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적산합생맥산(五積散合生脈散)으로 호전된 위식도 역류에 의한 만성기침 환자 3례
Case Study of Three Gastro-esophageal Reflux-induced Chronic Cough Patients Treated with Ojeok-san plus Saengmaek-san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8 no.4, 2017년, pp.520 - 530  

이준환 (한국한의학연구원 임상연구부) ,  방연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임상한의학과 폐계내과학교실) ,  김재효 (경희대학교 대학원 임상한의학과 폐계내과학교실) ,  도하윤 (경희대학교 대학원 임상한의학과 폐계내과학교실) ,  김관일 (경희대학교 대학원 임상한의학과 폐계내과학교실) ,  정희재 (경희대학교 대학원 임상한의학과 폐계내과학교실) ,  이범준 (경희대학교 대학원 임상한의학과 폐계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Gastro-esophageal reflux-induced chronic cough is not easy to diagnose and treat. In this study, three patients diagnosed with this disease were treated with Ojeok-san plus Saengmaek-san. Methods: Three patients with chronic cough, suspected to be gastro-esophageal and reflux-based,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식도 역류에 의한 만성기침으로 의심되는 환자에 대해 전통적으로 소화기 장애를 개선시키는데 빈용된 五積散과 함께 潤肺 작용을 통해 止咳의 효과가 있는 生脈散을 合方한 五積散合生脈散을 투여하여 호전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 위식도 역류에 의한 만성기침으로 의심되는 환자 3례에 있어 五積散合生脈散을 투여하여 만성기침의 중증도나 삶의 질이 호전을 보이며 만성기침의 호전을 나타내었으므로 보고하는 바이다. 향후 腹診에 대한 연구가 더욱 진행되어 만성기침 환자의 원인을 파악하는데 있어 한의학적인 진단도구를 사용하여 더욱 객관적으로 위식도 역류를 판단하는 기준이 마련되었으면 하며, 이를 기반으로 한 만성기침에 대한 임상시험 역시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가설 설정

  • 1) 食 慾: 약간 저하됨.
  • 1) 비내시경 검사 : 점막은 건조한 편이나 이상 소견 없음.
  • 5) 寒 熱 : 추위를 잘 타고 수족냉증이 잘 옴.
  • 8. 가족력 : 특이사항 없음.
  • 9) 汗 出 : 盜汗이 약간 있음.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침의 원인은? 기침이란 호흡기질환에 있어서 대표적인 증상으로 이물질, 분비물 및 점액 등 여러 가지 기도에 있는 물질을 없애기 위해 나타나는 것으로 다양한 원인으로 유발될 수 있다1. 기침은 이환된 기간에 따라 3주 이내의 기침을 급성 기침, 3주에서 8주 이내의 기침을 아급성 기침, 8주 이상의 기침을 만성 기침으로 분류하고 있다.
한의학적인 접근과 치료가 필요한 이유는? 현재까지 위식도 역류 질환에 의한 만성기침의 치료에 있어서는 생활습관의 교정과 함께 약물로는 프로톤펌프억제제(proton pump inhibitor)가 그 치료법으로 사용되어 왔으나10, 만성기침에서 증상 완화의 효과는 있었으나 그 유효성에 있어 여러 논란이 있어 왔으며11, 특히 속쓰림의 증상이 없는 위식도 역류의 경우는 효과가 없다는 보고가 있었다12. 따라서, 현재 위식도 역류에 의한 만성기침의 치료에 있어 더욱 효과적인 치료법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만성 기침에 대한 한의학적인 접근과 치료가 필요하다.
위식도 역류 질환에 의한 만성기침 치료에는 어떤 방법이 사용되어 왔는가? 현재까지 위식도 역류 질환에 의한 만성기침의 치료에 있어서는 생활습관의 교정과 함께 약물로는 프로톤펌프억제제(proton pump inhibitor)가 그 치료법으로 사용되어 왔으나10, 만성기침에서 증상 완화의 효과는 있었으나 그 유효성에 있어 여러 논란이 있어 왔으며11, 특히 속쓰림의 증상이 없는 위식도 역류의 경우는 효과가 없다는 보고가 있었다12. 따라서, 현재 위식도 역류에 의한 만성기침의 치료에 있어 더욱 효과적인 치료법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만성 기침에 대한 한의학적인 접근과 치료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Irwin RS, Madison JM.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cough. N Engl J Med 2000;343(23):1715-21. 

  2. Lee YC. Differential diagnosis and treatment of chronic cough. Korean J Med 2010;79(5):500-3. 

  3. Kim H, Sung MW. Pathophysiology, Causes and Treatment of Chronic Cough in Adults: Literature Review.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5;58(11):744-53. 

  4. Palombini BC, Villanova CAnC, Arau E, Gastal OvL, Alt DC, Stolz DP, et al. A pathogenic triad in chronic cough*: Asthma, postnasal drip syndrome, and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Chest 1999;116(2):279-84. 

  5. Ko YI. Useful approach to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chronic cough. Korean J Med 2010;78(6):674-81. 

  6. Pratter MR. Overview of common causes of chronic cough : ACCP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Chest 2006;129(1_suppl):59S-62S. 

  7. Chang AB, Lasserson TJ, Gaffney J, Connor FL, Garske LA. Gastro-oesophageal reflux treatment for prolonged non-specific cough in children and adult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1;19(1):CD004823. 

  8. Jee YG, Oh HT, Lee KY, Kim KY, Jo SH, Min KY, et al. A prospective study for spectrum and frequency of chronic cough in patient visiting out-patient clinic.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1998;18(2):222-31. 

  9. Irwin RS, French CL, Curley FJ, Zawacki JK, Bennett FM. Chronic cough due to gastroesophageal reflux. Clinical, diagnostic, and pathogenetic aspects. Chest 1993;104(5):1511-7. 

  10. Irwin RS, Baumann MH, Bolser DC, Boulet L-P, Braman SS, Brightling CE, et al.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ough executive summary : Accp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Chest 2006;129(1_suppl):1S-23S. 

  11. Kahrilas PJ, Altman KW, Chang AB, Field SK, Harding SM, Lane AP, et al. Chronic Cough due to Gastroesophageal Reflux in Adults: CHEST Guideline and Expert Panel Report. Chest 2016;150(6):1341-60. 

  12. Shaheen NJ, Crockett SD, Bright SD, Madanick RD, Buckmire R, Couch M, et al. Randomised clinical trial: high dose acid suppression for chronic cough; a double blind, placebo controlled study. Aliment Pharmacol Ther 2011;33(2):225-34. 

  13.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of Respiratory System. Oriental Internal Medicine of Respiratory System. Seoul: Nado; 2010, p. 220-4. 

  14. Lee JG, Yang SY, Oh YS, Lee JW, Lee YK, Park YC. Two cases of chronic cough treated with Pyeongjingeonbi-tang. Daejeon University Oriental Medicine laboratory collection of dissertations 2011;19(2):159-64. 

  15. Han JM. The Study for Assessing Reliability and Validity of Leicester Cough Questionaire Korean Version. Graduate School, Daejeon University 2013. 

  16. Han JM, Jung IC, Kang W, Kim SS, Yeo Y, Park YC. Reliability and validity of Leicester Cough Questionnaire Korean version. Chronic Respiratory Disease 2014;11(3):147-52. 

  17. Jung HK, Hong SJ, Jo YJ, Jeon SW, Cho YK, Lee KJ, et al. Updated guidelines 2012 for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Korean J Gastroenterol 2012;60:195-218. 

  18. Jeon SG, Sohn CI, Kim JE, Park KH, Whang IS, Kim EJ, et al. Prevalence of gastroesophageal reflux in routine check-up subjects. Korean J Med 2000;58(2):145-51. 

  19. Jung JW. The causes of chronic cough: Chronic cough due to extrapulmonary etiologies. Korean J Med 2010;78(6):670-3. 

  20. Saritas Yuksel E, Vaezi MF. Extraesophageal manifestations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cough, asthma, laryngitis, chest pain. Swiss medical weekly 2012;142:w13544. 

  21. Baldi F, Cappiello R, Cavoli C, Ghersi S, Torresan F, Roda E. Proton pump inhibitor treatment of patients with gastroesophageal reflux-related chronic cough: A comparison between two different daily doses of lansoprazole. World J Gastroenterol 2006;12(1):82-8. 

  22. Nam SJ. Park SC, Lee SJ. Extraesophageal Manifestations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Korean J Med 2016;91(3):257-63. 

  23. Vakil N, van Zanten SV, Kahrilas P, Dent J, Jones R; Global Consensus Group. The montreal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a global evidence-based consensus. Am J Gastroenterol 2006;101:1900-20. 

  24. Hwang IJ, Jung HC, Si KD, Yoon JH, Choi JH, Song HY, et al.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in Patients with Unexplained Chronic Cough.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7;13(1):15-20. 

  25. Kim HY, Kim NY, Kim SM, Suh JH, Park YS, Hwang JH, et al. Clinical spectrum and risk factors of erosive and non-erosive GERD in health check-up subjects. Korean J Med 2006;71(5):491-500. 

  26. Sinn DH, Kim JH, Kim S, Son HJ, Kim JJ, Rhee JC, et al. Response rate and predictors of response in a short-term empirical trial of high-dose rabeprazole in patients with globus. Aliment Pharmacol Ther 2008;27(12):1275-81. 

  27. Lee KS, Kim NY, Park RY, Kim CH, Kim HY, Park YS, et al. The role of endoscopy, 24 hour ambulatory esophageal pH monitor and bernstein test for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and its relationship with symptom.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06;70(2):145-56. 

  28. Joh KH, Kita T, Katsutoshita T. Moon SK, Ko CN, Kim YS, et al. An Introduction of Abdominal Palpation Signs in Japanese Oriental Medicine -a New Approach to The Practice of Abdominal Palpation in Korean Oriental Medicine-. J Int Korean Med 1997;18(1):86-96. 

  29. 岡 孝, 松浦 達. 咽喉頭異常感症に對する??治療による漢方?の?果の檢討. ?療. 1989;43(10):1038-40.(14) 

  30. Choi MK, Kim JK. Study on Application of the Herbal Medicines Mentioned in Sanghanron, GeumGweyoryak with Regards to the Abdominal Diagnoses Impressions of Epigastric Fullness and Rigidity.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 2006;20(6):1375-87. 

  31. Yun JY, Yun YG. A Prescriptional Study of Ojeoksan on Clinical Application. Herbal formula science 2012;20(2):153-64. 

  32. Lee SD, Kim EJ, Jung CY, Sin KM, Jang MK, Yun EH, et al. Selection of Adequate Indicators for the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to Evaluate the Effects of Ojeock-san. J Korean Oriental Med 2010;31(4):101-14. 

  33. Lee C, Jin JP. Ui-hag-ib-mun. Seoul: Bubin publishers co; 2009, p. 1319. 

  34. Shin IS, Lee MY, Jeon WY, Kim JC, Shin HK. Ojeok-san, a traditional Korean herbal medicine attenuates airway inflammation and pulmonary fibrosis induced by repeated ovalbumin challenge. J Ethnopharmacol 2013;149(1):281-7. 

  35. Wang A, Chae IS, Maeng HS. Ui-bang-jib-hae. Seoul: Daesung publisher; 1992, p. 361. 

  36. Ko KM. Shengmai san. New York: Taylor & Francis; 2002, p. 136. 

  37. 楊愛武, ?宏升, 張江?, 林志敏, 梁仁佩. 生?散加味對?期肺腺癌患者化療毒副反應及臨床症狀, 生活質量的影響. 現代中西?結合雜志. 2016(33). 

  38. 王玲, 居?提.?買提, 楊衛江. 生?散加味治療結締組織病合?肺間質纖維化. 中國現代?生. 2011(11). 

  39. Kim BJ. Shengmaisan Regulates Pacemaker Potentials in Interstitial Cells of Cajal in Mice. Journal of pharmacopuncture 2013;16(4):36-42. 

  40. Lee MC, Park JR, Shim JH, Ahn TS, Kim BJ. Effects of Traditional Chinese Herbal Medicine Shengmai-San and Pyungwi-San on Gastrointestinal Motility in Mice. J Korean Med Obes Res 2015;15(2):68-74. 

  41. Mahashur A. Chronic dry cough: Diagnostic and management approaches. Lung India : Official Organ of Indian Chest Society 2015;32(1):44-9. 

  42. Boulet L-P, Coeytaux RR, McCrory DC, French CT, Chang AB, Birring SS, et al. Tools for assessing outcomes in studies of chronic cough: Chest guideline and expert panel report. Chest 2015;147(3):804-14. 

  43. Morice A, Fontana G, Belvisi M, Birring S, Chung K, Dicpinigaitis P, et al. ERS guidelines on the assessment of cough. European Respiratory Journal 2007;29(6):1256-76. 

  44. Brightling CE, Monterio W, Green RH, Parker D, Morgan MDL, Wardlaw AJ, et al. Induced sputum and other outcome measures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safety and repeatability. Respiratory Medicine 2001;95(12):999-1002. 

  45. Spinou A, Birring SS. An update on measurement and monitoring of cough: what are the important study endpoints? J Thorac Dis 2014;6(Suppl 7):S728-S3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