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이용한 폐식용유 원료 바이오디젤 제조공정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Waste Cooking Oil-based Biodiesel Production Process Using Central Composite Design Model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8 no.5, 2017년, pp.559 - 564  

홍세흠 (단국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이원재 (단국대학교 화학공학과) ,  이승범 (단국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폐식용유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제조공정에 반응표면분석법중심합성계획모델을 이용하여 최적화 과정을 수행하였다. 공정변수로는 폐식용유의 산가, 반응시간, 반응온도, 메탄올/유지 몰비, 촉매량 등을 선택하였고, 반응치로는 FAME 함량(96.5% 이상) 및 동점도(1.9~5.5 cSt)를 설정하였다. 기초실험을 통해 계량인자범위를 반응시간 (45~60 min), 반응온도($50{\sim}60^{\circ}C$), 메탄올/유지 몰비(8~12)로 정하고,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이용한 최적화 결과 바이오디젤의 제조공정의 최적조건은 반응시간 55.2 min, 반응온도 $57.5^{\circ}C$, 메탄올/유지 몰비 10으로 나타났다. 이 조건에서 바이오디젤의 예측 FAME 함량은 97.5%, 동점도는 2.40 cSt이었으며, 실제 실험을 통해 확인한 결과 FAME 함량(97.7%), 동점도(2.41 cSt)로 측정되어 오차율은 각각 0.23, 0.29%로 나타났다. 따라서 폐식용유 원료 바이오디젤 제조공정 최적화 과정에 반응표면분석법 중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적용할 경우 매우 낮은 오차율을 얻을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optimization process was carried out by using the central composite model of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in waste cooking oil based biodiesel production process. The acid value, reaction time, reaction temperature, methanol/oil molar ratio, and catalyst amount were selected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5%의 1급 시약을 사용하였으며, 염기성 촉매로는 수산화칼륨을 사용하였다. 바이오디젤의 제조변수로는 반응시간(40~70 min), 반응온도(40~70 ℃), 메탄올/유지 몰비(6~14), 촉매의 양(0.8~1.4 wt%) 등을 설정하였으며, 제조된 바이오디젤의 성능평가를 위해 fatty acid methyl ester 함량(FAME content)과 동점도(kinematic viscosity)를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반응치, y를 제조된 바이오디젤의 FAME 함량과 동점도, x1 , x2 , x3는 각각 계량인자인 반응시간, 반응온도, 메탄올/유지 몰비로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반응표면분석법 중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이용하여 바이오디젤 제조 공정의 최적화 과정을 진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점유형 분석에서는 높은 반응치를 갖는 점유형을 1, 낮은 반응치를 갖는 것을 -1, 중간값은 0으로 표현한다. 이 반응치를 바탕으로 점유형이 0인 변수는 반응시간 52.5 min, 반응온도 55 ℃, 메탄올/유지 몰비 10으로 경향성의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해 총 6번 반복실험을 진행한다. 또한 점유형 1의 변수는 중간값에서 모두 분산되어 있으며, 반응치에 높은 영향을 끼치는 지점이다.
  • 폐식용유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제조공정에서 제조변수에 따른 영향을 고찰하기 위해 반응시간, 반응온도, 메탄올/유지 몰비, 촉매의 양 등을 변수로 설정하였다. 이들 변수에 따른 제조된 바이오디젤의 FAME 함량과 동점도를 측정함으로써 공정 최적화 방법인 반응표면분석법의 변수범위를 설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바이오디젤 원료로 사용된 폐유의 산가는 KSM ISO 6618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iso-propyl alcohol과 toluene을 1 : 1의 부피비로 혼합한 용액과 유지 20 g, 1% phenolphthalein 5 mL를 혼합한 후, 0.
  • 폐식용유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제조공정에 사용된 폐식용유는 대두유 원료 폐식용유를 사용하였으며, 폐식용유의 산가는 2.02와 2.27 mg KOH/g이다. 또한 전이에스테르화 반응물인 메탄올은 순도 99.

이론/모형

  • 반응표면분석법에서는 실험목적의 달성에 직결된 품질 특성을 나타내는 반응치(response, y), 인자들이 실험 중에 취하는 값 또는 조절조건인 수준(level), 반응치에 영향을 주리라 기대되는 변수인 계량인자(quantitative factor) 및 계수인자(qualitative factor), 주어진 결과값과 인자변화의 관계를 설명하는 수학적 관계인 모델(model), 그리고 계량 인자가 반응치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주효과도(main effect) 및 계량인자가 두 개 이상일 때 인자수준의 조합에서 일어나는 효과를 나타낸 교호효과도(interaction effect) 등을 이용하여 최적화 과정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식용유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제조공정을 반응표면분석법 중 중심합성계획모델(central composite design model, CCD model)을 이용하여 최적화 과정을 수행하였다. CCD 모델은 Figure 1에서와 같이 변수범위의 중간값에서부터 멀어질 때 경향성을 분석하여 큰 점으로 구성되어 있는 블록 안의 모든 결과를 직접 실험을 하지 않고 도출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 이들 변수에 따른 제조된 바이오디젤의 FAME 함량과 동점도를 측정함으로써 공정 최적화 방법인 반응표면분석법의 변수범위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반응치로 설정한 바이오 디젤의 규격은 국내 BD 100 규격을 이용하였으며, FAME 함량은 96.5% 이상, 동점도는 1.9~5.5 cSt의 범위를 만족시키고자 하였다[1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이오디젤의 장점은 무엇인가? 이의 해결책으로 바이오에너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바이오에너지 중 바이오디젤은 식물성 오일과 동물성 지방으로부터 제조한 화석연료의 대체연료로써 비독성, 생분해성 연료라는 장점이 있고, 황과 방향족 탄화수소를 포함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2-3]. 하지만 고가의 정제된 식물성 오일이 바이오디젤 제조의 원료로 사용되어 여전히 바이오디젤의 국제적인 상업화가 어려운 상황이다[4-5].
바이오디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최적화 과정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이의 해결책으로 폐식용유를 원료로 한 바이오디젤의 제조공정의 최적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과 같은 최적화 과정이 필요하다. 반응표면분석법이란 실험 계획법(design of experiment)의 종류 중 하나로 실제 공정의 실험을 바탕으로 경향성을 분석해 회귀방정식을 유도하고 목표값에 최적화 시키는 분석방법이다.
반응표면분석법이란 무엇인가? 이를 위해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과 같은 최적화 과정이 필요하다. 반응표면분석법이란 실험 계획법(design of experiment)의 종류 중 하나로 실제 공정의 실험을 바탕으로 경향성을 분석해 회귀방정식을 유도하고 목표값에 최적화 시키는 분석방법이다. 이는 상호 작용을 독립 변수의 효과 정의뿐만 아니라 변수 사이의 주효과도를 최적화할 수 있어 현재 코팅, 식품, 촉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7-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H. Jaliliannosrati, N. A. S. Amin, A. Talebian-Kiakalaieh, and I. Noshadi, Microwave assisted biodiesel production from Jatropha curcas L. seed by two-step in situ process: Optimization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Bioresour. Technol., 136, 565-573 (2013). 

  2. A. P. S. Dias, J. Puna, J. Gomes, M. J. N. Correia, and J. Bordado, Biodiesel production over lime. Catalytic contributions of bulk phases and surface Ca species formed during reaction, Renew. Energy, 99, 622-630 (2016). 

  3. M. M. Hasan and M. M. Rahman, Performance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biodiesel-diesel blend and environmental and economic impacts of biodiesel production: A review, Renew. Sustain. Energy Rev., 74, 938-948 (2017). 

  4. M. Farooq, A. Ramli, and A. Naeem, Biodiesel production from low FFA waste cooking oil using heterogeneous catalyst derived from chicken bones, Renew. Energy, 76, 362-368 (2015). 

  5. M. Farooq, A. Ramli, and D. Subbarao, Biodiesel production from waste cooking oil using bifunctional heterogeneous solid catalysts, J. Clean. Prod., 59, 131-140 (2013). 

  6. O. Unal, Optimization of shot peening parameter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Surf. Coat. Technol., 305, 99-109 (2016). 

  7. S. Yavari, A. Malakahmad, N. B. Sapari, and S. Yavari, Sorption properties optimization of agricultural wastes-derived biochar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Process Saf. Environ. Prot., 109, 509-519 (2017). 

  8. M. S. Nobandegani, M. R. S. Birjandi, T. Darbandi, M. M. Khalilipour, and D. Mohebbi-Kalhori, An industrial Steam Methane Reformer optimization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Nat. Gas Sci. Eng., 36, 540-549 (2016). 

  9. A. Tgarguifa, S. Abderafi, and T. Bounahmidi, Energetic optimization of Moroccan distillery using simulation an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enew. Sustain. Energy Rev., 75, 415-425 (2017). 

  10. T. Belwal, P. Dhyani, I. D. Bhatt, R. S. Rawal, and V. Pande, Optimization extraction conditions for improving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in Berberis asiatica fruit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Food Chem., 207, 115-124 (2016). 

  11. A. Alberti, A. A. F. Zelinski, D. M. Zardo, I. M. Demiate, A. Nogueira, and L. I. Mafra, Optimisation of the extrac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apple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Food Chem., 149, 151-158 (2014). 

  12. N. Ilaiyaraja, K. R. Likhith, G. R. Sharath Babu, and F. Khanum, Optimisation of extraction of bioactive compounds from Feronia limonia (wood apple) fruit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Food Chem., 173, 348-354 (2015). 

  13. A. A. D'Archivio and M. A. Maggi, Investigation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of the combined effect of pH and composition of water-methanol mixtures on the stability of curcuminoids, Food Chem., 219, 414-418 (2017). 

  14. M. Rahmani, E. Ghasemi, and M. Sasani, Application of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for air assisted-dispersive liquid-liquid microextraction of deoxynivalenol in rice samples prior to HPLC-DAD analysis and comparison with solid phase extraction cleanup, Talanta, 165, 27-32 (2017). 

  15. G. I. Danmaliki, T. A. Saleh, and A. A. Shamsuddeen,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optimization of adsorptive desulfurization on nickel/activated carbon, J. Ind. Eng. Chem., 313, 993-1003 (2017). 

  16. J. Cao, Y. Wu, Y. Jin, P. Yilihan, and W. Hua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pproach for optimization of the removal of chromium (VI) by NH2-MCM-41, J. Taiwan Inst. Chem. Eng., 45, 860-868 (2014). 

  17. L. Wang, X. Dong, H. Jiang, G. Li, and M. Zhang, Preparation of a novel carbon-based solid acid from cassava stillage residue and its use for the esterification of free fatty acids in waste cooking oil, Bioresour. Technol., 158, 392-395 (2014). 

  18. I. K. Hong, H. Jeon, H. Kim, and S. B. Lee, Preparation of waste cooking oil based biodiesel using microwave irradiation energy, J. Ind. Eng. Chem., 42, 107-112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