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 체결 FTA 농업부문 사후영향평가와 시사점
Assessment & Implication on Ex-post Free Trade Agreements with respect to the Korean Agricultural Sector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9, 2017년, pp.377 - 385  

한석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이수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염정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지성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동태적 분석방법을 이용한 경제적 사후영향평가를 통해 기 체결한 14건의 FTA 이행이 국내 농업부문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2015년 기준 전체 농산물 수입액 중 FTA 체결국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은 82.4%에 달한다. 분석에는 농업부문 세부 품목별 피해액 계측이 용이하고 품목별, 용도별 관세철폐일정을 모형에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부분균형 모형이면서 농업부문에 국한된 일반균형모형인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KASMO 2015 모형이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FTA 이행으로 축산업과 과수 산업을 중심으로 농업 생산액이 상당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선행연구 대부분이 개별 FTA에 대한 사후영향평가에 국한되었으며, 이는 다수의 FTA 이행으로 무역창출과 무역전환 효과, FTA 누적효과 등이 혼재되어 있다는 점을 반영하지 못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업부문에서의 FTA 효과를 보다 객관적이고 종합적으로 평가하였고, 이는 향후 FTA 국내보완대책 수정 보완에 필요한 정책방향을 제시하는데 어느 정도 기여하였다. 물론, FTA 효과에서 국내보완대책과 일반 농정사업의 성과를 분리할 수 있는 보다 정교한 분석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the implementation of 14 FTAs on the domestic agricultural sector through aneconomic post-impact assessment using the dynamic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FTAs, agricultural production decreased significantly, mainly in the livestock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015년 기준, 14건의 FTA 이행에 따라 우리나라 농업부문의 FTA 효과분석을 위한 동태방법을 사용하여 경제적 사후영향평가를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12년간의 FTA 이행으로 누계 농업 생산 감소액은 2조 3,100억 원(연평균 1,930억 원)으로 대부분의 생산액 감소는 축산물과 과실류에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설 설정

  • FTA 발효 이후 설령 수입량이 줄어들었다고 하더라도, 이는 수출국의 기상이변 및 병해충발생 등 수급상황변화로 수입단가가 상승하거나, 환율 등 거시지표의 변화가 주요 원인이며, 관세율 하락효과는 될 수가 없다. 또한, 어느 특정 상대국 FTA로 인한 관세인하 및 TRQ 증량에 대한 사후 평가이므로, 특정 상대국의 품목별 관세율 및 TRQ만의 영향분석을 해야 하고, 시나리오는 FTA 발효시점에서부터 특정 상대국의 품목별 관세율 및 TRQ와 FTA 발효이전과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여 시뮬레이션을 해야 한다. 여기서 특정 FTA 영향평가라 하면, 예컨대 기 체결된 14건의 FTA 사후 영향평가를 위해서는 FTA가 체결되지 않은 모든 국가들은 베이스라인에 포함되며, 14건의 FTA의 관세율 하락과 TRQ 증량만을 효과 분석함을 의미한다.
  • 분석에 앞서, 베이스라인은 2004년부터 2015년까지 품목별 실제 실현된 수급 및 가격이며, 영향평가에 해당되는 시나리오는 2004년 한·칠레 FTA를 시작으로 발효된 FTA 14건을 미 발효된 것으로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별 FTA에 대한 효과보다는 기 체결 FTA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우리나라 체결한 15건의 FTA가 모두 발효되고 있는 상황에서, 개별 FTA에 대한 평가보다는 기 체결 FTA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이는 무역창출 및 무역전환 효과를 동시에 고려해야 하고, 기 체결 FTA의 누적효과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국내 농업부문 FTA 효과분석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2015년 기준, 14건의 FTA 이행에 따라 우리나라 농업부문의 FTA 효과분석을 위한 동태방법을 사용하여 경제적 사후영향평가를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12년간의 FTA 이행으로 누계 농업 생산감소액은 2조 3,100억 원(연평균 1,930억 원)으로 대부분의 생산액 감소는 축산물과 과실류에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축산물의 생산감소액이 1조 4,530억원(연평균 1,210억 원)으로 전체 피해액의 62.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실류의 생산감소액은 4,790억 원(연평균 400억 원)으로 계측되어 전체 생산감소액의 20.7%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전체 생산감소액의 11.1% 차지하는 곡물의 누적 생산감소액은 2,560억 원(연평균 210억 원)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FTA 체결 현황은 어떠한가? 우리나라는 2004년 발효된 한·칠레 FTA부터 2016년 발효된 한·콜롬비아 FTA에 이르기까지 52개국과 총 15건의 FTA를 체결하여 이행 중에 있다. 주요 국가 및 경제권과 FTA를 체결함으로써 경제영토가 크게 확대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S. T. Ji, H. K. Lee, S. H. Lee, J. H. Yoo, "Structural Changes in the Import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Policy Implications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FTAs", R789,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6. 

  2. H. P. Moon, M. K. Eor, H. N. Park, S. H. Oh, "Strategy in Response to Free Trade Agreement(FTA) in Agricultural Sector: An Economics Effect Analysis of Domestic Measures Related to Korea-Chile FTA",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2. 

  3. S. H. Han, "An analysis of Ex-post Assessment of Korea-Chile FTA with Respect to the Agricultural Sector",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 43, no. 3, pp. 468-480, 2016. DOI: https://doi.org/10.7744/kjoas.20160050 

  4. S. H. Han, "An Analysis of Ex-post Evaluation on Korea-EU FTA with respect to the Agricultural Sector",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JKAIS) vol. 17, no. 7, pp. 648-655,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7.648 

  5. S. H. Han, H. S. Seo, J. W. Youm, C. H. Kim, "A Study on Development of 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 2015", M137,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6. 

  6. S. K. Choi, "Countermeasures in Agriculture, Which Can Respond to The Korea-Chile FTA", p. 52,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02. 

  7. J. B. Lim, B. I. Ahn, "A Study on Developing Standard Model on Evaluation for FTAs' Impact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9. 

  8. S. Brown, S. H. Han, D. Madison, "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 and Livestock Quarterly Model", M91,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08. 

  9. S. K. Choi, T. H. Jeong, D. H. Jeong, "Evaluation of Compensation Measures and Impacts of Implemented FTAs on Agricultural Sector", R597,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09. 

  10. J. W. Lee, "An Study of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n Analysis of FTAs' Impacts for Farmer's income", GS&J Institute, 2011. 

  11. S. H. Han, M. K. Jeong, G. S. Nam, H. Y. Jeong, S. W. Lee, "A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ing An Existing FTAs, Ex-post Impact Assesment Model", p. 205,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