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 보건교사 DACUM 직무분석
Job Analysis of School Health Teachers Working at High School using DACUM Technique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29 no.3, 2016년, pp.167 - 179  

조경숙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job of school health teachers working at high schools in Seoul, using DACUM (Developing a curriculum), a method for analyzing job-focused competency. Methods: A DACUM workshop was held to define school health teachers' role and identify their dutie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등학교 보건교사가 수행하는 직무의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를 조사한다.
  • 본 연구는 DACUM기법으로 고등학교 보건교사의 직무를 기술하고, 중요한 임무와 작업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다양한 연구방법을 적용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보건교사의 직무분석을 위해 DACUM 워크숍을 이용하여 임무와 작업을 도출하고, 전문가 검토와 설문지를 이용하여 도출된 임무와 작업에 대한 타당성을 조사하였으며, 임무와 작업의 중요도, 난이도, 빈도를 확인하기 위해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 본 연구는 서울시 고등학교 보건교사의 직무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보건교사의 직무를 파악하는데 문헌고찰이 아니라, 그 분야의 직무에 대해 가장 잘 알고 있는 숙련된 직무 수행자가 그 직무에 대한 실제 내용 전문가이며, 직무수행에 요구되는 역량을 가장 잘 기술할 수 있다는 근거로[14], 현장전문가들이 패널로 참여하여 현장에서 필요한 실무 중심의 분석을 할 수 있는 DACUM 방법을 사용하여 보건교사의 직무에 대한 분석을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방법으로 시행하고자 한다. DACUM 방법을 정확하게 적용하여 보건교사의 직무분석을 수행할 경우 보다 정확하고 타당한 결과를 도출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학교구성원들의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보건 교사의 직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DACUM 방법을 이용하여 보건교사들의 직무를 규명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DACUM 기법을 사용하여 고등학교 현장에서 보건교사로 근무하는 보건교사들을 DACUM 전문가위원으로 구성하여 직무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현재 실무를 반영한 보건교사의 직무를 재정립하고자 한다.
  •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와는 다르게 보건교사의 직무를 임상전문가인 보건교사가 직접 분석에 참여하여 나온 결과를 제시하였고, 건강증진, 보건교육 등 확대되고 있는 보건교사의 임무를 별도로 도출하여 현장을 잘 반영하는 보건 교사의 직무를 제시하였다고 하겠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보건교사의 직무규명을 위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보건교사의 업무에 대한 권한이나 책임의 한계를 명확히 밝혀주는 것은 물론 보건교사의 직무기술서 작성과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교사의 직무는 무엇인가? 보건교사들은 14개의 임무와 90개의 작업을 수행하고 있어 상대 적으로 넓은 직무범위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 도출된 14개의 임무를 결정계수 순으로 열거하면 ‘응급 환자관리’, ‘보건수업’, ‘감염병 관리’, ‘요보호학생 건강관리’, ‘방문학생 건강관리’, ‘보건교육’, ‘학생 정서행동특성 검사업무’ ‘자기계발’ ‘학생건강검사’, ‘학교보건행정업무’, ‘폭력예방교육’, ‘학교 흡연예방 교육사업’, ‘학교생활지도’, ‘보건실 물품관리’ 순이었다. 보건교사들의 업무는 보건교육, 건강상담, 건강증진 활동 등의 예방적 활동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신종 감염병의 출현뿐만 아니라 비만, 우울 및 자살, 흡연 및 약물 오남용, 성폭력 및학교폭력, 게임 중독과 같은 아동·청소년의 건강문제도 심각한 건강문제로 떠오르고 있다[3]. 특히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은 가장 왕성한 성장기에 입시공부라는 불건강요인 때문에 불규칙한 식습관, 운동부족 및 수면부족 등으로 건강을 훼손당 하고 있고, 특히 청소년의 성문제, 흡연, 음주, 약물 오남용, 비만, 운동부족, 스트레스로 인한 건강문제로 인해 학생들의 건강한 생활양식 실천과 유지를 위한 보건교육의 중요성이 강조 되고 있다[4]. 2016 서울시교육청 학교보건 및 학생건강증진 계획[5]에 의하면 성장기 학생들의 건강한 성장·발달을 지원 하는 질병의 치료와 예방, 음주, 흡연과 약물 오·남용의 예방, 성교육, 정신건강증진, 안전사고로 인한 응급처치, 감염병 예방 등 건강문제와 관련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관리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학교보건이란 무엇인가? 학교보건이란 학생과 교직원이 건강하고 안전하게 생활할수 있도록 그들의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보호·유지·증진함을 목적으로 하는 공중보건의 한 분야[1]로서 현행 ‘학교보건법’에서 학교보건의 정의는 학교의 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여 학생과 교직원의 건강을 보호·증진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9학급 이상인 중·고등학교는 학생과 교직원의 건강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학교의사, 학교약사를 둘 수 있으며 모든 학교는 모든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에 관한 교육을 포함한 체계적인 보건교육과 학생들의 건강관 리를 담당하는 보건교사를 두도록 규정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Park IH, Ko JE, An OH, Kim HG, Yang SJ, Chung EN, et al. Community health nursing II. Seoul: Hyunmoonsa; 2016. p. 147-149. 

  2.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School Health Act No. 14055, 2016. 3. 2. amendment [Internet]. Seoul: Author; 2016 [cited 2016 Nov 25].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81396&efYd20160903#0000. 

  3. Yi CR, Song HD. DACUM job analysis on elementary health teachers' roles.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014;25(3):187-197. http://dx.doi.org/10.12799/jkachn.2014.25.3.187 

  4. Yun SN, Kim YI, Choi JM, Cho HS, Kim YH, Park YN, et al. Needs of health education of students, parents, and general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04;17(2):151-160. 

  5.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2016 Plan for school health education and students' health promotion [Internet]. Seoul: Author; 2016 [cited 2016 Nov 29]. Available from: http://sen.go.kr/web/services/bbs/bbsView.action?bbsBean.bbsCd62&bbsBean.bbsSeq210 

  6. Yang SO, Kwon MS, Jeong GH, Lee SH. A study on the awareness of importance, performance level, and perceived competence level of school health promotion program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9;20(1):96-104. 

  7. Kang IS, Cho SY, Jung HJ. Factors affecting job stress of school nurses in secondary schoo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0;23:286-295. 

  8. Park KS, Bae, EK. A delphi study of developing competency model for korean health teach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2;25(1):1-13. 

  9. Park HJ, Cho HJ, Yi CR, Park YJ, Kim HW. Job analysis for improvement of school health. CR.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08 December. Report No.: CR2008-70-03. 

  10. Kim HP, Kim YY, Kim HS. Job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sed on the DACUM method.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2006;26(1):55-77. 

  11. Im MY, Lee SY. Job analysis of school health teachers in Korea-based on DACUM job analysi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4;28(3):619-632. http://dx.doi.org/10.5932/JKPHN.2014.28.3.619 

  12. Han SK, Park JS. Study on how to improve the job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Career Education Research. 2005;18(2):20-40. 

  13. Norton RE, Moser J. DACUM handbook. 4th ed. Columbus OH: Center on Education and Training for Employment, The Ohio State University; 2013. p. 12-38. 

  14. Norton RE. DACUM handbook. 2nd ed. Columbus OH: Center on Education and Training for Employment, The Ohio State University; 1997. p. 314. 

  15. Cho KS, Kang HS, Kim JH, Son HM, Han HJ, Sung YH, et al. Job description of the nurses working in outpatient department by DACUM techniqu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8;14(2):31-45. 

  16. Kang, HS, Son HM, Lim NY, Cho KS, Kwon SB, Yi YJ, et al. Job description of the nurses who work in operating room using DACUM techniqu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2008;15(4):566-577. 

  17. Kim PO. DACUM handbook. Institute of Research in Technology Education. Daejeon: Chungnam University publisher; 2006. p. 22-31. 

  18.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Presidental Decree for School Health Act No. 27457, 2016. 8. 29. amendment [Internet]. Seoul: Author; 2016 [cited 2016 Nov 25].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85735&efYd20160903#0000 

  19.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2016 Strategic Directions for teacher training [Internet]. Seoul: Author; 2016 [cited 2016 October 26, 2016] Available from: http://sen.go.kr/view/jsp/search/search.jsp?q%BA% 

  20. Kim YS, Ha YM, Park HJ, Jung HS, Kwon EH. Survey on current state and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school health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Education and Culture Research. 2011;17(3):353-374. 

  21. Oh JA, Kwon JO. Job identity and job stress on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0;21(3):341-350. 

  22. Shin DH. Analysis of determinants for the job competence demonstration degree of non-curriculum based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dissertation]. Choonchu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13. p. 6-86. 

  23. Yeo SY.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improvement plans of performance based pay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11. p. 51-56. 

  24. Kwon JO. The Process of elementary health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n approach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dissertation]. Busan: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4. p. 1-123. 

  25. Hong CN. The empirical analysis on the possibility of the improvement of teacher efficacy.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006;24(4):161-186. 

  26. Yi CR. Development of job competency-based curriculum for elementary health teachers' training [dissertation]. Seoul: Chung-Ang University; 2015. p. 98-18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