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목 골절 수술 후 한방 재활치료 프로토콜 적용의 임상적 효과: 증례 보고
A Rehabilitation for Ankle Fracture in Korean Medicine: A Report of 4 Cas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 JKMR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27 no.4, 2017년, pp.171 - 184  

하원배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교실) ,  이종하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교실) ,  이윤승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교실) ,  조동찬 (대전대학교 청주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  이진현 (청양군 보건의료원) ,  이정한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rehabilitation protocol for ankle fracture in Korean Medicine and to report its effectiveness. Four patients who had undergone ankle fracture by car accident were treated using the rehabilitation protocol in Korean Medicine. We estimated the outcome eval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한의학에서 발목 염좌의 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는 다수 보고5)되고 있으나 발목 골절 관련 연구는 외과 골절의 증례 보고6)가 유일하며, 발목 골절 수술 후 체계적인 한방 재활치료 프로토콜적용의 효과를 보고한 연구는 없는 상황이다. 이에 저자는 발목 골절 수술 후 재활치료를 목적으로 한방병원에 내원한 환자에게 기존의 문헌과 연구들을 바탕으로 재활치료 프로토콜을 구성하고 이를 적용하여 통증 감소와 발목 관절 운동 기능 회복의 목적을 달성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방 재활치료는 무엇인가? 발목 골절 수술 후 재활치료는 발목 관절의 가동 범위(Range of motion, ROM) 향상, 근력 강화를 통해 관절의 운동 기능을 회복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방 재활치료는 한의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관절과 근육, 인대, 신경체계를 조절하거나 구조를 교정함으로써 신체 기능의 회복 및 유지를 위한 한의학적 중재를 시행하는 것을 뜻하며, 전인적인 관점에서 손상 부위의 구조적 회복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및 작업환경의 복귀와 같은 기능적 회복에 효과적인 치료 법이라 할 수 있다4).
발목 관절은 무엇인가? 발목 관절은 원위 경비골과 거골 그리고 이들을 연결해 주는 인대와 연부조직으로 이루어진 복합 경첩 관절로1) 해부학적 위치와 인체의 역학적 특성 상 체중 부하 관절의 골절 중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다2,3). 이에 대한 치료로 정확한 해부학적 정복과 주위 인대 및 연부조직의 재건을 통해 족관절의 격자구조를 복원하는 관혈적 정복술 및 견고한 내고정술이 선호된다8).
발목 관절에서 골절이 발생할 경우 주로 어떤 치료가 선호되는가? 발목 관절은 원위 경비골과 거골 그리고 이들을 연결해 주는 인대와 연부조직으로 이루어진 복합 경첩 관절로1) 해부학적 위치와 인체의 역학적 특성 상 체중 부하 관절의 골절 중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다2,3). 이에 대한 치료로 정확한 해부학적 정복과 주위 인대 및 연부조직의 재건을 통해 족관절의 격자구조를 복원하는 관혈적 정복술 및 견고한 내고정술이 선호된다8). 발목 골절 수술 후 재활치료는 발목 관절의 가동 범위(Range of motion, ROM) 향상, 근력 강화를 통해 관절의 운동 기능을 회복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Department of Orthopedics,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Textbook of Fractures and Joint Injuries. Seoul:Koonja Publishing Co.. 2016:659-65. 

  2.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Orthopaedics. 7th ed. Seoul:Choesin Publishing Co.. 2013:1509-15. 

  3. Cho HO, Kwak KD, Cho SD, Lee SR. Factors affecting the outcome of the ankle fractures. J Korean Orthop Assoc. 1991;26:1654-9. 

  4.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Korean Rehabilitation Medicine. 4th ed. Seoul:Koonja Publishing Co.. 2015:3, 364-71, 380-416. 

  5. Lee CH, Kim B, Jung H, Lee KW, Yang DM, Oh MS. Review on the Study of Ankle Sprain Published in Korea.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2015; 25(1):71-6. 

  6. Kim JS, Lee YK. One Case of Ankle Fracture Treated with SAAM(舍岩)-Acupuncture and Gamigungguitang-GaNokyong after Short Leg Casting.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007;24(6): 207-13. 

  7. Maxey L, Magnusson J. Rehabilitation for the postsurgical orthopedic patient. 3rd ed. Philadelphia:Elsevier, 2013: 520-30. 

  8. Giangarra CE, Manske RC. Clinical Orthopaedic Rehabilitation: A Team Approach. 4th ed. Philadelphia:Elsevier. 2017:246-53. 

  9. Ha WB, Lee JH, Ko YS, Lee JH. A Rehabilitation for Total Hip Replacement in Korean Medicine:A report of three cases. The Journal of Korea CHUNA Manual Medicine for Spine & Nerves. 2016;26(3):153-64. 

  10. Han TR, Bang MS, Chung SG. Rehabilitation Medicine. 5th ed. Seoul:Koonja Publishing Co.. 2014:1201-3. 

  11. Kim DJ, Choi YJ, Kim DH, Um JY, Song GH, Lee JS, Cho NG. The Comparision of Effectiveness between Near Acupuncture Point Needling and Remote Acupuncture Point Needling on Treating Ankle Sprain of Acute Stage.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007;24(4):25-33. 

  12. Peilin S, Management of postoperative pain with acupuncture. USA:Elsevier. 2007:13-4, 282-7. 

  13. Bak JW, Sim BY, Kim DH. The effects of Danggwisusan on restoration ability in wound induced animal models. Kor. J. Herbology. 2014;29(5):55-63. 

  14. Jung H, Lee HJ, Kim B, Lee CH, Lee EJ, Heo DS, Oh MS. The Effects of Sibjeondaebotanggamibang on the Treating of Wound.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2014;24(3):51-69. 

  15. Song JW, Lee HS, Seo SG, Ryu CH. Clinical Outcome after Early Rehabilitation according to Injury Type in Ankle Fracture. J Korean Foot Ankle Soc 2017;21(1):21-6. 

  16. Brotzman SB, Manske RC. Clinical orthopaedic rehabilitation An evidence-based approach. 3rd ed.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Medicine. Seoul:Hanmi Medical Publishing Co.. 2012:374-9. 

  17. Korean Society of Chuna Manual medicine for Spine & Nerves. Chuna manual medicine. 2nd ed. Seoul:Korean Society of Chuna Manual medicine for Spine & Nerves. 2015:266-302, 437-41. 

  18. Chaitow L. Muscle Energy Techniques. 3rd ed. Churchill Livingstone. 2006:141-3. 

  19. Magee DJ, Sueki D. Orthopedic physical assessment atlas and video : selected special tests and movements. Seoul: ELSEVIER Korea. 2012:425-8. 

  20. Olerud C, Molander H. A scoring scale for symptom evaluation after ankle fracture. Arch Orthop Trauma Surg. 1984;103:190-4. 

  21. Jensen SL, Andresen BK, Mencke S, Nielsen PT. Epidemiology of ankle fractures. A prospective population-based study of 212 cases in Aalborg, Denmark. Acta Orthop Scand 1998;69:48-50. 

  22. Brodie IA, Denham RA. The treatment of unstable ankle fractures. J Bone Joint Surg Br. 1974;56:256-62. 

  23. Burwell HN, Charnley AD. The treatment of displaced fractures at the ankle by rigid internal fixation and early joint movement. J Bone Joint Surg Br. 1965;47:634-60. 

  24. Olerud C, Molander H. Bi- and trimalleolar ankle fractures operated with nonrigid internal fixation. Clin Orthop Relat Res. 1986;(206):253-60. 

  25. The Korean Academy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Korean Oriental Rehabilitaion. 2nd ed. Seoul: Koonja Publishing Co.. 2008:197-202. 

  26. Liu ZY. wai ek pi fu ke de bian zheng lun zhi. Seo won dang. 1987:35. 

  27. Yun YG. Korean prescription and prescription commentary. Seoul:Uiseong dang. 2004:225, 679. 

  28. Kirkelsola G. A total concept for exercise and active treatment of musculoskeletal disorder.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aedic Manual Therapy. 2000; 7(1):87-106. 

  29. The Korean Hip Society. Textbook of The Hip. Seoul:Koonja Publishing Co.. 2014:533-51. 

  30. Han CS, Im YS, Cheong ST. Result of Fibular Fixation Using Screw in Ankle Fracture.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ractures. 2002;15(4):477-82. 

  31. Lee KB, Song SY, Kwon DJ, Lee YB. Rhee NK, Choi JH. A Comparison between Minimally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 Interlocking Intramedullary Nailing in Distal Tibia Fracture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ractures. 2008;21(4):286-91. 

  32. Jeong IH, Oh JH, Ahn EH, Wee SM. Ender Nailing for Tibial Shaft Fractures. J. of Korean Orthop. Accoc. 1993;28(2):741-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