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종합병원 외과계 중환자실 환자의 섬망 발생 요인
Risk Factors of Delirium Among the Patients at a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10 no.3, 2017년, pp.31 - 40  

천유경 (서울아산병원 외과계중환자실) ,  박정윤 (울산대학교 임상전문간호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examined the prevalence of delirium-related factors in a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SICU). Methods : This retrospective study enrolled 73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an SICU from October 1, 2016 to March 20, 2017 and who had been hospitalized for more than 72 hours. Data 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외과계중환자실 입실한 환자를 대상으로 CAM-ICU도구를 사용하여 섬망을 진단하고 중환자실 퇴실까지 섬망발생 정도, 발생 시기, 섬망 발생 관련요 인을 분석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외과계중환자실 입실환자의 섬망 발생정 도와 영향 요인을 확인하여 섬망 발생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가설 설정

  • 외과계중환자실 환자의 80% 이상이 예정된 정규수술 이후 입실하고 있으며, 대부분 수술과 마취를 경험하고, 인공호흡기와 다양한 약물치료를 받고 있어 섬망 발생 고위험군에 속한다. 중환자실에 따라 인공호흡기 이탈 규정이나 마약성 진정제나 마취제의 종류나 사용이 다르고, 마취 과거력 등의 임상적 특성에 따라 섬망 발생 정도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외과계 중환자실에 적용하는 것이 어렵고, 섬망 예방을 위한 근거중심 가이드라인을 적용하여 섬망에 대한 중재가 이뤄지고 있지만, 섬망 진단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서 본 연구에서는 섬망 진단을 위해 Ely 등(2001)이 개발하여 번역한 섬망 사정도구(Confusion Assessment Method for the Intensive Care Unit; CAM-ICU)를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망은 어떤 증후군인가? 섬망은 의식 장애와 인지 및 지각 장애를 특징으로 하는 단기간의 기질적 정신증후군으로, 의식의 변화, 혼돈, 광범위한 인지 기능의 손상, 지남력 장애와 같은 비정상적인 지각과 행동 등의 정신증상을 나타내며, 심한 경우 환각까지 보일 수 있다(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PA], 2013).
섬망 발생 위험요인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환자의 치료 예후를 향상시키기 위해 섬망이 발생한 환자를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섬망 발생 위험요인을 알고 미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국내외 선행연구결과, 섬망 발생관련 요인은 나이, 기저질환, 흡연력, 시력, 청력 기능 장애, 우울, 심부전 증, 뇌졸중, 질병의 중증도가 높은 경우와(Inouye et al, 2007) 신체 억제대 적용, 수면장애, 소음, 진정제 또는 수면제 투약, 인공호흡기 적용, 비위관 삽입, 유치 도뇨관 적용, 중심정맥관 삽입 유지 등으로 나타났다 (Devlin, Fong, Fraser, & Riker, 2007; Girard et al., 2007).
섬망은 어떤 증상을 보이는가? 섬망은 의식 장애와 인지 및 지각 장애를 특징으로 하는 단기간의 기질적 정신증후군으로, 의식의 변화, 혼돈, 광범위한 인지 기능의 손상, 지남력 장애와 같은 비정상적인 지각과 행동 등의 정신증상을 나타내며, 심한 경우 환각까지 보일 수 있다(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PA],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gnoletti, V., Ansaloni, L., Catena, F., Chattat, R., De Cataldis, A., Di Nino, G., ... Taffurelli M. (2005). Postoperative delirium after elective and emergency surgery: analysis and checking of risk factors. A study protocol. BMC Surgery, 5(1), 12, 1-6. 

  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2013). American Psychiatric Pub. 

  3. Boyko, Y., Ording, H., & Jennum, P. (2012). Sleep disturbances in critically ill patients in ICU: how much do we know? Acta Anaesthesiologica Scandinavica, 56(8), 950-958. 

  4. Devlin, J. W., Fong, J. J., Fraser, G. L., & Riker, R. R. (2007). Delirium assessment in the critically ill. Intensive Care Medicine, 33(6), 929-940. 

  5. Dubois, M.-J., Bergeron, N., Dumont, M., Dial, S., & Skrobik, Y. (2001). Delirium in an intensive care unit: a study of risk factors. Intensive Care Medicine, 27(8), 1297-1304. 

  6. Ely, E. W., Margolin, R., Francis, J., May, L., Truman, B., Dittus, R., ... Inouye, S. K. (2001). Evaluation of delirium in critically ill patients: validation of the Confusion Method for the Intensive Care Unit (CAM-ICU). Critical Care Medicine, 29(7), 1370-1379. 

  7. Ely, E. W., Shintani, A., Truman, B., Speroff, T., Gordon, S. M., Harrell Jr, F. E., ... Dittus, R. S. (2004). Delirium as a predictor of mortality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91(14), 1753-1762. 

  8. Frisk, U., & Nordstrom, G. (2003). Patients' sleep in an intensive care unit-patients' and nurses' perception.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19(6), 342-349. 

  9. Girard, T. D., Shintani, A. K., Jackson, J. C., Gordon, S. M., Pun, B. T., Henderson, M. S., ...Ely, E. W. (2007). Risk factors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following critical illness requiring mechanical ventilation: a prospective cohort study. Critical Care Medicine, 11(1), R28. 

  10. Heo, E. Y., Lee, B.J., Hahm, B. J., Song, E. H., Lee, H. A., Yoo, C. G., ... Lee, S. M. (2011). Translation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confusion assessment method for the intensive care unit. BioMedCentral Psychiatry, 11(1), 94-97. 

  11. Inouye, S. K., Bogardus, S. T., Williams, C. S., Leo-Summers, L., & Agostini, J. V. (2003). The role of adherence on the effectiveness of nonpharmacologic interventions: evidence from the delirium prevention trial.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3(8), 958-964. 

  12. Inouye, S. K., Zhang, Y., Jones, R. N., Kiely, D. K., Yang, F., & Marcantonio, E. R. (2007). Risk factors for delirium at discharg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redictive model.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7(13), 1406-1413. 

  13. Jang, I., & Choi, M. (2008).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al nursing intervention on ICU delirium, environmental stress and sleep in patients underwent cardiac surgical procedure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14(2), 127-138. 

  14. Lin, S. M., Liu, C. Y., Wang, C. H., Lin, H. C., Huang, C. D., Huang, P. Y., ... Kuo, H. P. (2004). The impact of delirium on the survival of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Critical Care Medicine, 32(11), 2254-2259. 

  15. Micek, S. T., Anand, N. J., Laible, B. R., Shannon, W. D., & Kollef, M. H. (2005). Delirium as detected by the CAM-ICU predicts restraint use among mechanically ventilated medical patients. Critical Care Medicine, 33(6), 1260-1265. 

  16. Milbrandt, E. B., Deppen, S., Harrison, P. L., Shintani, A. K., Speroff, T., Stiles, R. A., et al. (2004). Costs associated with delirium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Critical Care Medicine-baltimore, 32(4), 955-962. 

  17. Mistraletti, G., Carloni, E., Cigada, M., Zambrelli, E., Taverna, M., Sabbatici, G., ... Iapichino, G. (2008). Sleep and delirium in the intensive care unit. Minerva Anestesiol, 74(6), 329-334. 

  18. Nam, A. (2009). Delirium occurrence and sleep quality in the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u University, Suwon. 

  19. Pandharipande, P., Shintani, A., Peterson, J., Pun, B. T., Wilkinson, G. R., Dittus, R. S., & Ely, E. W. (2006). Lorazepam i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transitioning to delirium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The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104(1), 21-26. 

  20. Pisani, M. A., Kong, S. Y. J., Kasl, S. V., Murphy, T. E., Araujo, K. L., & Van Ness, P. H. (2009). Days of delirium are associated with 1-year mortality in an older intensive care unit population.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80(11), 1092-1097. 

  21. Shim, M. Y., Song, S. H., Lee, M. M., Park, M. A., Yang, E. J. Kim, M. S, ... Kim, D. N. (2015). The effects of delirium prevention intervention on the delirium incidence among postoperative patients in a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1(1), 43-52. 

  22. Skrobik, Y. (2011). Delirium prevention and treatment. Anesthesiology Clinics, 29(4), 721-727. 

  23. Weinhouse, G. L., & Schwab, R. J. (2006). Sleep in the critically ill patient. SLEEP, 29(5), 707-716. 

  24. Yu, M.Y., Park, J.W., Hyun, M.S., & Lee Y.J., (2008). Related factor of delirium occurrence in the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4(1), 151-160. 

  25. Van Eijk, M. M., van den Boogaard, M., van Marum, R. J., Benner, P., Eikelenboom, P., Honing, M. L., ... Slooter, A. J. (2011). Routine use of the confusion assessment method for the intensive care unit: a multicenter study.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84(3), 340-344. 

  26. Van Rompaey, B., Elseviers, M. M., Schuurmans, M. J., Shortridge-Baggett, L. M., Truijen, S., & Bossaert, L. (2009). Risk factors for delirium in intensive care patients: a prospective cohort study. Critical Care Medicine, 13(3), 77-8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