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재교육을 위한 수학적 모델링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보로노이 다이어그램과 들로네 삼각분할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gram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based on mathematical modeling : focused on Voronoi diagram and Delaunay triangul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31 no.3, 2017년, pp.257 - 277  

유홍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윤종국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최근 수학적 모델링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보로노이 다이어그램과 들로네 삼각분할을 주제로 영재교육을 위한 수학적 모델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학적 모델링 프로그램을 실제 영재교육 수업에 적용한 결과를 분석하여 수학적 모델링 수업을 설계하는 현직교사와 융합형 영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영재교사에게 도움을 주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divide into two kinds. First, develop the mathematical modeling program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focused on Voronoi diagram and Delaunay triangulation, and then gifted teachers can use it in the class. Voronoi diagram and Delaunay triangulation are Spatial p...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들로네 삼각분할이란 무엇인가? 또, 들로네 삼각분할은 평면 위의 주어진 점들을 삼각형으로 연결할 때 어떤 삼각형의 외접원에도 그 삼각형의 꼭짓점을 제외한 다른 점을 포함하지 않도록 분할하는 방법이다. [그림 Ⅱ-1]의 (a)는 외접원이 세 점 이외의 다른 점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들로네 삼각분할을 만족하는 반면 (b)는 외접원이 세 점 이외의 다른 점을 포함하므로 들로네 삼각분할이 아니다.
CCSSM은 고등학교 과정을 어떻게 구성하였는가? CCSSM(2010)은 NCTM의 과정 규준에 기초하여 수학적으로 우수한 학생에게 기대되는 행동요소로 8가지 수학적 실천을 제시하였는데, 그 중 4번째 항목이 바로 수학적 모델링이다. 또한 고등학교 과정을 6가지 내용규준 즉 수와 양(Number and Quantity), 대수(Algebra), 함수(Functions), 모델링(Modeling), 기하(Geometry), 확률과 통계(Statistics and Probability)로 구성하여 수학적 모델링을 문제해결의 수단이 아닌 하나의 내용요소로 지도하고 있다. 이는 학교교육에서 단순한 교과 중심의 지식 습득을 넘어 수학적 모델링을 통해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강조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은 무엇인가?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은 수학 교과 핵심역량의 함양을 수학과 교육과정의 전 맥락에서 강조했다는 점이다.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경향은 독일, 캐나다, 싱가포르, 호주, 뉴질랜드 등 여러 국가에서 찾아볼 수 있다(교육부,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교육부 (2013).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3-2017). (Ministry of Education(2013). The third gifted education Comprehensive plan(2013-2017)) 

  2.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8]. (Ministry of Education(2013). Mathematics Curriculum.) 

  3. 교육부,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II. (Ministry of Education,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2015). 2015 Revision mathematics curriculums develop research II.) 

  4. 김경란 (2011). 렌줄리(Renzulli)의 3단계 심화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학 영재 수업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Kim, K. R. (2011) A study of a gifted Math class applying Renzulli's enrichment triad model,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5. 김수미 (1993). 중등학교에서의 수학적 모델링에 관한 고찰.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Kim, S. M. (1993). (Consideration of the mathemtical modelling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6. 김진수 (2012). STEAM교육론. 파주, 양서원. (Kim, J. S. (2012). STEAM Education. Paju, Yangsuwon.) 

  7. 김홍희 (2009). 초등수학영재학급 학생의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 관한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Kim, H. H. (2009). Analysis of the Mathematical Modeling Process of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choolers. Master's the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8. 유홍규 (2017). 수학적 모델링에 기반을 둔 영재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보로노이 다이어그램과 들로네 삼각분할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Yu, H. G. (2017).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gram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based on mathematical modeling: focused on Voronoi diagram and Delaunay triangulation.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9. 이신동.이정규.박춘성 (2009). 최신영재교육학개론. 서울: 학지사. (Lee, S. D., Lee, J. K., Park, C. S. (2009). An introduction to Latest Gifted Education. Seoul: Hakji.) 

  10. 장혜원 (2012). 미국의 수학교육과정 규준 CCSSM의 수학적 실천에 대한 고찰.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22(4), 557-580. (Chang, H. W. (2012). Study on the Standards for Mathematical Practice of Common Core States Standards for Mathematic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2(4), 557-580.) 

  11. Blum, W. & Ferri, R. B.(2009). Mathematical Modeling: Can it be taught and learnt. Journal of Mathematical Modeling and Application, 2009, 1(1), 45-58. 

  12. Commom Core State Standards Initiative(CCSSI: 2010). Commom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CCSSM). Washington, DC: National Governors Association Center for Best Practice and the Council of Chief State School Offic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