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점토 미술 프로그램과 그림그리기 미술 프로그램이 요양병원 노인 환자의 자기표현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비교
Effects of Clay and Drawing Art Program on Self-expression and Depression in Elderly Patients at a Long-term Care Hospital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8 no.2, 2017년, pp.196 - 205  

김동희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배영실 (춘해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김상호 (부산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rt program has been found to enhance mood such as increasing motivation, self-expression and decreasing depression in older adul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lay art and drawing on depression and self-expression among elderly people at a long-term care cen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요양병원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점토 미술 프로그램과 그림그리기 미술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기표현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한 후, 요양병원 노인 환자에게 가장 적절하고 효과적인 중재방안을 제시하여 활성화시키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또한 요양병원 노인 환자의 정서적인 안정 및 건강증진을 위한 적합한 프로그램을 권장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자료를 간호학적 관점에서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2곳의 요양병원에 입원한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점토 미술 프로그램과 그림그리기 미술 프로그램을 10회기, 5주간 적용 한 후 자기표현과 우울 정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점토 미술 프로그램이 제공된 실험군은 중재 전보다 중재 후 우울 점수는 낮았고, 그림그리기 미술 프로그램이 제공된 비교군도 중재 전보다 중재 후 우울 점수가 낮았으나 두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 본 연구는 요양병원 노인 환자에게 실험군인 점토 미술 프로그램과 비교군인 그림그리기 미술 프로그램을 각각 적용한 후그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비동등성 전, 후 유사실험설계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노인 환자를 위해 점토 미술 프로그램과 그림그리기 미술 프로그램을 5주간 적용한 후 자기표현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요양병원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점토 미술 프로그램과 그림그리기 미술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기표현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한 후, 요양병원 노인 환자에게 가장 적절하고 효과적인 중재방안을 제시하여 활성화시키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또한 요양병원 노인 환자의 정서적인 안정 및 건강증진을 위한 적합한 프로그램을 권장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자료를 간호학적 관점에서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가설 설정

  • 가설 1: 점토 미술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그림그리기 미술 프로그램을 적용한 비교군은 중재 전, 후 자기표현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점토 미술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그림그리기 미술 프로그램을 적용한 비교군은 중재 전, 후 우울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양병원에서 노인환자들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 중 미술 프로그램은 어떤 장점이 있는가? 미술 프로그램은 비언어적인 자기표현을 증진시키고, 자신의 내면을 외부로 드러내어 우울과 정서적 위기의 저변에 깔려있는 부정적 감정을 표출시킴으로써 자신의 복잡한 정서를 상징적으로 표현하는데 효과적이다[8]. 더불어 미술 프로그램은 미술에 대한 전문적인 능력이나 재능과는 상관없이 시각적, 비언어적 표현을 통해 심리적, 신체적, 사회적 갈등 및 자신의 질병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극복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8]. 집단으로 이루어지는 미술 프로그램은 여러 사람이 참여하여 하나의 대인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자기표현에 효과적이어서 노인 환자들에게는 매우 유용한 중재방법으로 알려져 왔다[9,10].
요양병원의 현황과 추세는 어떻게 되는가? 요양병원은 2009년 777개소에서 2014년 1,298개소로 증가하였고, 2017년도 현재 1,502개소로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1]. 이러한 급격한 증가로 서비스 질 제고에 대한 인식 부족과 저임금의 요양병원 배치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요양병원에 입원한 노인 환자가 소외감과 외로움을 느끼기 쉬운 이유는? 요양병원에 입원한 노인 환자의 경우, 사회와 분리되어 생소한 시설에서 생활하게 되고 가족이나 친구, 지역주민들과의 교류가 차단되어 소외감과 외로움을 느끼기 쉽다[3]. 무엇보다 가족들과 떨어진 제한된 공간에서 생활함으로써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활동이 많아지는데, 이는 노인 환자들에게 우울 및 불안과 같은 정서적 문제를 유발시키는 원인[4]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Population projection for Korea: 2003-2017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7 [cited 2017.May 8].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4&tblIdDT_MIRE01&vw_cdMT_ZTITLE&list_id354_MT_DTITLE&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 id&conn_pathE1 

  2. Kim MY. Study on problems and improvement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Legislation and Policies. 2011;5(2):33-67. 

  3. Lee JN, Kim MW. A study on the inmate's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care facilities and its impact factors. The Journal of Korean Policy Studies. 2011;11(2):245-263. 

  4. Song YJ, Lee KM, Kim KB. Influence of group art therapy using molding on cognitive functions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Journal of Arts Psychotherapy. 2012;8(3):23-45. 

  5. Kim YO. The request investigation for development of senior citizen's depression reduce program by art therapy. Korean Care Management Research. 2014;12:147-170. 

  6. Yoo JY, Im BH. A case study of major disease distributions and patients of depression of the elderly inpatients of geriatric hospital.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2007;21:117-135. 

  7. Kang SJ. An influential analysis in service quality of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upon depression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Korean Academy of Social Work Practice and Reearch. 2016;8(1):152-174. 

  8. Kim YK, Choi WS. The effects of art therapy using Korean painting materials on the elderly depression and self-expression.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2008;15(1):129-148. 

  9. Jung SY, Kim YC, Kim HS. Effects of art therapy on visual self-expression, verbal self-expression and picture card recall of the aged with dementia.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2011;18(3):748-764. 

  10. Kim JO, Park JY. The effect of ceramic activities on elderly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007;25(6):95-109. 

  11. Hons KA. The unstructured use of clay in art therapy with older adults. Journal of Canadian Art Therapy Association. 2013; 26(1):1-12. https://doi.org/10.1080/08322473.2013.11415574 

  12. Elkis-Abuhoff DL, Goldblatt RB, Gaydos M, Corrato S. Effects of clay manipulation on somatic dysfunction and emotional distress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The Journal of the American Art Therapy Association. 2008;25(3):122-128. https://doi.org/10.1080/07421656.2008.10129596 

  13. Jeong EJ. A case study on effectiveness of the group art therapy using clay on depression and anxiety for the women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2011;18(2): 325-345. 

  14. Chung JS, Lee JH. The effect of art therapy action using clay on the self-expression ability of adolescents with mental retardation.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05;40(3):85-110. 

  15. Greenwood H, Leach C, Lucock M, Noble R. The process of long-term art therapy: A case study combining artwork and clinical outcome. Psychotherapy Research. 2007;17(5):588-599. https://doi.org/10.1080/10503300701227550 

  16. Jeong DH. The study on the healing effects and techniques of ceramic art therapy.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2001;1(1): 2-32. 

  17. Seo YH. A study on the art therapy program for improving elderly self-esteem. Korean Journal of 21 Century Society Welfare. 2008;5(1):117-136. 

  18. Mohaupt-Luksh V. Die wirkung kunsttherapeutischer massnahmen. In: GanB M, Linde M, editors. Kunsttherapie mit demenzkranken menschen, Frankfurt am main: Mabuse-Verlag; 2004. p. 82-91. 

  19. Han MS, Kim HS, Lee YW, Kim SH. The effects of stimuli and swallowing promoting exercise to swallowing function of stroke elderly in a long term care facilit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Society. 2013;15(3):298-308. 

  20. Rakos RF, Schroeder HE. Self-directed assertiveness training. New York: Bio Monitoring Application (BMA) Press; 1980. 56 p. 

  21. Byeun CJ, Kim SH.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Students Guiding Research. 1980;13(1):51-85. 

  22. Song SW. The effects of self-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on college student's depress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lf-assertiveness.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008;16(1):103-117. 

  23. Sheikh JI, Yesavage JA.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Clinical gerontology: A guide to assessment and intervention. New York: Haworth Press; 1986. 532 p. 

  24. Kee B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6;35(2):298-307. 

  25. Park MJ, Park K.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focused on clay to alexithymia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Journal of Psychotherapy. 2010;10(2):63-79. 

  26. Jang HK, Choi WS.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communication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patients.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2005;12(3):681-701. 

  27. Na SG, Jeon YS. Effects of self-encouragement group art therapy on self-expression and personal relations of old persons.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2017;24(1):249-271. 

  28. Son DS. A study on the ecological factors of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Focused on the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issertation]. [Yongin]: Kangnam Universtiy; 2004. 137 p. 

  29. Park SM. Meta-analysis of the intervention for caring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the four countries: A comparison of the total effectiveness, short-term effectiveness, and long-term effectivenes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1; 31(3):553-571. 

  30. Harris T, Cook DG, Victor C, Rink E, Mann AH, Shah S, et al. Predictors of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people-a survey of two general practice populations. Age and Ageing. 2003;32(5): 510-518. https://doi.org/10.1093/ageing/afg0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