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5 no.1, 2012년, pp.23 - 33
이은남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 조정림 (동아대학교) , 김매리 (동아대학교병원 중환자실) , 이은주 (동아대학교병원 중환자실) , 이영휘 (동아대학교병원 중환자실) , 최은주 (동아대학교병원 중환자실) , 이혜란 (동아대학교병원 중환자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ye-shields and sleep-inducing music application on sleep quality and incidence of delirium for intensive care unit (ICU) patients. Methods: This study was a untreated control group design with pretest and posttest. The data was coll...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섬망의 위험요인 중 개인적 요인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 섬망의 위험요인은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개인적 요인으로는 성별, 나이, 질병상태, 호흡기 사용, 수술경험유무, 약물복용, 성격 등이 관련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Micek et al., 2005; Thomason et al. | |
중환자실이란? | 중환자실은 첨단기술로 만들어진 각종 감시장치 및 의료기기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갑작스럽게 응급상황이 발생하는 곳이다(Kim, 2001). 이러한 중환자실의 환경은 입실 대상자들에게는 낯선 환경으로 입실 그 자체가 스트레스로 작용하며 중증질환이라는 상황적 위기를 맞이하게 되면서 심각한 심리적 불균형을 초래하게 된다(Jeong, 2009). | |
중환자실 섬망이 간호제공자에게 끼치는 영향은? | 중환자실 섬망이 발생할 경우 합병증 발생률이 높아져 질병의 예후를 악화시키고, 결국 재원기간의 연장, 의료비 상승, 사망률의 증가를 초래한다(Ely, Shintani, & Truman, 2004). 또한 의료수혜자의 의료서비스의 요구가 높아지고 의학적 지식수준이 높아지는 현실에서 간호사의 업무과중과 함께 간호 대상자의 수면장애 및 섬망발생은 간호제공자의 심신을 소진케 하는 요소로 작용한다(Jeong, 2009). 그러므로 중환자실에서 섬망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예방하거나 조기 진단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