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민주적 양육태도 및 교사와의 관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장기적 매개효과 분석
The Long Term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i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ercep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Democratic Attitude of Parenting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their Self-esteem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10, 2017년, pp.30 - 40  

김현진 (서울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민주적 양육태도 및 교사와의 관계가 자신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지와 이러한 관계가 장기적 효과를 가지는 지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KCYPS) 중에서 중학교 1학년 패널의 1차 년도(2010년)와 3차 년도(2012)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의 민주적 양육태도는 동일 년도에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을 직접적으로 뿐만 아니라, 자기조절학습능력을 매개로 간접적으로도 예측하였다. 둘째, 교사와의 친밀한 관계 인식은 자기조절학습능력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자아존중감을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1학년 때의 이러한 관계 패턴은 2년 후인 3학년 때의 자아존중감을 예측하는 과정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주요 발달과업인 자아존중감의 향상에 해당 변인들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ong term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SRL) i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ercep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Democratic Attitude of Parenting(DAP)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Teachers(RT), and their Self-esteem(SE). The data sou...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부모 및 교사와의 관계가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이들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자아존중감이 부모 및 교사와의 오랜 시간에 걸친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특정 시점에서 학생들이 지각한 민주적 양육태도와 교사와의 관계가 시간이 지난 후에도 여전히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자아존중감을 유의미하게 예측하고 매개하는 지를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지속적인 영향의 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적절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적절한 환경 제공자로 부모 및 교사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이들은 청소년들이 생활하는 주요 물리적 환경인 가정과 학교의 책임자로서 그들의 자녀에 대한 반응과 태도는 학생들이 자신에 대한 평가를 내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예측된다.
  •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이 지각한 바, 부모의 민주적 양육태도, 교사와의 긍정적인 관계가 이들의 자아존중 감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매개 효과를 가지는지, 그리고 이러한 영향이 일정한 시간이 흐른 후에도 유효한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KCYPS)의 1차와 3차 년도의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 또한 학업에서의 성공경험이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으로 기여한다는 선행연구 결과들과도 유사한다[9][16].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의 민주적 양육태도가 현재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도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자존감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여줌으로써 부모와의 민주적인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확인시켜준다.
  • 그러나 2차 년도 자료에는 본 연구에서 다루는 변인을 포함하지 못하여 종단적인 효과를 검토하는 대신 2차 년도를 제외한 1차 년도에서 3차 년도까지의 장기적인 매개효과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미래 지향적인 교육 요소라고 할 수 있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부모와 교사는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할지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그러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부모와 교사의 영향을 통합적으로 살핀 선행 연구들은 거의 없으며, 기존의 연구들은 부모나 교사와의 관계가 학생의 자아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18][23]이나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이 그들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16]만을 봄으로써 이들 변인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살핀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부모 및 교사와의 관계가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이들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자아존중감이 부모 및 교사와의 오랜 시간에 걸친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특정 시점에서 학생들이 지각한 민주적 양육태도와 교사와의 관계가 시간이 지난 후에도 여전히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자아존중감을 유의미하게 예측하고 매개하는 지를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지속적인 영향의 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아존중감이란 무엇인가? 자아존중감(Self-esteem)은 자신이 능력 있고 중요하며, 가치 있는 존재라고 믿는 정도로서 자신에 대한 지속적인 긍정적 자기평가이며, 가치판단이라고 정의된다[1][2]. 자아존중감이 높은 사람은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잘 파악하고, 자신의 모습 그대로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인다.
자아존중감이 낮은 사람의 특징은 무엇인가? 또한 자신의 판단이나 능력을 믿으며, 어려운 상황에 처해도 스스로 극복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믿는다. 반면에 자아존중감이 낮은 사람은 자신의 약점에 더욱 집착하고, 자신의 판단에 자신감이 없으며, 도전적이지 못하다[3]. 이처럼 자아존중감은 사회생활과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뛰어난 학습자의 특징은 무엇인가? 자기조절학습능력(self-regulated learning)은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의 목표를 설정하고, 학습의 과정에서 높은 학습동기를 유지하고, 학습의 과정 및 결과를 평가하며, 인지 및 행동조절 전략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15]. 효과적인 자기조절학습자는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좌절 상황에서도 포기하지 않으며 다양한 학습전략을 활용하여 궁극적으로 그 목표를 달성해내는 이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자기 조절학습능력은 청소년기에 중요한 발달과업이라고 할 수 있는 학습장면에서의 성취를 이루며 자아존중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김현주, 조혜영,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진로태도성숙도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7권, 제5호, pp.201-221, 2017. 

  2. S. Harter, Developmental perspectives on the self-system. In E, M. Heatherington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Soci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New York: Wiley, Vol.4, 1983. 

  3. D. R. Shaffer, Soci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Belmont, CA: Thomson/Wadsworth, 2005. 

  4. 정익중, "청소년기 자아존중감의 발달궤적과 예측요인," 한국청소년연구, 제18권, 제3호, pp.127-166, 2007. 

  5. 이형실, "부모의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또래관계간 관련성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제26권, 제4호, pp.75-83, 2014. 

  6. 조성희, 김희수, "초등 고학년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5호, pp.355-376, 2016. 

  7. 이경아, 정현희,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교사와의 관계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제11권, 제2호, pp.213-226, 1999. 

  8. 임선희, 명재신,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12호, pp.327-347, 2016. 

  9. 임선아, "민주적 부모양육태도가 아동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자아존중감, 학교적응에 미치는 구조모형 비교: 저소득층 아동과 비저소득층 아동, 교육심리연구," 제27권, 제1호, pp.125-142, 2013. 

  10. 황동성, 박은혜, "다문화가정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 및 사회적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6권, 제4호, pp.123-145, 2010. 

  11. 임영식, 김혜원, 설인자, 조아미, 한상철, 청소년심리학, 서울:교육과학사, 2006. 

  12. 박성연, 이은경, "청소년기 자녀에 대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 구성요소의 타당성 연구: 분리불안 심리적 통제와 성취지향 심리적 통제," 아동학회지, 제30권, 제2호, pp.211-230, 2009. 

  13. 홍명숙, 이수영, "청소년의 또래관계와 교사와의 관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경영연구, 제4권, 제1호, pp.183-211, 2017. 

  14. 신효정, 최현주, "청소년 자아존중감 변화에 대한 건강, 부모의 애정적 양육태도, 교사-학생관계, 또래애착의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제13권, 제1호, pp.31-54, 2016. 

  15. B. J. Zimmerman and A. Kitsantas, "Developmental phases in self-regulation: Shifting from process to outcome goal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89, pp.29-36, 1997. 

  16. 우수정, "부모의 바람직하지 않은 양육행동과 아동의 친구관계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제23권, 제5호, pp.759-771, 2014. 

  17. A. Gonzalez, G. Greenwood, and J. WenHsu,"Undergraduate students'goal orientations andtheir relationship to perceived parenting styles,"College Student Journal, Vol.35, No.2,pp.182-192, 2001. 

  18. 김영민, 임영식, "민주적 양육방식, 자아탄력성 및 휴대전화의존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구조모형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제23권, 제2호, pp.273-299, 2012. 

  19. 민정숙,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11. 

  20. 최진아, "부모양육태도, 또래애착 및 교사관계가 청소년의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놀이치료연구, 제18권, 제1호, pp.1-13, 2014. 

  21. 김동일, 김명창, 남지은, 강은비, 오지원, 정정현, "부모양육태도와 고등학생의 학업미루기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의 매개효과 모형," 아시아교육연구, 제14권, 제2호, pp.29-50, 2013. 

  22. 박지현, 서상완, 정지희, 이사사, 정성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주도적 학습력과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0권, 제1호, pp.107-126, 2010. 

  23. R. R. Pintrich and E. V. DeGroot,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82, pp.33-40, 1990. 

  24. 김만권, 이기학, "자기조절학습전략 프로그램이 학업성취와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5권, 제3호, pp.491-504, 2003. 

  25. 허묘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 척도개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26. 민병수, 학교생활적응과 자아개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991. 

  27. 양명희, 자기조절학습의 모형 탐색과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28. 김세영,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 수준에 따른 인터넷 활용 유형, 자기통제력,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학업성취도의 차이,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9.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J, 1965. 

  30. 고려대학교 행동과학연구소, 심리척도 핸드북II, 서울: 학지사, 2001. 

  31.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의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9권, 제1호, pp.161-177, 2000. 

  32. B. Eilam, M. Zeidner, and I. Aharon, "Student conscientiousness, self-regulated learning, and science achievement: An explorative field study," Psychology in the Schools, Vol.46, No.5, pp.420-432, 200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