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 핵위협 극복을 위한 한미동맹 효용성: 평가와 대책
The Efficiency of ROK-U.S. Alliance in Order to Overcome North Korea's Nuclear Threats: Evaluations & Measures 원문보기

융합보안논문지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v.17 no.2, 2017년, pp.89 - 100  

김연준 (용인대학교 군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난 2017년 1월, 트럼프가 미국의 제 45대 대통령으로 취임하였다. 그는 대선기간 중에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적극적으로 표방하였다. 그의 이런 주장이 대외정책에 있어서 '고립주의'(Isolationism)를 표방하는 것으로 비취지고 있다. 북한의 핵위협에 대하여 미국의 '확장억제'(Extended Deterrenc)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한국에 있어서 이는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즉 미국이 고립주의로 회귀하여 한미동맹 공약이행 의지가 약화되는 것으로 인식될 경우 북한의 오판 가능성은 그만큼 높아질 것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한국사회에서는 미국으로부터 안보를 지원받고 정책적 공조를 제공하는 전형적인 '비대칭 동맹'(Asymmetry Alliance)인 한미동맹의 가치를 재평가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이에 북한의 고도화된 핵도발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신장된 한국의 국력수준에 부합된 한미동맹의 효용성을 동맹이론에 입각하여 평가해보고 대책을 강구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미동맹을 '자율성-안보 교환 모델'에 기초하여, 위협인식, 정책공조와, 동맹국으로서 가치 측면으로 구체화하여 평가해보고, 향후 한미동맹의 전략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st January 2017, Donald Trump was inaugurated as the 45th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He actively claimed a priority for the United States, which is referred as America First, during his presidential campaign. However, his political assertions turned out to be as Isolationist in terms of fore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함께 합리적 판단에 따라서 약소국의 전략적 가치가 존재하여야 동맹 관계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맹 유지 및 와해를 야기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인 중에 위의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위협인식, 정책적인 협조, 전략적 가치 판단이라는 세 가지 요인을 중심으로 한미동맹을 분석하고자 한다.
  • 이러한 상황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전형적인 비대칭 동맹인 한미동맹의 유용성을 동맹의 이론적인 관점과 그 시행의 주체인 미국의 입장에서 그동안의 성과를 평가해보고, 이를 통해서 북한의 핵위협을 극복하기 위한 한미동맹의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순으로 고찰하려 한다. 본고는 한미동맹의 유용성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를 통해, 현여건 하에서 북한 핵위협 극복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확산하고, 전문가 그룹의 정책적 관심을 모색하기 위하여 작성하였다.
  • 대한민국의 안보와 경제발전의 핵심적인 요인 중 하나였던 한미동맹에 대한 평가는 항상 우호적이지만은 않았다. 우리가 국가적인 절대빈곤 문제를 해결하고 국제적 경제 위상이 고양됨에 따라 2000년대에는 한미동맹의 가치와 효용성에 대한 변화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즉 2000년대 들어 경제발전과 정권의 선택에 따라서 북한문제에 대한 대화와 국방에서의 자주성을 강조하면서 한미동맹의 가치에 대한 재평가를 시도하기도 하였다.
  • 이러한 상황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전형적인 비대칭 동맹인 한미동맹의 유용성을 동맹의 이론적인 관점과 그 시행의 주체인 미국의 입장에서 그동안의 성과를 평가해보고, 이를 통해서 북한의 핵위협을 극복하기 위한 한미동맹의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순으로 고찰하려 한다. 본고는 한미동맹의 유용성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를 통해, 현여건 하에서 북한 핵위협 극복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확산하고, 전문가 그룹의 정책적 관심을 모색하기 위하여 작성하였다.
  • 한반도에서 북한의 군사적 도발위협은 일본의 강점으로부터 해방된 이후부터 현재까지도 계속 존재하고 있다. 이에 전술(前述)한 동맹이론에서 살펴보았듯이 북한의 도발위협에 대하여 안보지원국인 미국은 이를 어떻게 인식하였는지 주요 사례위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 첫 번째로, 미국의 군사력 지원 가능에 대한 판단이다. 미국의 재래식 전력으로 병력은 138만여 명을, 전투(폭)기는 2천여 대를, 항공모함은 10척을, 그리고 잠수함은 71척을 보유하는 등 최첨단의 전력을 구비하면서 세계 1위의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다.

가설 설정

  • 두 번째로, 한미동맹 이행에 따른 미국의 이익이다. 미국이 한국과의 동맹을 지속할 경우 미국이 기대할 수 있는 이익 중에서 가장 현저한 것은 동맹의 약속을 지킨다는 신뢰성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트럼프는 언제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했나요? 지난 2017년 1월 18일 트럼프가 미국의 제45대 대통령으로 취임하였다. 그는 대선 기간 중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적극적으로 표방하였고 유권자들은 이를 지지하였다.
북한의 핵개발 상황은 어떠한가? 북한의 실질적인 핵개발은 1980년대 이후 5MWe 원자로의 가동 및 폐연료봉 재처리를 통하여 핵물질을 확보하는 등 핵연료 확보에서 재처리에 이르는 일련의 ‘핵연료 주기’를 완성하였다.1) 북한은 지금까지 총 5차례의 핵실험을 하였으며, 김정은 체제하에서만 해도 3차례의 핵실험을 연이어 실시한바 있다.
핵탄두를 발사하는 방식에 따른 발사체의 종류는? 핵탄두를 발사하는 방식은 지상, 해상과, 공중에서 발사하는 방식이 있다. 지상에서는 미사일을 통해서, 해상에서는 잠수함에서, 공중에서는 전폭기를 이용하여 발사가 가능하다. 북한은 5차례의 핵실험을 통해 탄두의 소형화에 주력해온 것으로 확인되며, 그들이 보유하고 있는 탄도미사일의 능력은 다음 <표 2-1>과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김기덕, "동맹 딜레마 극복을 위한 한국의 대미 동맹전략의 발전발향," 전략연구, 제56호, pp. 185, 2012. 

  2. 김일수, "한미 군사동맹의 초기 형성 과정에 대한 연구," 미국학 논집, 제35집 2호, pp. 65-66, 2003. 

  3. 박계호, "한반도 위기발생시 미국의 개입 결정요인," 국방연구, 제56권 1호, pp. 61, 67-69, 2013. 

  4. 박휘락, "한미동맹에 있어서 미국의 안보공약 이행 정도에 대한 분석," 한국정치외교사논총 제38집 1호, pp. 333-336, 338, 2016. 

  5. 김계동, "한미동맹관계의 재조명," 국제정치 논총, 제41집 2호, pp. 16, 2001. 

  6. Albright David, "Future Directions in the DPRK's Nuclear Weapons Program: Three Scenarios for 2020", North Korea's Nuclear Futures Series, U.S.-ROK Institute at SAIS, Vol. 24, No. 2, pp. 19-30, 2015. 

  7. Michael F. Altfeld, "The Decision to Alliance: A Theory and Test," The Western Political Quarterly, Vol. 37, No. 4, Winter-1984. 

  8. Stephen M. Walt, "Why Alliance Endure or Collapse?", Global Politics and Strategy, Vol. 39, No. 1, pp. 156-179, 1985. 

  9. James D. Morrow, "Alliances and Asymmetry: An Alternative to the Capability Aggregation Model of Alliance", American Jounal of Political Science, Vol. 35, No. 4, pp. 904-933, November-1991. 

  10. Woolf. Amy, "U.S. Strategic Nuclear Forces: Background, Developments, and Issues," CRS Report, Vol. 28, No. 2, pp. 124-126, November-2015. 

  11. Albright. David, "Future Directions in the DPRK's Nuclear Weapons Program: Three Scenarios for 2020," North Korea's Nuclear Futures Series, U.S.-ROK Institute at SAIS, Vol. 18, No. 3, pp. 19-30, 2015. 

  12. 국방부, '한미동맹60년사',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3. 

  13. 국방부, '2016 국방백서', 국방부, 2019. 

  14. 이상철, '안보와 자주성의 딜레마', 연경문화사, 2004. 

  15. U.S. Department of Defence, '2014 Quadrennial Defence Review', U.S. Department of Defence, 2014. 

  16. Hans J. Morgenthau, 'Politics Among Nations: The Struggle For Power and Peace, Brief Edition', McGraw-Hill, 1993. 

  17. 동아일보, 2016년 3월 9일자, 11면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