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 사회 수학 융합 프로그램이 수학 교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성 분석
Effectiveness of math-social science conjoined program on students' attitudes toward in mathematics 원문보기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v.20 no.3, 2017년, pp.239 - 254  

김형원 (텍사스대학교 리오그란데밸리) ,  고호경 (아주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교 학생의 수학에 대한 가치 인식 및 흥미를 증진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일환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와 같은 교육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단편적 교과 지식의 학습 보다는 융합적인 접근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지식을 적용할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는 주장에 따라 사회와 수학을 융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적용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효과성 검증을 위한 데이터 수집은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 수학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사전 사후 설문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사회 수학 프로그램은 실생활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현상을 수학적 관점에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시도로서, 적용 결과 학생들은 수학 학습 및 사회 학습에 대한 태도, 수학 학습 및 사회 학습 가치 인식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in this paper considers how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and interest in mathematics could be promoted by conjoining the learning of ma thematics with the learning of social science topics. Survey instrument was dev eloped to measure student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and soci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인문사회와 수학을 융합한 프로그램을 사회 수학 프로그램이라 지칭하였으며 이 프로그램에 대하여 수학 교과 및 사회 교과의 정의적 영역 측면 중 교과 태도에서의 효과성을 판단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융합인재교육이 학생들의 바람직한 ‘수학 교과 태도’를 함양하는데 있어서 기여하고자 하며, 사회 교과와 융합함으로써 비판적 사고 함양을 수반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본고에서 적용한 사회 수학 프로그램은 학습과정에서 민주시민으로서 소양을 갖추기 위하여 문제의식을 가지고 당면한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가령, 학생들은 민주주의의 의미를 알고 우리 생활에서 적용하고 있는 선거의 투표 방식에 따라 다양한 결과가 도출되는 상황에 대하여 인지하고 이에 대한 문제 제기를 해보는 경험을 한다.
  •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사회 수학 프로그램이 수학 교과와 사회 교과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회 수학 프로그램을 실험 적용한 후 수학 교과와 사회 교과 태도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사회 수학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점수 차이를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를 에 제시하였다.
  • 이를 통해 향후 융합인재교육이 학생들의 바람직한 ‘수학 교과 태도’를 함양하는데 있어서 기여하고자 하며, 사회 교과와 융합함으로써 비판적 사고 함양을 수반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하여 학생들은 출구 조사 활동을 직접 수행해 보면서 통계 지식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류, 정리하고 기술하며 통계적 분석과 해석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수학 내용을 수학적인 측면에서만 다루는 것이 아니라 사회, 경제 등의 다양한 소재와 관련하여 맥락적인 현상을 포함하여 제시한 것이다. 이를 통해 주어진 수량적 자료로부터 규칙성을 발견하여 미래를 예측하게 함으로써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리도록 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최근 수학 교육계에서는 국제 성취도 비교 연구인 TIMSS(Trends in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나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에서 수학 성취 도가 높은 것과는 대조적으로 정의적 영역의 성취가 낮게 나타나고 있음에 대한 우려와 함께 수학에 대한 가치 인식이나 수학 학습에 대한 즐거움 인식 개선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이미경 외, 2004, 2007; 조지민 외, 2011). 이와 같은 당면 과제에 대한 해결 방안 중 하나로 2011년부터 ‘창의적 융합 인재’ 양성을 위한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비판적 사고는 무엇에 기원을 두고 있는가? 비판적 사고란 Dewey의 반영적 사고에 기원을 두고 있는데(방선희, 2011), 반영적 사고는 지식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요인들에 대한 신념을 목적으로 두기 때문에(Dewey, 1910), 자연발생적으로 발전되기 보다는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한 부분이다(고호경, 2005). 즉, 반영적 사고는 과학적 방법 안에 그 기원을 두고 있으며 무엇보다 관찰과 경험의 세분화된 묘사, 일반적인 설명이 포함된 또한 이를 이론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경험의 분석, 그리고 그 이론을 검증할 수 있는 실험의 단계가 포함되어야 한다(Rodgers, 2002).
우리나라의 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교육은 자주적 생활 능력과 민주 시민으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추게 하여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게 하고, 민주 국가의 발전과 인류 공영의 이상을 실현하는 데 이바지하게 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09, 2011). 이를 위해서는 공공 문제에 대한 합리적 판단과 참여능력의 향상, 비판적 사고 능력의 향상을 위하여 노력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고호경(2005). 수학교육에서 실험 수업의 의의와 특성.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8(1), 77-87. 

  2. 고호경 외(2014). 중.고등학교 융합형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별책부록 II RRM 2014. 

  3. 고황경.김재원(2013). 중학교 미술과와 수학과의 융합인재교육(STEAM) 교수.학습방법 개발 및 적용 연구. 造形敎育, 46, 1-27. 

  4. 교육과학기술부(2009). 2009 개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5. 교육과학기술부(2011). 초 중등학교교육과정총론.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011-361호 [별책]. 

  6. 김권숙, 최선영(2012). 과학 기반 STEAM 프로그램이 초등과학 영재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1(2), 216-226. 

  7. 김명숙, 박정, 김영정, 민찬홍(2002). 사고력 검사 개발연구(II); 비판적 사고력 검사 제작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연구보고 RRE 2002-3. 

  8. 김유경.방정숙(2015). 수학 기반 융합 수업 모형의 가능성 탐색. 초등수학교육, 18(2), 107-122. 

  9. 김윤정(2013). 국어 교육에서의 "비판적 사고" 프로그램의 활용성 연구. 韓民族語文學, 63, 95-124. 

  10. 방선희(2011). 비판적 사고 교육의 국내 연구동향과 시사점. 평생학습사회, 7(1), 61-83. 

  11. 백윤수 외(2012). 융합인재교육(STEAM)실행 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2012-12. 

  12. 서민규(2010). 비판적 사고 교육,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교양교육연구, 4(2), 129-139. 

  13. 윤초희(2016). 국내외 비판적 사고교육 효과연구 고찰. 아시아교육연구, 17(4), 1-35. 

  14. 이광성(2015). 비판적 사고 기능을 활용한 수업이 고급사고력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시민교육연구, 42(3), 123-145. 

  15. 이미경 외(2004). PISA 2003 결과 분석 연구-수학적 소양, 읽기 소양, 과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변인 분석- . 연구보고RRE 2004-2-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6. 이미경 외 (2007). OECD/PISA 평가틀 및 공개 문항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7-24. 

  17. 이민희.임해미(2013). 수학사를 활용한 융합적 프로젝트기반학습(STEAM PBL)의 설계 및 효과 분석. 학교수학, 15(1), 159-177. 

  18. 이근호 외(2013). 2013 교육과정, 교육평가 국제동향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13-97-4. 

  19. 전미숙.박문환(2015).수학 기반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초등수학교육, 18(2), 91-106. 

  20. 정길용(2005). 비판적 사고에 관한 두 가지 접근 : 사회과교육의 목적 정립을 위한 시론. 사회과교육연구, 12(2), 133-157. 

  21. 정윤회.김성준(2013). 융합인재교육을 적용한 초등수학 수업자료 개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4), 745-770. 

  22. 조지민.김수진.이상하.김미영.옥현진.임해미(2011). 2011년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PISS/TIMSS) : TIMSS 2011 본검사 시행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1-4-1. 

  23. 황갑진(2009). 비판적 사고와 사회과 탐구방법. 사회과교육연구, 16(4), 83-99. 

  24. Dewey, J. (1910). How we think. NY: Dover Publications, Inc. 

  25. Hug. J. W., Kim. J., & Shin. N. (1999). Nature-based Critical Thinking Assessment. Annual meeting of the North American Associ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August, 26-30 

  26. Hurst, J. Kinney, M., & Weiss, S(1983). The Decision Marking Process. In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 College and University Faculty Assemble, Theory and Research in Social studies. East Lansing: Michigan State University Press. 

  27. Rodgers. C. (2002). Defining Reflection: Another look at John Dewey and reflective thinking. Teachers College Record. 104(4). 842-86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