  6. J. Witlox, L. S. Eurelings, J. F. de Jonghe, K. J. Kalisvaart, P. Eikelenboom, W. A. Van Gool,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and the risk of postdischarge mortality, institutionalization, and dementia: a meta-analysis", The Journal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 304. no. 4, pp. 443-451, 2010. DOI: https://doi.org/10.10012010.1013 

  7. The Korean Geriatrics Medical Association. Geriatrics Medicine, 2nd ed. Seoul: Medical Publishing Co. pp. 118-124, 2005. 

  8. J. Young, F. Cheater, M. Collinson, M. Fletcher, A. Forster, M. Godfrey, et al. "Prevention of delirium (POD) for older people in hospital: study protocol for a randomised controlled feasibility trial", Trials. Vol . 16. no. 1, pp. 340-352, 2015. DOI: https://doi.org/10.1186/s13063-015-0847-2 

  9. S. K. Inouye, R. G. Westendorp, J. S. Saczynski, "Delirium in elderly people", The Lancet. vol. 383. no. 9920, pp. 911-922, 2014. DOI: https://doi.org/10.1016/s0140-6736(14)60993-4 

  10. M. C. Smith, M. E. Parker, Nursing theories & nursing practice. 4th ed. Philadelphia: FA. Davis Co.; pp. 381-392, 2015. https://www.fadavis.com 

  11. M. S. Hong,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Pain, Depression and Anxiety in Terminal Cancer Patients", Jonu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vol. 10. no. 1, pp. 112-118, 2010. 

  12. S. K. Inouye, C.H. Van Dyck, C. A. Alessi, S. Balkin, A. P. Siegal, R. I. Horwitz, "Clarifying confusion: the confusion assessment method: a new method for detection of delirium", Annals of Internal Medicine. vol. 113. no. 12, pp. 941-948, 1990. DOI: https://doi.org/10.7326/0003-4819-113-12-941 

  13. J. D. Gaudreau, P. Gagnon, F. Harel, A. Tremblay, M. A. Roy, "Fast, systematic, and continuous delirium assessment in hospitalized patients: the nursing delirium screening scale",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vol. 29. no. 4, pp. 368-375, 2005. DOI: https://doi.org/10.1016/j.jpainsymmaan.2004.07.009 

  14. M. F. Folstein, S. E. Folstein, P. R. McHugh,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l",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vol. 12. no. 3, pp. 189-198, 1975. DOI: https://doi.org/10.1016/0022-3956(75)90026-6 

  15. Y. C. Kyun, J.H. Park,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for use in the elderly", Part II.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Validity. vol. 28. no. 1, pp. 125-135, 1989. DOI: https://doi.org/10.1002/gps.930050606 

  16. K. Y. Kolcaba, A taxonomic structure for the concept comfort. Th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vol. 23. no. 4, pp. 237-240, 1991. DOI: https://doi.org/10.1111/j.1547-5069.1991.tb00678.x 

  17. G. U. Choi, "The effects of group image psychotherapy on comfort and depression of patients with hemodi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0. no. 3, pp. 791-798, 2000. DOI: http://www.dbpia.co.kr/Article/NODE02028507 

  18. M. H. Lee, "The effect of aroma therapy on the comfort, anxiety and sleep of heart stent spiled patients hospitalized in Intensive Care Units",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2006. 

  19. C. D. Spielberger, "Anxiety state-trait process", Stress and Anxiety. vol. 1. pp. 115-143, 1975. 

  20. J. T. Kim, D. K. Shin,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AI for Korea. Current Medicine", vol. 21. no. 11, 1220-1223, 1978. 

  21. J. I. Sheikh, J. A. Yesavage,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In: Brink TL, editors. Clinical gerontology: A guide to assessment and intervention. Binghamton, NY, The Haworth Press Inc., pp. 165-173, 1986. 

  22. M. S. Song, "Construction of a functional status prediction model for the elderly",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991. 

  23. H. R. Snyder, J. A. Verran, "Instrumentation to describe subjective sleep characteristics in healthy subject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vol. 10. no. 3, pp. 155-163, 1987. DOI: https://doi.org/10.1002/nur.4770100307 

  24. S. Katz, A. B.Ford, R. W. Moskowitz, B A. Jackson, & M.W. Jaffe, "Studies of illness in the aged: the in the aged: the index of ADL: a standardized measure of biological and psychosocial functio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 185, no. 12, pp. 914-919, 1963. DOI: https://doi.org/10.1001/jama.1963.03060120024016 

  25. J. W. Won, "The Development of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K-ADL) and 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K-IADL) Scale" The Journal Korean Geriatr Society, no. 6, vol. 2, pp. 107-120, 2002. 

  26. K. Kolcaba, V. Schirm, R. Steiner, Effects of hand massage on comfort of nursing home residents. Geriatric Nursing. vol. 27, no. 2, pp. 85-91, 2006. DOI: https://doi.org/10.1016/j.gerinurse.2006.02.006 

  27. S. Ezzone, C. Baker, R. Rosselet, E. Terepka, et al. Music as an adjunct to antiemetic therapy. Oncology Nursing Forum. no. 25, vol. 9, pp. 1551-1556, 1988. 

  28. R. Holt, J. Young, D. Heseltine, "Effectiveness of a multi-component intervention to reduce delirium incidence in elderly care wards", Age and Ageing. vol. 42. no. 6, pp. 721-727, 2013. DOI: https://doi.org/10.1093/ageing/aft120 

  29. M. G. Cole, "Delirium: effectiveness of systematic interventions", Dementia and Geriatric Cognitive Disorders. vol. 10. no. 5, pp. 406-411. 1999. DOI: https://doi.org/10.1159/000017179 

  30. Y. S. Park,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 for cancer patients with delirium", Korean Society of Evidence-Based Nursing. vol. 1. no. 1, pp. 4-15, 2013. 

  31. H. Y Jang, T. I Kim, "Sleep patterns and it's influencing factors of hospitalized elderly in long-term care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 27. no. 3, pp. 773-789, 2016. DOI: https://doi.org/10.7465/jkdi.2016.27.3.7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