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섬망에 대한 지식, 섬망간호스트레스 및 섬망간호수행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Stress, and Nursing Performance about Care for Delirium in Geriatric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clinical health science, v.4 no.2, 2016년, pp.593 - 602  

김은희 (경북전문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knowledge, stress and nursing performance about care for delirium in geriatric hospital nurses. Methods.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242 nurses employed at geriatric hospitals with the capacity of more than 100 beds which were loc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섬망에 대한 지식, 섬망간호스트레스 및 섬망간호수행정도를 파악하고 섬망간호수행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상실무간호의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섬망 발생 빈도가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3%라고 보고하였다5). 노인에게 섬망이 잘 발생하는 이유는 체지방 증가, 근육과 수분 감소, 알부민과 사구체 여과율 감소, 뇌혈류량의 감소, 신경뉴런 소실, 신경전달물질인 gammaaminobutylic acid(GABA), acetylcholine의 농도저하 등 노화에 따른 생리적 변화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6) , 또 다른 이유로는 다량의 약물 복용, 사회적 접촉 제한, 감염, 심한 통증 및 전해질 불균형 등의 특정한 상황에서 발생한다6)7).
섬망이란 무엇인가? 섬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수면각성 주기의 장애, 정신운동활동의 증가나 감소, 인지 기능 장애와 의식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가역적인 기질적 정신증후군으로 급성 의학적 상황이다2).
섬망유발 약물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가? 치료와 관련되어 나타나는 섬망 발생 위험은 주로 여러 질환의 존재와 질환에 따른 약물 복용, 뇌의 신경화학과 약물대사 변화가 발생하기 때문이다7)8). 섬망유발 약물의 종류는 칼슘차단제, NSAIDs, 교감신경억제제, 항경련제, 항콜린성제제 등의 중추신경 작용제와 마약성 진통제, 항염증제, 스테로이드 제제 등이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Lewis LM, Miller DK, Morley JE, Nork MJ, Lasater LC. Unrecognized delirium in ED geriatric patients. The America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1995;13(2):142-145. 

  2. Roberts BL. Managing delirium in adult intensive care patient. Critical Care Nurse, 2001;21(1):48-55. 

  3. Ely Ew, Inouye SK, Bernard GR, Gordon S, Francis J, May L, et al. Delirium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onfusion assessment method ofr the intensive care unit(CAM-ICU). JAMA Internal Medicine, 2001;286(21):2703-2710. 

  4. McCusker J, Cole M, Abrahamowicz M, Primeau F, Belzile E. Delirium predicts 12-month mortality.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2002;162(4):457-463. 

  5. Kim JL. The epidemiology of delirium.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2008;16(2):81-86. 

  6. Alagiakrishnan K, Wiens CA. An approach to drug induced delirium in the elderly. Postgraduate Medical Journal, 2004;80(945):388-393. 

  7. Boyle DA. Delirium in order adults with cancer:implications for pracitice and research. Oncology Nursing Forum, 2006;33(1):61-78. 

  8. Yang YH. Prevalence and precipitating factors for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admitted to long-term care hospitals or to general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 Nursing, 2010;17(1):26-34. 

  9. Weddington WW. The mortality of delirium:AN underappreciated problem:Psychosomatics, 1982;23:1232-1235. 

  10. Spronk PE, Riekerk B, Hofhuis J, Rommers JH. Occurrence of delirium is severely underestimated in the ICU during daly care. Intensive Care Medicine, 2009;35(7):40-48. 

  11. Marshall MC, Soucy MD. Delirim in the intensive care unit. Critical Care Nursing Quarterly, 2003;26(3):172-178. 

  12. Saxena s, Lawley D. Delirium in the elderly: a clinical review. Postgraduate Medical Journal, 2009;85:405-413. 

  13. Inouye SK. Delirium in older persons. New Egland Journal of Medicine, 2006;354:1157-1165. 

  14. Lepouse C, Lautner CA, Liu L, Gomis P, Leon A. Emergence delirium in adults in the postanaesthesia care unit.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2006;96(6):747-753. 

  15. Jun IA, Jung DY. Recovery room nurses knowledge and stress of emergence delirium.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4;20(2):256-266. 

  16. Milbrandt EB, Deppen S, Harrison PL, Shintani AK, Speroff T, Stiles RA, et at. Costs associated with delirium in mechnically ventilated patients. Criticla Care Medicine, 2004;32(4):955-962. 

  17. Lee YH, Im HB, Jeong EJ, Ma HS. Influencing factors of the incidence of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with arthroplast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2;24(4):348-357. 

  18. Suh HJ, Yoo YS. Intensive care unit nurse's knowledge, nursing performance, and stress about delirium.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7;19(1):55-65. 

  19. Kim MY, Eun Y. Knowledge, performance and stress about care for delirium in orthopedic hospital nurses. Journal Joint Health, 2013;20(1):72-80. 

  20. Im CS, Cha SM, Kim JH, Lee JM, Kim JL. Retrospectiv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outcome of delirium in elderly in pati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2012;18(2):186-193. 

  21. Lee YH, Kim CG, Kong ES, Kim KB, Kim NC, Kim HK, et al. A study of nurses'knowledge level and assessment experience of delirium.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7;19(1):35-44. 

  22. Kim YT, ICU nurse's stresso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1989. 

  23. Seo HJ. Intensive care unit nurse's knowledge, nursing performance, and stress about delirium.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2006. 

  24. Cho GL. ICU nurses' knowledge and nursing performance of intensive care unit syndrom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niversity, 2001. 

  25. Oh JM. The association of knowledge on delirium with nursing performance and education nee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2015. 

  26. Kim KH, Kho DH, Shin JY, Choi JY, Kin ES, Kim DH. Risk factors of postoperative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with hip fractures. Journal of the Korean Fracture Society, 2008;21(3):189-194. 

  27. Robertson BD, Robertson TJ. Postoperative delirium after hip fracture. The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2006;88(9):2060-20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