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외의 교원양성 체제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International Teacher Education Systems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20 no.5, 2017년, pp.49 - 59  

김자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의 변화와 IT의 발달을 고려하여 정보교육에 대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거나, 교육과정을 개편한 나라들의 교원양성 체제를 비교하는 것이다. 독일, 핀란드, 영국, 미국을 대상으로 교원양성 체제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교원양성 기관의 구분이 없고, 부전공을 강조하고 있으며, 교원양성의 경로가 다양하였다. 전문대학원 체제가 발달하였고, 졸업 후 수습기간이 1년 이상이며, 면허를 갱신하는 제도가 시행되고 있었다. 결과에 근거하여 교원 임용 대상을 확대하여 일반대학원 졸업자에 대한 임용 기회를 확대하고, 모든 교원들에게 부전공 수준으로 SW교육을 실시할 필요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원 자질 재평가를 위한 면허 갱신 제도 도입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일본을 포함하여 5개 국가와 한국의 교원양성 체제를 비교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the teacher education system in countries that have reformed, or are in the process of reforming, their informatics education by reflecting ongoing social changes and developments in IT. The teacher education systems in Finland, Germany, Japan, the UK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필수가 된 중학교 정보교과의 교원 수급과 관련하여 해외국가들의 교원양성 체제에 대한 질적, 양적 측면의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특히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중학교의 필수가 된 정보교과의 경우, 교원 확보의 시급성이 거론되고 있기 때문에 교원양성의 큰 틀에서 해외 국가들의 교원양성체제를 논의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을 새롭게 개편했거나, 정보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이 시행되었던 국가들을 대상으로 교원양성 체제를 비교하는 것이다. 특히 독일, 미국, 핀란드, 영국 등의 교원양성 체제를 비교하여 한국의 교원양성 체제에 대해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제공하고자 한다1)
  •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필수가 된 중학교 정보교과의 교원 수급과 관련하여 해외국가들의 교원양성 체제에 대한 질적, 양적 측면의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특히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중학교의 필수가 된 정보교과의 경우, 교원 확보의 시급성이 거론되고 있기 때문에 교원양성의 큰 틀에서 해외 국가들의 교원양성체제를 논의하였다. 단기부터 중기에 걸쳐 양질의 교원을 확보할 수 있는 관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즉, 해당 전공이 있는 단과대학에서 일반 학생들과 동일하게 학점을 이수 한다. 학급 전담교원이 과목 전담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기 위해서이다.
  • 해외의 교원양성 체제를 비교하기 위한 본 연구는 독일, 미국, 핀란드, 영국을 대상으로 교원자격을 위한 획득 과정을 분석하였다. 각 국가별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넷째, 교원의 역량을 고려한 전문대학원 체제의 구축이다. 독일, 핀란드는 교원이 되기 위해서는 대학원 이상의 학력이 요구된다.
  • 둘째, 부전공의 이수에 대한 측면을 강조한다. 교원의 역량 관점에서 학급 전담교원이나 과목 전담교원 모두 부전공을 이수해야 한다.
  • 첫째, 교원양성 기관의 구분이 없다. 학급 전담과 과목 전담교원을 양성하기 위해, 대학이나 기관이 분리되어 있지 않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독일의 교원자격 획득은 어떤 과정으로 나뉘는가? 독일의 교원자격 획득은 단계 과정과 통합 과정의 두 트랙이다[17]. 첫째, 단계 과정은 학부에서 2개 이상의 전공 수업을 일반과정으로 습득하면서 실습을 병행한다.
독일에서 학급 담임교원은 몇 개월로 근무하는가? 학급 담임교원은 12~24개월, 과목 전담교원은 18~24개월을 수습교원으로 근무하며, 전문교육을 받는다. 전문교육은 실습학교에 근무하면서 대학의 연구센터에서 수업과 생활지도를 위한 세미나나 워크숍 등에 참여하는 것이다[18].
개정 교육과정의 효과는 무엇에 의해 결정되는가? 한국은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을 발표하였다[9]. 교육개혁이나 교육과정 개정의 효과는 교원의 자질이나 전문성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수업보조 자료인 교구 중 교원 자신의 인성을 바탕으로 연출하는 수업이 가장 좋은 무기[10]라는 브루너의 진부한 말이 50년을 지나서도 통용되는 것은 교육에서 교원의 역할이 그 만큼 중요하기 때문일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World Economic Forum(2016). The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2016-2017. WEF. 

  2. IMD(2016), World Talent Report 2016. IMD. 

  3. 김자미, 이원규(2017). 2016년에 공표한 일본의 학습지도요령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구성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4), 1-14. 

  4. 文部科學省(2016). 次期學習指導要1等に向けたこれまでの審議のまとめのポイント:2016년 8월 26일 中央敎育審議會, 敎育課程部會資e1, 文部科學省. 

  5. 김자미, 이원규(2014). 브루너의 이론에 근거한 인도의 정보교육과정 고찰.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7(6), 59-69. 

  6. 김자미, 이원규(2014). 영국의 교육과정 개정으로 본 정보교과의 지식과 문제해결력에 대한 쟁점.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3), 54-64. 

  7. K-12 Computer Science Framework Steering Committee(2016). K-12 Computer Science Framework, https://k12cs.org/wp-content/uploads/2016/09/K%E2%80%9312-Computer-Science-Framework.pdf 

  8. Le Figaro, 13 July 2014. 일자 http://www.lefigaro.fr/actualite-france/2014/07/13/01016-20140713ARTFIG00067-les-eleves-de-primaire-apprendront-a-coder-des-septe 

  9.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별책 1(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의 부칙개정). 교육부. 

  10. Bruner, J. S.(1960). The Process of Education. 이홍우 역(1996). 브루너 교육의 과정, 서울 : 배영사 

  11. 키뉴스, 2017년 07월 13일자, 'SW교육 의무화' 앞으로 5개월...전문성.교사 부족 우려, http://www.ki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9064 

  12. 양용칠(2011). 한국과 미국 사범대학 학과구성의 특징 비교. 교사교육연구, 50(3). 92-104. 

  13. 교육부(2016). 초중고교 코딩교육 보도관련[설명자료], 교육부. 

  14. 중앙일보(2016). [사설] 초중고생 코딩교육, 대통령 프로젝트가 어떤가, http://news.joins.com/article/20680291 

  15. 박수정, 박상완, 이인회, 이길재, 박용한 (2015). 교원양성체제 개편방안 연구. 교육부. 

  16. Kul tusministerkonferenz(KMK) (2014) , Standards fur die Lehrerbildung : Bildungswissenschaften. Beschluss der Kultusministekonferenz vom 16. 12. 2004 i. d. F. vom 12. 06. 2014 

  17. Landergemeinsame inhaltliche Anforderungen fur die Fachwissenschaften und Fachdidaktiken in der Lehrerbildung. Beschluss vom 16. 10. 2008 I. d. F. vom 16. 03. 2017 

  18. 김상무(2015), 독일 교원양성교육 개혁 동향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6(4), 31-55. 

  19. OECD(2015). Teachers mater. Attracting, developing and retaining effective teachers. OECD. 

  20. OECD(2015). Teachers mater. Attracting, Developing and Retaining Effective teachers - Final Report : Teachers Matter. OECD. 

  21. 황규호(2003). 미국과 영국의 교사 양성교육 동향 분석. 한국교육, 30(3). 31-57. 

  22. 양용칠(2011). 한국과 미국 사범대학 학과구성의 특징 비교. 교사교육연구, 50(3), 92-104. 

  23. 정도상(2013). 핀란드의 교사양성 및 연수제도 현황과 시사점. 한국교육개발원. 

  24. Darling-Hammond, Linda(2009). Steady Work : How Finland is building a Strong Teaching and Learning System. V.U.E Summer 2009, Annenberg Institute for school Reform. 

  25. Sahlberg, P. (2010). The Secret to Finland's Success: Educating Teachers. Stanford University School of Education. 

  26. TSahlberg, P. (2015). The Professional Educator: Lessons from Finland, by Pasi Sahlberg. https://www.theguardian.com/education/2015/jun/17/highly-trained-respected-and-free-why-finlands-teachers-are-different 

  27. Sahlberg, P.(2011). Paradoxes of educational improvement: The Finnish experience. Scottish Educational Review, 43(1), 3-23. 

  28. 김병찬(2013). 핀란드의 교사양성교육 프로그램의 특성. 비교교육연구, 23(1), 45-79. 

  29. Department for Education(2014). Induction for Newly Qualified Teachers. DfE. 

  30. Department for Education(2013). Teachers' Standards: Guidance for school leaders, school staff and governing bodies. DfE. 

  31. Teacher Training Agency(TTA)(2002). Qualifying to teach: Professional Standards for Qualified Teacher tatus and Requirements for Initial Teacher Training. TTA. 

  32. Training and Development Agency for Schools(TDA)(2008). Professional Standards for Qualified Teacher Status and Requirements for Initial Teacher Training. TDA. 

  33. Department for Education(2016). Induction for newly qualified teachers(England). DfE. 

  34. Department for Education(2016). Standard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DfE. 

  35. Office for Standards in Education(OFSTED)(2015). Initial teacher education inspection handbook. OFSTED 

  36. 김자미, 이원규(2016), 한일간 교사양성제도의 비교 및 현황 분석을 통한 중등 정보교사 양성제도 개선방안.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9(3), 35-53. 

  37. Fin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2016). National Core Curriculum for Basic Education 2014, Fin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