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10, 2017년, pp.518 - 525
강혜승 (구미대학교 간호학과) , 이소영 (경운대학교 간호학과)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s post-traumatic, self-esteem and hope that affect the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Number of middle-aged women participated in the survey were 118.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self reported questionnaires from June 1 to 30. and anal...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 삶의 질은 자신이 속하여 있는 사회 속에서 상호작용과 더불어 느끼는 주관적인 인식[12]으로 선행연구에 의하면 성별, 연령, 교육수준, 직업여부, 수입, 결혼상태, 종교, 사회참여, 건강, 피로와 더불어, 사회·심리적인 요인인 우울,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삶에 관한 태도 역시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로 보고 있다[13][14]. 그러나 주관적인 관점에 의한 외상 후 성장,자아 존중감, 희망이 삶에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상황이다[4][5][12][15]. | |
외상 후 성장이란 무엇인가? | 외상 후 성장은 자신이 처한 위기 상황들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으로 얻어지는 결과로 이는 단순히 외상전 상태가 아닌 주관적이면서도 긍정적인 심리적인 변화를 의미한다[4]. 중년여성의 경우 폐경과 노화에 따른 신체적 변화, 결혼 생활 중에 느끼는 피로에 따른 정신적 변화, 사회 구성원으로서 역할에 대한 사회적 변화에 적응을 경험하며 중압감에 가치관의 변화를 느끼게 된다[5]. | |
많은 학자들이 보는 중년기의 특징은 무엇인가? | 중년기를 많은 학자들이 다양하게 보고 있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 시기의 연령을 노년기의 전 단계인40-60세로 보고 있으며[1], 이 시기는 인간의 성장·발달측면에서 신체적인 변화와 더불어 정서적인 변화로 인한 스트레스가 높은 시기로 보고 있다[2]. 이 시기는 자녀들의 성장과 함께 가족 간의 역할관계의 변화로 자신이 지나온 시간에서 오는 스트레스와 함께 삶에 전반적인 재평가[3]을 경험하면서 혼란을 경험하는 시기이다.이러한 혼란의 시간들을 삶의 절반이상을 더 살아가야하는 중년여성에게는 노년의 삶의 시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중년여성들의 다양한 사회·심리적인 변화에 관심을 둘 필요성이 있다[4]. |
이진숙, 최원석, "기혼 직장여성의 일-가족양립갈등 경로에 관한 연구," 아시아 여성연구, 제50권, 제1호, pp.169-198, 2011.
민현주, "여성취업의 두 갈래길," 경제와 사회, 제78호, pp.223-255, 2008.
R. G. Tedeshi and L. G. Calhoun, "The post 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Vol.9, No.3, pp.455-471, 1996.
정영숙, 오효숙, "중년여성의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지각된 건강상태가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호학회지, 제30호, 제1권, pp.30-41, 2016.
K. M. Hong, "Understanding of middle-aged women's crisis and Christian counseling," The Gospel and Praxis, Vol.25, pp.217-244, 2012.
J. Han, The roles of self and soc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health, self-perception of aging and depressive symptoms in later life, The Ohio State University, Ohio, US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2011.
M. Rosenberg,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s, 1979.
송리라, 김형남, 전미라, "라인댄스 참여 중.노년 여성의 여가만족과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2호, pp.154-163, 2015.
C. E. Ferrans, J. Liscomb, C. C. Gotaya, and C. Snyder, Definition and conceptural models of quality of life, In Outcome Assessment in Canc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M. Reich, A. Lesur, and C. Perdrizet-Chevallier, "Depression, quality of life and breast cancer: a review of the literature," Breast Cancer Res Treat., Vol.110, No.1, pp.9-17, 2008.
A. Berent-Spillson, C. C. Persad, T. Love, M. Sowers, J. F. Randolph, J. K. Zubieta, and Y. R. Smith, "Hormonal environment affects cognition independent of age during the menopause transition," J Clin Endocrinol Metab., Vol.97, No.9, pp.1686-1694, 2012.
M. L. Nowotny, Measurement of hope as exhibited by a general adult population after a stressful event(dissertation), Michigan: Texas Womens University, 1986.
나혜진, 고위험 집단청소년에서 희망과 스트레스 대처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이정화, 김경혜, 김경덕, "중년여성의 갱년기 증상과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한 인지기능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지, 제15권, 제7호, pp.4439-4448, 2014.
R. G. Tedeschi and L. G. Calhoun, "The Post 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Vol.9, No.3, pp.455-471, 1996.
송승훈, 한국판 외상 후 성장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신혜숙, 아동양육시설 생활경험자들의 외상 후 성장에 대한 해석학적 근거이론 접근,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M. Roes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 1965.
전병재,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논총, 제11권, pp.107-130, 1974.
이유정, 아동기 정서적 지지와 삶의 만족과의 관계: 자아존중감과 신체만족도의 이중매개효과,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M. L. Nowotny, "Assessment of hope in patients with cancer :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Oncology Nursing Forum, Vol.16, No.1, pp.57-61, 1989.
최상순, 일 지역 성인의 영적 안녕, 희망 및 건강상태에 관한 관계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오복자, "암환자의 영적안녕과 삶의 질과의 관계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제l9권, 제2호, pp.189-198, 1997.
임현숙, 영적 안녕과 희망과의 관계, 삼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민성길, 이창일, 김광일, 서신영, 김동기,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제39권, pp.571-579, 2000.
이익섭, 김동기, 엄태영, "만성질환을 앍고 있는 의료급여 수급자의 자아존중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17권, pp.79-104, 2007.
김희선, "일 지역 노인의 주관적 건강과 건강증진행위 및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제8권, 제2호, pp.117-127, 2006.
구본진, "중년 여성의 극복력, 희망, 부부친밀감 및 가족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 제17권, 제4호, pp.421-430, 2008.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