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물근권세균을 처리한 감귤 잎에서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한 감귤 더뎅이병균의 생장 억제 관찰
Observation of Growth Inhibition of Elsinoe fawcettii on Satsuma Mandarin Leaves Pre-treated with Rhizobacterial Strains b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2 no.1, 2016년, pp.1 - 8  

박재신 (제주대학교 생물산업학부) ,  송민아 (제주대학교 생물산업학부) ,  전용철 (제주대학교 생물산업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감귤 더뎅이병을 일으키는 E. fawcettii에 항균효과가 있는 식물근권세균 B. gladioli MRL408-3, TRH423-3, P. fluorescens THJ609-3, TRH415-2에 의해 감귤 더뎅이병이 감소하였다. 이들 식물근권세균을 전 처리한 Satsuma mandarin 감귤 잎에 감귤 더뎅이병균을 접종한 후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식물근권세균을 전 처리한 잎에서 무처리한 잎에 비해 감귤 더뎅이병의 병반수가 감소되었다. 특히 B. gladioli MRL408-3 균주를 전 처리한 식물에서 감귤 더뎅이병의 병반수가 뚜렷하게 억제되었다.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 결과 식물근권세균을 전 처리한 감귤 잎 표면에서 병원균의 발아율과 발아관의 길이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판 농약인 imibenconazole을 처리한 잎에서 감귤 더뎅이병균의 성장이 가장 뚜렷하게 억제되었는데, 이는 병반수가 가장 적게 형성된 것과 상통한다. 이들 결과를 통하여 식물근권세균에 의해 감귤 잎 표면에서 감귤 더뎅이병균의 발아와 생장이 억제되고 그 결과 감귤 더뎅이병의 발생이 감소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lsinoe fawcettii causing citrus scab was suppressed by rhizobacterial strains such as Burkholderia gladioli MRL408-3, TRH423-3 and Pseudomonas fluorescens THJ609-3, TRH415-2 having antifungal activity. The leaf surface of Satsuma mandarin, which was pre-treated with the rhizobacterial strains, w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선행 연구에서는 식물근권세균을 전 처리한 후 감귤 더뎅이병균을 접종한 감귤 잎에서 감귤 더뎅이병균의 포자수와 발아율이 무처리한 잎보다 감소된다는 것을 형광현미경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Kim 등, 201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물근권세균이 감귤 더뎅이병균의 생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보다 자세하게 알아보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이를 통해 식물근권세균을 전 처리한 감귤 잎에서 감귤 더뎅이병균의 발아율, 발아관 생장 억제 여부 및 식물근권세균과 감귤 더뎅이병균 사이의 상호작용 여부 등을 관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귤 더뎅이병 방제에 이용되는 농약은 무엇인가? fawcettii는 감귤나무의 잎, 가지, 과실을 감염시켜 시장에 판매되는 과실의 가치를 떨어뜨리고 농가의 수입을 감소시킬 수 있는 중요한 병해이다(Hyun 등, 2001; Timmer 등, 1996). 감귤 더뎅이병 방제는 imibenconazole과 트리프록시스토로빈 액상수화제 등과 같은 농약을 사용한 화학적 수단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무분별한 농약 사용은 농약 잔류성, 환경오염, 병해충 저항성 및 인축의 독성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위험을 가지고 있다(Weller, 1988).
감귤 더뎅이병의 원인균은 무엇인가? 제주 감귤포장에서 주로 재배되는 온주밀감에 발병하는 감귤 더뎅이병은 Elsinoe fawcettii에 의해 발생되는 병으로 주 로 5–6월에 발생하기 시작하여 강우량이 많을 때 병 발생이 급증한다. E.
식물근권세균 중 Burkholderia subtilis KB-401이 방제효과를 보이는 병은 무엇인가? 그 외에도 식물근권세균의 항진균 활동에 의한 생물학적 방제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면, Burkholderia subtilis KB-401은 오이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 효과가 보고되었다(Nam 등, 2010). 또한 참다래 꽃썩음병은 식물근권세균인 Streptomyces sp.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e, Y. S., Park, K. S. and Choi, O. H. 2007. Laboratory culture media-dependent biocontrol ablity of Burkholdria gladioli strain B543. Plant Pathol. J. 23: 161-165. 

  2. Beneduzi, A., Ambrosini, A. and Passaglia, L. M. P. 2012.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PGPR): their potential as antagonists and biocontrol agents. Genet. Mol. Biol. 35(4 Suppl): 1044-1051. 

  3. Bolwerk, A., Lagopodi, A. L., Wijfjes, A. H., Lamers, G. E., Chin-A-Woeng, T. F., Lugtenberg, B. J. and Bloemberg, G. V. 2003. Interactions in the tomato rhizosphere of two Pseudomonas biocontrol strains with the phytopathogenic fungus Fusarium oxysporum f. sp. radicis-lycopersici. Mol. Plant Microbe Interact. 16: 983-993. 

  4. Cho, J. I., Cho, J. Y., Park, Y. S., Yang, S. Y. and Heo, B. G. 2007. Selection and identification of actinomyces, and its biological control effect against the bacterial blossom blight infected in kiwifruits. Korean J. Hortic. Sci. Technol. 25: 235-240. 

  5. David, M. W. 1988. Biological control of soilborne plant pathogens in the rhizosphere with bacteria. Annu. Rev. Phytopathol. 26: 379-407. 

  6. de Weert, S., Kuiper, I., Lagendijk, E. L., Lamers, G. E. and Lugtenberg, B. J. 2004. Role of chemotaxis toward fusaric acid in colonization of hyphae of Fusarium oxysporum f. sp. radicis-lycopersici by Pseudomonas fluorescens WCS365. Mol. Plant Microbe Interact. 17: 1185-1191. 

  7. Elad, Y. and Kapat, A. 1999. The role of Trichoderma harzianum protease in the biocontrol of Botrytis cinerea. Eur. J. Plant Pathol. 105: 177-189. 

  8. Hayat, M. A. 1989. Principles and Techniques of Electron Microscopy: Biologacal Applications. 3rd ed. The Macmillan Press, Boca Raton, FL, USA. 1-78 pp. 

  9. Hyun, J. W., Timmer, L. W., Lee, S. C., Yun, S. H., Ko, S. W. and Kim, K. S. 2001. Pathological characterization and molecular analysis of Elsinoe isolates causing scab diseases of citrus in Jeju isolates in Korea. Plant Dis. 85: 1013-1017. 

  10. Kamilova, F., Lamers, G. and Lugtenberg, B. 2008. Biocontrol strain Pseudomonas fluorescens WCS365 inhibits germination of Fusarium oxysporum spores in tomato root exudate as well as subsequent formation of new spores. Environ. Microbiol. 10: 2455-2461. 

  11. Kang, S. Y. and Jeun, Y. C. 2012. Suppression effect of white rot by bacterial isolates from plant rhizosphere in garlic plants. Korean J. Organic Agri. 28: 25-32. (In Korean) 

  12. Kim, S. G., Zakaullah, K., Jeon, Y. H. and Kim, Y. H. 2009. Inhibitory effect of Paenibacillus polymyxa GBR-462 on Phytophthora capsici causing phytophthora blight in chili pepper. J. Phytopathol. 157: 329-337. 

  13. Kim, S. Y., Hyun, J. W. and Jeun, Y. C. 2011. Suppression effect and mechanism of citrus scab in the citrus pre-inoculated with rhizobacterial strains. Res. Plant Dis. 17: 302-310. (In Korean) 

  14. Kim, Y. K., Hong, S. J., Shim, C. K., Kim, M. J., Choi, E. J., Lee, M. H., Park, J. H., Han, E. J., An, N. H. and Jee, H. J. 2012. Functional analysis of Bacillus subtilis isolates and biological control of red pepper powdery mildew using Bacillus subtilis R2-1. Res. Plant Dis. 18: 201-209. (In Korean) 

  15. Kloepper, J. W., Ryu, C. M. and Zhang, S. 2004. Induced systemic resistance and promotion of plant growth by Bacillus spp. Phytopathology 94: 1259-1266. 

  16. Ko, Y. J., Kang, S. Y. and Jeun, Y. C. 2012. Suppression of citrus melanose on the leaves treated with rhizobacterial strains after inoculation with Diaporthe citri. Res. Plant Dis. 18: 331-337. 

  17. Lahlali, R., Peng, G., McGregor, L., Gossen, B. D., Hwang, S. F. and McDonald, M. 2011. Mechanisms of the biofungicide Serenade (Bacillus subtilis QST713) in suppressing clubroot. Biocontrol Sci. Technol. 21: 1351-1362. 

  18. Manjula, K., Krishna Kishore, G., Girish, A. G. and Singh, S. D. 2004. Combined application of Pseudomonas fluorescens and Trichoderma viride has an improved biocontrol activity against stem rot in groundnut. Plant Pathol. J. 20: 75-80. 

  19. Nam, M. H., Choi, J. P., Kim, H. J., Lee, J. J., Lim, K. H., Kim, Y. G., Kim, H. T. and Jeun, Y. C. 2010. Controlling activity of Bacillus subtilis KB-401 against cucumber powdery mildew caused by Sphaerotheca fusca. Korean J. Pestic. Sci. 14: 49-53. 

  20. Park, K. S. 2000. Biological control of vegetable diseases by rhizocbacteria. Korean J. Organic Agri. 6: 93-105. 

  21. Raaijmakers, J. M., Weller, D. M. and Thomashow, L. S. 1997. Frequency of antibiotic-producing Pseudomonas spp. in natural environments. Appl. Environ. Microbiol. 63: 881-887. 

  22. Rangarajan, S., Saleena, L. M., Vasudevan, P. and Nair, S. 2003. Biological suppression of rice disease by Pseudomonas spp. under saline soil conditions. Plant Soil 251: 73-82. 

  23. Raupach, G. S. and Kloepper, J. W. 1998. Mixtures of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enhance biological control of multiple cucumber pathogens. Phytopathology 88: 1158-1164. 

  24. Song, M., Yun, H. Y. and Kim, Y. H. 2014. Antagonistic Bacillus species as a biological control of ginseng root rot caused by Fusarium cf. incarnatum. J. Ginseng Res. 38: 136-145. 

  25. Tian, S. P., Fan, Q., Xu, Y. and Jiang, A. L. 2002. Effects of calcium on biocontrol activity of yeast antagonists against the postharvest fungal pathogen Rhizopus stolonifer. Plant Pathol. 51: 352-358. 

  26. Timmer, L. W., Priest, M., Broadbent, P. and Tan, M.-K. 1996. Morphological and pathological characterization of species of Elsinoe causing scab diseases of citrus. Phytopathology 86: 1032-1038. 

  27. Validov, S. Z., Kamilova, F. and Lugtenberg, B. J. J. 2009. Pseudomonas putida strain PCL1760 controls tomato foot and root rot in stonewool under industrial conditions in a certified greenhouse. Biol. Control 48: 6-11. 

  28. Weller, D. M. 1988. Biological control of soilborn plant pathogens in the rhizosphere with bacteria. Ann. Rev. Phytopathol. 26: 379-407. 

  29. Wisniewski, M., Droby, S., Chalutz, E. and Eilam, Y. 1995. Effects of Ca2+ and Mg2+ on Botrytis cinerea and Penicillium expansum in vitro and on the biocontrol activity of Candida oleophila. Plant Pathol. 44: 1016-1024. 

  30. Yang, J. S., Kang, S. Y. and Jeun Y. J. 2014. Suppression of citrus canker by pretreatment with rhizobacterial strains showing antibacterial activity. Res. Plant Dis. 20: 101-106.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