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위 요골 골절에 대한 한방 재활치료 프로토콜 적용의 임상적 효과: 증례 보고
The Clinical Effect of Rehabilitation Protocol for Distal Radius Fracture in Korean Medicine: A Report of 3 Cas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 JKMR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28 no.3, 2018년, pp.97 - 106  

하원배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금지혜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고낙용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이정한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rehabilitation protocol for distal radius fracture in Korean Medicine and to report its effectiveness. Three patients who had undergone distal radius fracture were treated using the rehabilitation protocol in Korean Medicine. We estimated the outcome ev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단계(mobilization)는 방사선 검사상 골 유합 소견에 따라 부목 혹은 석고 고정을 제거하고 보조기로 교체한 후 관절 가동을 시작하는 약 6주부터 8주까지의 본격적인 재활치료 기간을 의미하며, 수술 부위의 재활 치료뿐만 아니라 동반되는 신체적 및 정신적 증상에 대한 포괄적인 치료를 시행한다7). 1단계에 이어서 통증을 관리하며 부기를 최소화하고, 손목의 가동 범위와 근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며 소근육 협응과 연부조직의 가동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9). 3단계(strengthening)는 일상생활 복귀를 준비하는 약 8주 이후의 장기 재활치료를 의미한다.
  • 본 프로토콜에서는 손목 관절을 비롯한 상지의 운동기능 회복과 근력 강화를 위해 단계별 한방 물리요법을 시행하였다. 특히 조기에 관절 운동을 시행하여 임상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는 연구 보고에 근거하여 환자의 능동 운동 방법으로 단순 도인 운동 요법과 기기 도인 운동 요법을 활용하였다12,35,36).
  • 윈위 요골 골절의 재활치료는 통증 조절, 가동 범위 향상, 근력 강화를 통해 손목 관절의 기능적 움직임을 회복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3,5,6). 한방 재활치료는 한의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관절과 근육, 인대, 신경체계를 조절하거나 구조를 교정함으로써 신체 기능의 회복과 유지를 위한 한의학적 중재를 시행하는 것을 뜻하며, 전인적인 관점에서 손상 부위의 구조적 회복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 및 작업 환경의 복귀와 같은 기능적 회복에 효과적인 치료법이라 할 수 있다7).
  • 또한 한의학에서도 원위 요골 골절 환자의 증례나 한방 재활치료 프로토콜 적용의 임상적 효과에 대한 연구는 보고되지 않았다. 이에 저자는 원위 요골 골절 후 재활치료를 목적으로 한방병원에 내원한 환자에게 기존의 문헌3,9)과 연구2,5,10-13)를 바탕으로 한방 재활치료 프로토콜을 구성하고 이를 적용하여 통증 감소와 손목 관절의 운동 기능 회복의 목적을 달성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원위 요골 골절 치료의 목표는 무엇인가? 고령에서는 주로 넘어지거나 낙상 등의 저에너지 손상에 의한 골다공증성 골절로 발생하고 젊은 연령에서는 스포츠나 교통사고, 높은 곳에서의 낙상 등의 고에너지 손상으로 흔히 발생한다2,3). 원위 요골 골절 치료의 목표는 요골 길이, 요측 경사, 전방 경사 등의 해부학적 정렬을 유지하여 손목 관절의 운동 기능을 회복시키는 데 있다1,2). 전위가 없는 골절의 경우 정복 없이 바로 부목 고정을 시행하고, 전위가 심하여 각 변형, 요골 단축 등이 뚜렷한 경우 도수 정복 후 부목 고정을 시행한다.
원위 요골 골절은 전체 골절의 몇퍼센트를 차지하는가? 원위 요골 골절은 성인에서 발생하는 상지 골절 중 가장 흔하며, 전체 골절의 15~20%를 차지한다1). 고령에서는 주로 넘어지거나 낙상 등의 저에너지 손상에 의한 골다공증성 골절로 발생하고 젊은 연령에서는 스포츠나 교통사고, 높은 곳에서의 낙상 등의 고에너지 손상으로 흔히 발생한다2,3).
원위 요골 골절은 왜 발생하는가? 원위 요골 골절은 성인에서 발생하는 상지 골절 중 가장 흔하며, 전체 골절의 15~20%를 차지한다1). 고령에서는 주로 넘어지거나 낙상 등의 저에너지 손상에 의한 골다공증성 골절로 발생하고 젊은 연령에서는 스포츠나 교통사고, 높은 곳에서의 낙상 등의 고에너지 손상으로 흔히 발생한다2,3). 원위 요골 골절 치료의 목표는 요골 길이, 요측 경사, 전방 경사 등의 해부학적 정렬을 유지하여 손목 관절의 운동 기능을 회복시키는 데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Orthopaedics. 7th ed. Seoul:ChoiSin medical Publishing Co. 2013:1289-99. 

  2. Lee DY, Hwang SC, Nam DC, Jeong JH, Choi YL, Park JS. Risk factors of wrist stiffness after treatment for distal radius fractures. J Korean Orthop Assoc. 2015;50(4):299-306. 

  3. Brotzman SB, Manske RC. Clinical orthopaedic rehabilitation: an evidence-based approach. 3rd ed. Philadelphia:Mosby Elsevier. 2011:25-9. 

  4. Shin YH, Yoon JO, Kim JK. Nonsurgical treatment of a distal radius fracture: when & how?. J Korean Fract Soc. 2018;31(2):71-8. 

  5. Ikpeze TC, Smith HC, Lee DJ, Elfar JC. Distal radius fracture outcomes and rehabilitation. Geriatr Orthop Surg Rehabil. 2016;7(4):202-5. 

  6. Michlovitz SL, LaStayo PC, Alzner S, Watson E. Distal radius fractures: therapy practice patterns. J Hand Ther. 2001;14(4):249-57. 

  7.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Korean Rehabilitation Medicine. 4th ed. Paju:Koonja Publishing. 2015:3, 350-71, 380-416. 

  8. Handoll HH, Elliott J. Rehabilitation for distal radial fractures in adult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5;(9):CD003324. doi: 10.1002/14651858.CD003324.pub3. 

  9. Mosca JC, Cahill JB, Cavanaugh JT, Corradi-Scalise D, Rudnick H, Wolf AL. Postsurgical rehabilitation guidelines for the orthopedic clinician. 1st ed. St. Louis:Mosby Elsevier. 2006:109-16. 

  10. Cho JH, Park DY, Kim JY, Han KJ. A comparison of sugar tong splint and radial gutter short arm splint after closed reduction of distal radius fracture. J Korean Soc Surg Hand. 2009;14(4):194-8. 

  11. Song SW. Osteoporotic distal radius fracture-conservative treatment. J Korean Fract Soc. 2008;21(1):81-6. 

  12. Brehmer JL, Husband JB. Accelerated rehabilitation compared with a standard protocol after distal radial fractures treated with volar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a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study. J Bone Joint Surg Am. 2014;96(19):1621-30. 

  13. Waterbury K, Husband J, Callinan N, Reams M. Beyond the research: an accelerated rehabilitation protocol for patients with distal radius fracture treated with open reduction internal fixation using volar locking plate, a retrospective review and comparison of outcomes with a surgeon directed independent exercise program. J Hand Ther. 2016;29(3):372-3. 

  14. Han TR, Bang MS, Chung SG. Rehabilitation Medicine. 5th ed. Paju:Koonja Publishing. 2014:1201-3. 

  15. Sun P. Management of postoperative pain with acupuncture. 1st ed. Philadelphia:Churchill Livingstone. 2007:13-4, 204-8. 

  16. Kim TR, Kim YJ, Woo CH. Fire needling therapy in patients with a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a report of three cases. J Korean Med Rehabil. 2017:27(4):147-54. 

  17. Ha WB, Lee JH, Ko YS, Lee JH. A rehabilitation for total hip replacement in Korean medicine: a report of three cases. J Korean Med Rehabil. 2016;26(3):153-64. 

  18. Bak JW, Sim BY, Kim DH. The effects of Danggwisusan on restoration ability in wound induced animal models. Kor J Herbology. 2014;29(5):55-63. 

  19. Jung H, Lee HJ, Kim B, Lee CH, Lee EJ, Heo DS, Oh MS. The effects of Sibjeondaebotanggamibang on the treating of wound. J Korean Med Rehabil. 2014;24(3):51-69. 

  20. Lee HG, Oh MS. Effects of Jeopgolsan (JGS) extract on fracture healing. J Korean Med Rehabil. 2018;28(1):1-17. 

  21. Wollstein R, Michael D, Harel H. A protocol for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of distal radius fractures using sensorimotor input: a case series. J Hand Surg Asian Pac Vol. 2017;22(2):150-5. 

  22. Korean Society of Chuna Manual Medicine for Spine and Nerves. Chuna manual medicine. 2.5th ed. Seoul:Korean Society of Chuna Manual Medicine for Spine and Nerves. 2017:17, 99-101, 224-9, 274-5. 

  23. Chaitow L. Muscle energy techniques. 3rd ed. Philadelphia:Churchill Livingstone. 2006:191-3. 

  24. DeStefano LA. Greenman's principles of manual medicine. 5th ed. Philadelphia:Wolters Kluwer. 2017:436-7. 

  25. Kang JW, Park JW. Complications of distal radius fracture. J Korean Orthop Assoc. 2013;48(2):165-74. 

  26. Lucado AM, Li Z. Static progressive splinting to improve wrist stiffness after distal radius fracture: a prospective, case series study. Physiother Theory Pract. 2009;25(4):297-309. 

  27. Magee DJ, Sueki D. Orthopedic physical assessment atlas and video: selected special tests and movements. 6th ed. Seoul:ELSEVIER Korea. 2014:463. 

  28. Amorosa LA, Vitale MA, Brown S, Kaufman RA. A functional outcomes survey of elderly patients who sustained distal radius fractures. Hand (NY). 2011;6(3):260-7. 

  29. Kim JG, Kang JW. The characteristics of QuickDASH for worker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13;21(1):107-18. 

  30. Lee HJ, Han SH, Jo YG, Lee SH, Bong ST. Epidemiology and seasonal variance of incidence of distal radius fractures. J Korean Orthop Assoc. 2015;50(4): 307-12. 

  31. Diaz-Garcia RJ, Oda T, Shauver MJ, Chung KC. A systematic review of outcomes and complications of treating unstable distal radius fractures in the elderly. J Hand Surg Am. 2011;36(5):824-35.e2. 

  32. Shin JY, Kim DH, Ko DH, Kim HJ. Operative treatment for ulnar styloid process fractures with unstable intra-articular distal radius fractures. J Korean Soc Surg Hand. 2009;14(1):12-7. 

  33. Valdes K. A retrospective pilot study comparing the number of therapy visits required to regain functional wrist and forearm range of motion following volar plating of a distal radius fracture. J Hand Ther. 2009;22(4):312-8. 

  34. Yun YG. Korean prescription and prescription commentary. 1st ed. Seoul:Uiseong dang. 2004:225, 679. 

  35. Smith DW, Henry MH. Comprehensive management of soft-tissue injuries associated with distal radius fractures. J Hand Surg Am. 2002;2(3):153-64. 

  36. Quadlbauer S, Pezzei C, Jurkowitsch J, Kolmayr B, Keuchel T, Simon D, Hausner T, Leixnering M. Early rehabilitation of distal radius fractures stabilized by volar locking plate: a prospective randomized pilot study. J Wrist Surg. 2017;6(2):102-12. 

  37. Ahn JY, Han JS, Min KS. Experimental study for defining range of motion required for daily activities in wrist joint. J Korean Orthop Assoc. 2000;35(5):797-8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