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돌나물(Sedum sarmentosum)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항산화, 항노화 효과와 수중유적형 크림의 제조
Antibacterial, Antioxidant, and Antiaging Effects of the Ethanol Extract of Dolnamul (Sedum sarmentosum) and the Production of the Oil in Water Cream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3 no.3, 2017년, pp.211 - 221  

김영대 (대전대신고등학교) ,  김영민 (대전대신고등학교) ,  모은경 ((주)대덕바이오 기업부설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돌나물(Sedum sarmentosum)의 기능성과 화장품 소재로서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돌나물을 동결건조하고 분쇄하여 에탄올로 추출한 후 $-20^{\circ}C$ 에 저장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돌나물의 에탄올 추출물(SE) 내에 포함된 총폴리페놀화합물(TPC)의 함량은 $27.98{\pm}0.34g/kg$ (건조중량)이었고, epicatechin ($162.14{\pm}5.07mg/kg$), epigallocatechin ($55.99{\pm}2.49mg/kg$) 및 kaempferol ($47.96{\pm}3.02mg/kg$)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SE는 organic radical 소거효과($78.43{\pm}1.08%$)와 금속이온환원능(FRAP value $2.54{\pm}0.12$)을 나타내었다. 또한 SE는 지질과산화 반응의 초기 단계(FTC assay $62.03{\pm}0.38%$)와 최종단계(TBARS assay $55.36{\pm}2.05%$)를 저해하였다. SE (5 mg/mL 건조중량)는 Propionibacterium acne에 대해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SE의 elastase 저해율은 $38.94{\pm}7.09%$이었고, collagenase 저해율은 $78.94{\pm}2.49%$이었다. SE 처리구는 Col3A1 발현양이 증가하였고 collagen 생성율은 대조구보다 $58.11{\pm}1.07%$ 높았다. 0.5% SE가 함유된 수중유적형 크림은 pH 6.88, 밀도 1.47 g/mL이었고, 다양한 온도($-20-45^{\circ}C$)에 4주간 저장하는 동안 크림은 안정한 유화상태를 유지하였다. 따라서 SE는 항균, 항산화, 항노화 활성을 지닌 것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of Dolnamul (Sedum sarmentosum) as a cosmetic ingredient. Lyophilized sedum powder was extracted with ethanol and stored at $-20^{\circ}C$ for the following experiments. Total polyphenol compounds of th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돌나물이 P. acnes에 대한 항균효과와 항노화효과를 지니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즉, 피부 주름 생성에 주요 역할을 하는 효소인 elastase와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고, fibroblast에서의 콜라겐 생성을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돌나물은 무엇인가? 돌나물은 돈나물, 석상채, 석지갑 등의 다른 이름을 지니고 있는 다년생식물로 우리나라에서는 줄기와 잎을 생식하거나 김치로 담아 먹는 식품으로 사용되고 있고, 북미에서는 정원용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돌나물이 지닌 건강기능성 효과로는 숙취해소 및 간보호효과[14], 항산화효과[15], 혈압강하효과[16], 미백효과[17], 보습효과[18] 등이 알려져 있다.
청소년기의 피지 과잉 분비는 어떤 문제를 일으키는가? 청소년기는 androgen의 분비가 활발해지면서 피지선을 자극하여 피지가 과잉분비된다[1]. 분비된 피지가 모공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면 모공 내로 역류되거나 모공을 막아 염증을 유발하거나 피부를 과각질화시킨다[1]. 이와 같이 모공이 각질화되어 피지와 함께 배출되지 못하면 피부 질환을 유발하는 세균의 번식을 초래한다[1,2]. 즉, 여드름을 유발하는 세균인 Propionibacterium acnes (P. acnes)는 피부에 상재하는데 모낭에서 성장하며 superoxide anion (O2-)을 형성하고 linoleic acid를 분해하여 피부의 방어기능을 약화시킨다[3,4]. 이러한 작용은 염증 반응을 가속화하고 여드름을 악화시킨다[4]. 여드름은 청소년기에 발생하는 피부질환 중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는데, 환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대인관계에 악영향을 주고 심리적인 위축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5].
활성산소가 유발하는 문제는 무엇인가? 자외선 및 공해에 의해 유발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서도 피부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3]. 자외선에 의해 생성된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는 산화력이 매우 높기 때문에 세포막을 구성하는 지질의 과산화를 유발하고, 콜라겐 및 엘라스틴 섬유의 절단 등을 일으켜 피부 노화를 가속시킬 수 있다[8,9]. 인체에는 superoxide dismutase 및 glutathione과 같은 항산화 효소 및 항산화물질이 존재하여 ROS의 공격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기전이 존재한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S. M. Jang and J. D. Kim, A study on the use realities and purchasing behaviors of cosmetics in adolescents, J. Soc. Cosmet. Sci. Korea, 40(1), 55 (2014). 

  2. S. Y. Kim, D. H. Won, and S. N. Park, Antibacterial activity and component analysis of Persicaria perfoliata extract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8(3), 278 (2010). 

  3. D. H. Won, H, A. Gu, H. J. Kim, S. B. Han, J. Park, and S. N. Park,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pimedium koreanum Nakai extract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1(3), 284 (2013). 

  4. M. E. Portillo, S. Corvec, O. Borens, and A. Trampus, Propionibacterium acnes: An understanding pathogen in implant-associated infections, BioMed Res. Int., 2013, 1 (2013). 

  5. J. Kwon, H, Jo, Y. Kim, K. Park, H. Chung, and J. Park, Review of psychiatric adolescent inpatient with dermatologic consultations, Korean J. Psychosomatic Med., 23(1), 20 (2015). 

  6. K. S. Lee, J. C. Lee, K. H. Han, and M. J. Oh,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 of Perilla frutescens Briton var. acuta Kudo on food spoilage or foodborne disease microorganism, Korean Soc. Food Preserv., 6(2), 239 (1999). 

  7. H. S. Kim and Y. J. Lee, Studies on the anti-bacterial,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 of BPH, Korean J. Herbol., 29(5), 45 (2014). 

  8. L. C. Magdalena and Y. A. Tak, Reactive oxygen species, cellular redox systems, and apoptosis, Free Rad. Biol. Med., 48(5), 749 (2010). 

  9. H. Masaki, Role of antioxidants in the skin: anti-aging effects, J. Dermatol. Sci., 58(2), 85 (2010). 

  10. J. H. Michael and E. D. Frederick, An epigenetic perspective on the free radical theory of development, Free Rad. Biol. Med., 43(7), 1023 (2007). 

  11. S. Y. Kim, D. H. Won, M. S. Lim, and S. N. Park, Cellular protective effect and component analysis of Euphorbia humifusa extracts, Korean J. of Pharmacog., 41(4), 264 (2010). 

  12. T. Quan, Z, Qin, W, Xia, Y. Shao, J. J. Voorhees, and G. J. Fisher, Matrix-degrading metalloproteinases in photoaging, J. Inves. Dermatol. Symp. Proceedings, 14, 20 (2009). 

  13. C. K. Phillai and K. S. Phillai, Antioxidants in health, Indian J. Physiol. Pharmacol., 46, 1 (2002). 

  14. C. K. Sung, S. M. Kim, C. J. Oh, S. A. Yang, B. H. Han, and E. K. Mo, Taraxerone enhances alcohol oxidation via increases of alcohol dehyde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activities and gene expressions, Food Chem. Toxicol., 50(7), 2508 (2012). 

  15. E. K. Mo, S. M. Kim, S. A. Yang, C. J. Oh, and C. K. Sung, Assessment of antioxidant capacity of sedum (Sedum sarmentosum) as a valuable natural antioxidant source, Food Sci. Biotechnol., 20(4), 1061 (2011). 

  16. H. C. Oh, D. G. Kang, J. W. Kwon, T. O. Kwon, S. Y. Lee, D. B. Lee, and H. S. Lee, Isolation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flavonoids from Sedum sarmentosum, Biol. Pharm. Bull., 27(12), 2035 (2004). 

  17. G. S. Sim, J. H. Kim, B. C. Lee, D. H. Lee, G. S. Lee, and H. B. Pyo, Inhibitory Effects on Melanin Production in B16 Melanoma Cells of Sedum sarmentosum, Yakhak Hoeji, 52(3), 165 (2008). 

  18. G. S. Sim, J. H. Kim, D. H. Lee, Y. Na, G. S. Lee, and H. B. Pyo, Sedum sarmentosum enhances hyaluronan synthesis in transformed human keratinocytes and increases water content in human skin, J. Soc. Cosmet. Sci. Korea, 33(1), 17 (2007). 

  19. T. S. A. Thring, P. Hili, and D. P. Naughton, Anti-collagenase, anti-elastase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21 plant, BMC Complement, Altern. Med., 9, 27 (2009). 

  20. E. K. Mo, B. H. Han, S. M. Kim, S. A. Yang, S. K. Kang, C. J. Oh, R. Kim, C. G. Kim, H. J. Kang, and C. K. Sung, Identification of D-Friedoolean-13-en-3- one (Taraxerone) as an antioxidant compound from sedum (Sedum sarmentosum), Food Sci. Biotechnol., 21(2), 485 (2012). 

  21. A. Greets, R. Vrijsen, J. Rauterberg, A. Burt, P. Schellinck, and E. Wisse, In vitro differentiation of fat-storing cells parallels marked increase of collagen synthesis and secretion, J. Hepatol., 9(1), 59 (1989). 

  22. G. S. Spanos and R. E. Wrolstad, Influence of processing and storage on the phenolic composition of Thompson seedless grape juice, J. Agric. Food Chem., 38(7), 1565 (1990). 

  23. I. K. Bae, H. M. Ham, M. H. Jeong, D. H. Kim, and H. J. Kim,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15 phenolic compounds and caffeine in teas and mate using RP-HPLC/UV detection: Method development and optimization of extraction process, Food Chem., 172, 469 (2015). 

  24. E. K. Mo, H. H. Kim, S. M. Kim, H. H. Cho, and C. K. Sung, Production of sedum extract adding jelly and assessment of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6), 619 (2007). 

  25. H. J. Kim, H. N. Jang, J. Y. Bae, and S. N. Park, A study on the stability of the cream containing Glycyrrhiza uralensis extract, J. Soc. Cosmet. Sci. Korea, 39(2), 117 (2013). 

  26. J. Y. Kim and S. N. Park, A study on the stability and moisturizing effect for the cream containing Castanea crenata leaf extract, J. Soc. Cosmet. Sci. Korea, 35(4), 301 (2009). 

  27. K. T. Seo, Y. C. No, and H. C. Kim, Cosmetic manufacturing, 88, Hakyeonsa, Seoul (2013). 

  28. J. Tabart, C. Keverx, J. Pincemail, J. O. Defraigne, and J. Dommes, Comparative antioxidant capacities of phenolic compounds measured by various tests, Food Chem., 113(4), 1226 (2009). 

  29. E. Niki, Assessment of antioxidant capacity in vitro and in vivo, Free Radic. Biol. Med., 49(4), 503 (2010). 

  30. L. S. Lee, S. J. Kim, Y. B. Kim, and Y. C. Kim, Quantitative analysis of major constituents in green tea with different plucking period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Molecules, 19, 9173 (2014). 

  31. A. Oikarinen, Connective tissue and aging, Int. J. Cosmet. Sci., 26(2), 107 (2004). 

  32. P. K. Mays, J. E. Bishop, and G. J. Laurent, Age-related changes in the proportion of types I and III collagen, Mech. Ageing Dev., 45(3), 203 (1988). 

  33. Y. Murakami, H. Adachi, T. Sakaida, H. Tanaka, Y. Yashior, and S. Nakata, The reduction mechanism of the type III/I collagen ratio with aging: Age-related change in meprin, a type III collagen propeptide cleavage enzyme, J. Soc. Cosmet. Chem. Japan, 47(4), 278 (2013). 

  34. D. Glass, A. Vinuela, M. N. Davies, A. Ramasamy, and T. D. Spector, Gene expression changes with age in skin, adipose tissue, blood and brain, Genome Biol., 14, R75 (2013). 

  35. Y. Baohua and L. Li, Effects of SIRT6 silencing on collagen metabolism in human dermal fibroblasts, Cell Biol. Int., 36(1), 105 (2012). 

  36. S. J. Choi, S. Kim, Y. Jeong, C. S. Ku, B. Ha, and H. J. Chae, Stability evaluation of the cosmetics containing lotus leaf extract, Korean Soc. Biotechnol. Bioeng. J., 26, 83 (2011). 

  37. H. W. Kim, Manufacturing and application of natural surfactants for cosmetics, J. Adhesion Interface, 14(4), 197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