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남미 안데스 원산인 야콘을 대상으로 국내 주요 재배지의 적응성을 평가하고자 2010년부터 2013년까지 4년동안 8 지역을 대상으로 토양환경, 기상환경, 생육 및 수량 특성을 비교하였다.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야콘 주요 재배 8지역의 토양 pH 범위는 5.3~6.9로써 약산성이었고, EC는 0.3~0.9 dS/m의 범위를 나타내어 염류집적이 거의 없는 야콘 생육에 적합한 토성이었다. 2. 야콘의 덩이뿌리 최성기~증가기(9~10월)의 최고온도는 진부, 봉화, 철원, 강릉 지역이 $17.5{\sim}24.6^{\circ}C$를 나타내어 덩이뿌리 생육에 적정온도 범위를 보였으나, 대관령의 온도는 $15.0{\sim}20.0^{\circ}C$로 적정온도($18{\sim}25^{\circ}C$)보다 낮았으며, 순천, 옥천, 여주$20.0{\sim}27.1^{\circ}C$로 적정온도보다 높았다. 3. 야콘의 생산성을 지역별로 비교하였을 때, 진부지역이 총수량과 상품수량이 각각 4,065, 3,196 kg/10a로 다른 지역보다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봉화, 철원 순이었다. 4. 야콘 덩이뿌리의 당함량을 분석한 결과, 프럭토스 0.11~0.20%, 글루코스 0.11~0.37%, 수크로스 0.39~0.68%, 환원당 0.07~0.37%, 프락토올리고당이 7.03~9.62%이 함유되어 있었다. 진부지역이 기능성 물질인 프락토올리고당 함량이 가장 높았다. 5. 야콘의 국내 적응성을 평가한 결과, 생육온도인 $18{\sim}25^{\circ}C$인 준고랭지 지역(500-560 m)인 진부 및 봉화에서 가장 안정적인 생산성을 나타내어 기상환경이 야콘의 덩이뿌리 생육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구명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vrionmental factors on the ecological responses, yield, and quality propertie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yacon cultivated in various regions of Korea.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eight regions from 2010 to 2013. The temp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야콘은 남미 안데스의 아열대로부터 온대지방까지 재배가 가능한 광지역 적응성 작물로서 많은 연구가 전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 적응성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아 재배지역별 생산성 및 기능성 성분 분석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야콘의 지역별 생산성과 기능성 물질인 프락토올리고당의 함량 변화를 바탕으로 적응성 검토 및 안정적 재배 지대를 설정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주요 재배지역별 야콘의 생산성 및 생리적 특성을 평가하고자 2010년부터 2013년까지 8개 지역에서 수행하였다. 묘의 균일성을 유지하고자 야콘 관아(crown bud)를 유리온실내에서 3월 상순(3월 1~10일)에 파종하고 온도를 20~25°C로 유지하면서 30일 동안 싹을 틔웠다.
  • 본 연구는 남미 안데스 원산인 야콘을 대상으로 국내 주요 재배지의 적응성을 평가하고자 2010년부터 2013년까지 4년동안 8 지역을 대상으로 토양환경, 기상환경, 생육 및 수량 특성을 비교하였다.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도별 야콘의 재배면적과 재배농가 수는? 우리나라에는 1985년 다끼 종묘회사를 거쳐 도입되어, 1986년과 1987년 농촌진흥청 시험연구를 통해 강원, 충북 및 경북의 농가에 보급되었다. 야콘의 재배면적과 재배농가 수는 1999년 8 ha, 10여 농가에서 2009년에는 166 ha, 447농가로 각각 20배, 45배로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면적 200 ha, 500여 농가로 추정되고 있다(Kim et al., 2011; Kim et al.
야콘이란? ] H. Robinson) 은 국화과에 속하며 Robinson (1978)과 Wells (1967)에 의해 Smallanthus속으로 재분류되었고(Hermann & Heller, 1997), 안데스 산맥 해발 2,000 m 고산지대가 원산지로 잉카제국 (1438~1533) 시대부터 재배되어 왔다(Brako & Zarucchi, 1993). 우리나라에는 1985년 다끼 종묘회사를 거쳐 도입되어, 1986년과 1987년 농촌진흥청 시험연구를 통해 강원, 충북 및 경북의 농가에 보급되었다.
야콘은 우리나라에 어떻게 도입되었는가? Robinson) 은 국화과에 속하며 Robinson (1978)과 Wells (1967)에 의해 Smallanthus속으로 재분류되었고(Hermann & Heller, 1997), 안데스 산맥 해발 2,000 m 고산지대가 원산지로 잉카제국 (1438~1533) 시대부터 재배되어 왔다(Brako & Zarucchi, 1993). 우리나라에는 1985년 다끼 종묘회사를 거쳐 도입되어, 1986년과 1987년 농촌진흥청 시험연구를 통해 강원, 충북 및 경북의 농가에 보급되었다. 야콘의 재배면적과 재배농가 수는 1999년 8 ha, 10여 농가에서 2009년에는 166 ha, 447농가로 각각 20배, 45배로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면적 200 ha, 500여 농가로 추정되고 있다(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sami, T., M. Kubota, K. Minamisawa, and T. Tsukihashi. 1989. Chemical composition of yacon, a new root crop from the Andean highlands. Jpn. J. Soil Sci. Plant Nutr. 60 : 122-126 (in Japanese). 

  2. Aybar, M. J., A. N. Sanchez Riera, A. Grau, and S. S. Sanchez. 2001. Hypoglycemic effect of the water extract of Smallantus sonchifolius (yacon) leaves in normal and diabetic rats. J. Ethnopharmacol. 74 : 125-132. 

  3. Brako, L. and J. Zarucchi. 1993. Catalogue of the flowering plants and gymnosperms of Peru. Monographs in Systematic Botany from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45: I-XI: p. 1286. 

  4. Bredemann, G. 1948. Uber Polymnia sonchifolia Poepp. and Endl. (Polymnia edulis Wedd.), die Yacon. Erdbirne. Botan. Pecin (About Polymnia sonchifolia Poepp. & Endl. Polymnia edulis Wedd. the yacon. Bot. Oecon), (Hamburg) 1 : 65-85 (in German). 

  5. Cho, D. H. and K. Heo. 1996. Effect of different fertilizer application on the dry matter production and leaf photosynthetic of yacon. Korean J. Plant Res. 9 : 274-278 (in Korean). 

  6. Choi, H. D., H. C. Lee, S. S. Kim, Y. S. Kim, H. T. Lim, and G. H. Ryu. 2008. Nutrient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ew domestic potao cultivars. Korea J. Food Sci. Tehnol. 40 : 382-388 (in Korean). 

  7. Doo, H.S., J.H. Ryu, K.S. Lee, and S.Y. Choi. 2001. Effect of plant density on growth responses and yield in yacon. Korean J. Crop Sci. 46 : 407-410. (in Korean) 

  8. Fernandez, C. E., J. Michl, and H. Lipavska. 1997. Determination of saccharides content in different ecotypes of yacon (Polymnia sonchifolia) cultivated under conditions of the Czech Republic. Agricultura Tropica et Subtropica, 30 : 79-87. 

  9. Franco, P. S. and C. J. Rodriguez. 1997. Caracterizacion y evaluacion del germoplasma de llacon (Polymnia sonchifolia Poepp. and Endl.) del INIA en el valle de Cajamarca. IX Congreso Internacional de Cultivos Andinos: Libro de resumenes, 22-25 de abril 1997. Universidad Nacional de San Antonio Abad del Cusco (UNSAAC), Centro de Investigacion en Cultivos Andinos (CICA), Asociacion ARARIWA, Cusco, Peru p. 55. 

  10. Fujno, M., T. Nakanishi, J. Ishihara, S. Ono, Y. Doi, M. Sujura, and K. Tomioka. 2008. New yacon cultivars, 'Andes no Yuki' and 'Salad Okame'. Bulletin of the National Agricultural Research Center for Western Region. pp. 131-143. 

  11. Goto, K., K. Fukai, J. Hikida, F. Nanjo, and Y. Hara. 1995. Isolation and structural analysis of oligosaccharides from yacon (Polymnia sonchifolia). Biosci. Biotech. Biochem. 59 : 2346-2347. 

  12. Graefe, S. 2002. Post-harvest compositional changes of yacon roots (Smallanthus sonchifolius Poepp. and Endl.) as affected by storage conditions and cultivar. MS thesis, University of Kassel, Germany p. 63. 

  13. Grau, A. and J. Rea. 1997. Yacon, Smallanthus sonchifolius (Poepp. and Endl.) H. Robinson. In: Hermann M. and J. Heller (eds.): Andean roots and tubers: Ahipa, arracacha, maca and yacon. Promoting the conservation and use of underutilized and neglected crops. 21. Institute of Plant Genetics and Crop Plant Research. Gatersieben/ International Plant Genetic Resources Institute. Rome, Italy pp. 199-242. 

  14. Havrland, B. and P. Kapila. 2002: Agricultural Technology Management Program 'AGRO-EXPERT'. Agric. Trop. Subtrop. pp. 3-14. 

  15. Hermann, M. and J. Heller. 1997. Andean roots and tuber: Ahipa, arracacha, maca and yacon. International Plant Genetic Resources Institute, Peru, pp. 199-242. 

  16. Hur, B.K., N.H. Choung, Z.H. Kim, O.J. Oh, S.G. Son, and D.Y. Kang. 2007. Effects of various composts and NPK Fertilizers application to the yacon (Polymnia sonchifolia) growth.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5 : 17-20. 

  17. Instituto Nacional de Estadiistica (INE). 2016. http://www.ine.gov.bo 

  18. International Potato Center (CIP). 2016. http://cipotato.org 

  19. Itaya, N.M., M.A.M. De Carvalho, and R.D.L. Figueiredo-Ribeiro. 2002. Fructosyl transferase and hydrolase actinities in rhizophores and tuberous roots upon growth of Polymnia sonchifolia (Asteraceue). Physiol. Plant, 116 : 451-459. 

  20. Jeong, B.C. 2003. Development of early spring production system in sweetpotato by using polyethylene film mulching. Ph.D. Thesis of Mokpo National University, Korea. 

  21. Kim, S. J., H. M. Cho, J. C. Jeong, J. Y. Choi, Y. H. Yoon, and D.C. Chang. 2011. Yacon Story. Dongwoosa. Pyengchang, Korea. pp. 10-50 (in Korean). 

  22. Kim, S. J., Y. I. Jin, J. H. Nam, S. Y. Hong, D. C. Chang, Y. H. Yoon, H. M. Cho, and J. C. Jeong. 2012. Domestic and overseas status and future trends of yacon production. Korean J. Intl. Agri. 24 : 417-424. 

  23. Kim, S. J., Y. I. Jin, J. H. Nam, S. Y. Hong, W. B. Sohn, O. K. Kwon, D. C. Chang, H. M. Cho, and J. C. Jeong. 2013a. Comparison of nutrient composition of yacon germplasm. Korean J. Plant Res. 26 : 9-18. 

  24. Kim, S. J., O. K. Kwon, S. Y. Hong, J. H. Nam, H. B. Sohn, Y. I. Jin, D. C. Chang, and H. M. Cho. 2013b.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fructooligosaccharides in yacon (Samallanthus sonchifolius) Korean J. Intl. Agri. 25 : 284-289. 

  25. Kim, S. J., W. B. Sohn, S. Y. Hong, J. H. Nam, D. C. Chang, K. D. Kim, J. T. Suh, B. C. Koo, and Y. H. Kim. 2017.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the classification of yacon cultivation areas in Korea. Korean J. Crop Sci. 62 : 149-155. 

  26. Kim, A. R., J. J. Lee, Y. M. Lee, H. O. Jung, and M. Y. Lee. 2010. Cholesterolowering and anti-obesity effects of Polymina sonchifolia Poepp. & Endl. powder in rats fed a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 210-218. 

  27.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 2005. Food Standard Cod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p. 367-385 (in Korean). 

  28. Lee, S. H., H. J. Park, and S. M. Cho. 2004. Analysis of dietary fibers and its biofunctional effect. Korean J. Crop Sci. 49 : 23-30. 

  29.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NAAS). 2000. The standard method of soil and plant analysis.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pp. 29-134. (in Korean) 

  30. National Climate Data Service System (NCDSS). 2016. http://sts.kma.go.kr. (in Korean) 

  31.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1989. Yacon. In: Lost crops of the Incas: Little-known plants of the Andes with promise for worldwide cultivation.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pp. 114-147. 

  32. Pedreschi, R., D. Campos, G. Noratto, R. Chirinos, and L. Cisneros-Zevallos. 2003. Andean yacon root (Smallanthus sonchifolius Poepp. and Endl.) fructooligosaccharides as a potential novel source of prebiotics. J. Agri. Food Chem. 51 : 5278-5284. 

  33. Robinson, H. 1978. Studies in the Heliantheae (Asteraceae). XII. Re-establishment of the genus Smallanthus. Phytologia 39 : 47-53. 

  3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02. New plant resources. Standard farming handbook-122 Yac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p. 217-241 (in Korean). 

  3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2. Research analysis standard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p. 483-489 (in Korean). 

  36. Seminario, J., M. Valderrama, and A. Seminario. 2002. Prueba de rendimiento de dos morfotipos de yacon (Smallanthus sonchifolius Poepp. and Endl.) H. Robinson, propagados por esqueje y cepas. Caxamarca. 10 : 99-108. 

  37. Tsukihashi, T., T. Yoshida, M. Miyamoto, and N. Suzuki. 1989. Studies on the cultivation of yacon. I. Influence of different planting densities on the tuber yield. Japan J. Farm Work Res. 24 : 32-38. 

  38. Tsukihashi, T. 1999. Miraculous health vegetables Yakon -breaking blood vessels and intestines to break the origin of all sorts of diseases. Kodomo books. pp. 10-188 (in Japanese). 

  39. Tsukibashi, T. and Kunio Nakanishi. 2004. Yacon - health effects and cultivation . processing . cuisine.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Technology Information Association. pp. 5-151 (in Japanese). 

  40. Wells, J.R. 1967. A new species of Polymnia (Compositae): Heliantheae from Mexico. Brittonia 19 : 391-39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